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문제가 클수록 기회도 크다.

전에 서울에 있을 때는 항상 지하철을 이용했다. 평균 출근 시간 1시간. 이 시간을 어떻게 하면 가장 잘 활용할까 궁리하다가 찾아낸 것이 내가 좋아하는 미국 드라마를 보는 것이었다. iRiver에서 MP3 + Video 가 되는 조그마한 기기를 하나 사서 출, 퇴근시간에 보면서 혼자서 낄낄 웃곤 했다.
캘리포니아 와서는 운전할 일이 많아졌다. 뭔가를 집중해서 보는 것이 불가능해서 듣는 것에 의존해야 한다. 처음엔 주로 NPR (National Public Radio) 뉴스를 들었다. 뉴스 따로 볼 시간 없는데 가끔 오바마가 큰 일을 터뜨리거나 미국 사회 주요 이슈를 따라갈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요즘엔 Podcast를 많이 듣는다. 그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이 Stanford의 Entrepreneurial Thought Leaders 시리즈이다. Nvidia 의 Jen-Hsun Huang, Microsoft의 Steve Ballmer, eHarmoney의 Greg Waldorf 등 큰 회사의 창업자는 물론, Google의 Marissa Mayer, Facebook의 Sheryl Sandberg 등 Silicon Valley의 유명한 사람들을 초청해서 “Entrepreneurship이란 무엇인가?” 라는 주제로 자기의 경험을 털어놓는다. 하나하나가 주옥같아서 욕심같아서는 듣는 것마다 정리를 하고 싶을 정도이다. 지난번 NVidia의 Founder & CEO인 Jen-Hsun Huang 의 강연을 듣고 감동해서 블로그에 정리한 적이 있다. 그 이후로도 정말 좋은 강연이 많았지만 오늘 들은 Tina Seelig의 강연은 정말 도움이 되는 이야기가 많아 블로그에 한 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

Tina는 Stanford Technology Ventures Program (STVP)의 Executive Director이다. 매주 수요일 4:30에 하는 이 수업에 실리콘 밸리의 수많은 창업가들을 부르는 역할을 한다. Podcast를 들으면 항상 Tina 가 인사말을 시작하는 걸 들을 수 있다. Stanford Medical School에서 Ph.D를 받고 컨설턴트로 일한 후 창업도 했었다. Tina의 전체 bio는 여기서 볼 수 있다. 난 사실 그냥 Stanford 교수 중 한 사람인가보다 했다. 그런데 정말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좋은 insight가 있어서 들으면서 감탄을 했다. 얼마 전에 “What I Wish I Knew When I Was 20 (내가 스무 살 때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이란 제목으로 책을 냈는데, 오늘 소개할 강연은 그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1. 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모든 문제는 기회이다)
Tina는 과거 Sun Microsystems의 창업자였으며 지금 실리콘 밸리의 가장 성공적인 벤처 투자가 중 한 명이 된 Vinod Khosla 의 비디오를 보여주면서 이 말을 강조했다. Vinod는 big problem이 없다면 big opportunity도 없다는 말을 했다. Youtube의 창업자. 왜 Youtube를 만들었을까? problem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비디오를 인터넷에 올려 공유하고 싶었는데 ideal한 방법이 없다는 걸 발견했다. 그래서 Youtube를 만들었고, 훗날 Google에 매각하며 billionaire 가 되었다.
Tina는 Designer School 학생들에게 entrepreneurship을 가르치기 위해서 내주었던 숙제를 설명한다. 과제는 이렇다.

“5달러와 2시간. 이걸로 가능한 한 많은 돈을 벌어 보세요.”

많은 학생들의 첫 번째 대답은 “라스베가스 가서 복권을 사기”이다. 5달러로 큰 돈을 벌려면 큰 risk를 져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다. 사실 이 경쟁에서 이긴 팀은 5달러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5달러가 그들의 상상력을 제한하는 것임에 불과한 조건임을 깨달은 것이다. 예를 들어, 한 팀은 스탠포드 대학 한복판에 가서 이런 문구를 들고 있었다. “타이어 공기압을 무료로 재 드립니다. 타이어 공기압을 채우려면 1달러를 주세요.” 사람들이 이 학생들에게 감사했고, 1달러를 기꺼이 지불했다. 그 학생들은 1시간 후, 기부금을 받으면 어떨까 생각했고 사람들은 훨씬 더 많은 돈을 기부했다. 결과적으로 2시간 만에 수백 달러를 벌었다. 앉아서 사업 계획을 짜는 대신 일단 나가서 실행에 옮겼고, 그 과정에서 수익을 더 많이 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또 다른 팀은 더 재미난 아이디어를 가졌는데, 주말 저녁 Palo Alto의 레스토랑에 줄이 길다는 것을 이용했다. 우선 인기있는 레스토랑을 모두 예약한 후, 시간이 되자 예약을 팔았다. 사람들이 10~20달러를 주고 샀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두 가지를 배웠다. 1. 여학생들이 훨씬 잘 판다. 사람들이 더 신뢰한다. 2. 레스토랑 중 기다리는 고객한테 자리가 나면 buzzer가 울리는 기기를 준 레스토랑에서는 이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다. 일단 뭔가 손에 들 수 있는 것을 주기 때문에 예약을 팔기가 더 쉬웠고, 또 buzzer를 주면서 그 사람이 가진 buzzer를 받을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예약을 팔 수 있었다.
이 경쟁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번 팀은 시간과 돈의 가정 모두를 무시했다. 이 학생들은 무엇이 가장 valuable 한 것인지 찾아냈다. 수업 시간에 할당받은 3분의 presentation 시간. 그들은 그 3분을, 스탠포드 학생들을 채용하고 싶어하는 회사에 팔아서 가장 많은 돈을 벌었다.

