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World Congress 일정을 마치고 나서 (삼성 Bada)

Mobile World Congress. 마지막 날 행사를 마치고 호텔로 돌아왔다. 일주일간의 여정을 마쳤고, 내일 새벽이면 San Francisco행 비행기에 타고 집으로 돌아간다. 여기도 좋긴 하지만 역시 California가 제일 좋은 것 같다. 여기서 있었던 개인적인 일과 전시회에서 본 것들을 위주로 정리를 해볼까 한다.

1. 바르셀로나

가우디의 도시. 2004년에 유럽 배낭 여행하며 처음 방문했는데, 그 때 가우디 건축물들을 보며 경이로움을 느꼈었다. 그 때 찍은 사진들을 다시 보니 옛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가우디가 설계한 Sagrada Familia 등 주요 여행지는 지난번에 이미 둘러본 터라 이번에는 이 도시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고, 또 맛있는 음식도 좀 더 사먹어 보겠다고 생각하고 온 터였다.

처음 바르셀로나 공항에 내려서 내 시선을 강하게 사로잡은 건 공항이었다. 인천 공항이 제일 좋은줄 알았는데 더 현대적으로 더 깔끔하게 지은 공항이 있는지 몰랐다. 지난번 왔을 때는 못느꼈는데, 아마 터미널을 새로 추가했거나 그 사이 renovation을 한 것 같다. 바르셀로나 방문객이 1992년 올림픽을 기점으로 늘었다더니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도시라는 게 느껴졌다. Wikipedia에서 찾아보니 올림픽이 이 도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있다.

아래는 Barcelona 공항에 방문하는 연간 승객 수이다. 정확히 1992년을 기점으로 앞뒤 기울기가 완전히 다르다.


서울 올림픽이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한국 경제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듯, 바르셀로나의 올림픽은 그 전에 잘 알려져 있지 않던 바르셀로나와 가우디의 건축물을 전세계에 알렸고, 관광객의 숫자를 비약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번에 내가 참가한 Mobile World Congress도 그런 연장선상에 생겨난 전시회인 것 같다. 누가 기획했는지 몰라도 정말 타이밍과 장소를 잘 잡은 거다.

2. 호텔

출장중 내가 묵은 곳은 Passeig De Gracia 거리에 위치한 Mandarin Oriental Hotel이다. 오기 전에 찾아보고 호텔 참 좋아보인다고 생각했는데, 정말로 만족스러웠다. Five star호텔인데 1년 전 호텔 전체를 renovation해서 방이 상당히 세련되게 잘 꾸며져 있었다.

Mandarin Oriental이라는 말이 암시하듯, 동양적인 느낌을 한껏 살린 곳이다. 작은 것 하나까지 동양적인 느낌을 잘 살렸길래 중국인들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호텔이겠거니 했는데 홈페이지에서 찾아보니 사실 