2. Make Your Own Luck (스스로 행운을 만들어라)
더 열심히 일할수록 운이 좋아진다. 정말 공감이 가는 말이다. 좋은 아이디어는 많다. 회사가 성공하는 경우는 아이디어 자체가 좋아서이기도 하겠지만, 내가 보기에는 그 아이디어를 실현에 옮기기 위하여 사람들이 정말 열심히 일했기 때문이다. 더 열심히 일할수록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 한편, 더 적극적인 사람에게 행운도 더 자주 찾아오는 게 아닌가 싶다.
Tina는 자신의 경험 하나를 소개했는데, grocery store에서 한 낯선 사람에게 lemonade를 어떻게 만드는지 설명해주다가 친해졌다. 당시 그 사람은 family business를 물려받기로 되어있는데 Silicon Valley를 배우고 싶어 찾아온 것이었다. 그 사람이 실리콘 밸리에 있는 동안 이런 저런 도움을 주었다. Tina가 몇 년 후 칠레에 갈 일이 있어서 그 사람 (Eduardo) 에게 연락해서 커피 한 잔 하자고 했더니 너무 바빠서 시간이 안되지만 깜짝 선물을 준비했다며 어떤 빌딩에 가보라고 했단다. 거기 갔더니 그 Eduardo가 준비한 헬리콥터가 기다리고 있었고 그 헬리콥터를 타고 Eduardo 가족의 resort에 갔다가 왔단다. Luck인 것 같지만 luck이 아니다. Tina가 만들어낸 기회였던 것이다.

3. Fail Fast And Frequently (빨리, 그리고 자주 실패할 것)
더 많은 성공을 원하면 더 많은 실패가 필요하다. 통계적으로 보면 성공하는 확률과 실패할 확률은 항상 비슷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Twitter의 창업자는 Twitter로 처음 시작한 것이 아니다. Podcast를 만들려고 했는데 애플이 진출하는 바람에 그만뒀고, 그래서 시작한 게 Twitter이다. 잘 알듯이, 그는 크게 성공했다.

4. Don’t Wait To Be Anointed (지명받기를 기다리지 말 것)
회사에 들어가서 누가 일을 주기를 기다리지 말라. 대부분의 조직에는 당신이 가진 아이디어로 할 수 있는 무한한 기회가 펼쳐져 있다. 취직을 했다는 것은 그 회사에 들어가는 “열쇠”를 얻었음을 의미한다. 스스로 시작하라.

5. Never Miss An Opportunity To Be Fabulous (정말 멋지게 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 것)
무엇을 하든, 제대로 하라. 정말 멋지게 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라.

사실, 직접 보는 게 최고다. 여기서 비디오를 볼 수 있다.

11 thoughts on “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문제가 클수록 기회도 크다.

  1. 2,3,5번은 많이 들어본 것 같기도 하고, 다른 훌륭한 분들도 강조하신 얘기지만 1번의 사례들은 정말 가슴 뛸 정도로 대단합니다. 애플 직원들이 가끔 스티브 잡스에 대해 그런 불평을 늘어놓더군요. “자기는 대학도 제대로 안 나온 주제에 임원들과 고위매니저들은 전부 스탠포드 출신들로만 채운다”고. 왜 그러는지 이해가 갑니다. 물론, 저 3분의 가치도 이해가 가고요. 제가 그 기업의 인사담당이라도 기꺼이 샀겠습니다.

    4번은 정말 깊은 깨달음을 얻게 해주는 한 마디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1. 저도 가슴이 뛸 만큼 감명을 받아서 이 podcast를 3번 들었고, 이 블로그 쓰면서 비디오를 봤습니다. 5달러를 받으면 뭘 할까.. 저는 언뜻 떠오르지 않더라구요. 사례들을 들으면서 정말 대단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정리한 글이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네요. 메리 크리스마스!

  2. 성문 선배님, 얼마 전 모임때 뵈었던 Value Creators의 박재욱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3번이 가장 와닿네요. 앞으로도 이런 좋은 글 많이 남겨주셨으면 합니다. 블로그를 통해서 계속 연락드리겠습니다. ^-^

  3. 좋은글 보고 갑니다. 저에게도 꽤나 큰 인상을 남겨주는 글이네요..
    네이버와 구글검색 비교글을 보다가 다른 글들도 살펴보게 되었네요. 좋은내용이 많은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4. 저도 이 강연 정말 재미있게봣는데 Tina 교수를 한번 만나고싶어서 메일을 보냇었는데 시간이 안맞아서 결국 메일만 주고받다가 불발로 끝났는데 다음에 미국에 가면 꼭 만나봐야겠어요 ㅎㅎ

    1. 오오.. 티나 교수 만났다면 대박이었을텐데 아쉽네. 그러고보니 나도 언제 기회 봐서 한 번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군…

Leave a Reply to coolpint Cancel reply

Please log in using one of these methods to post your comment: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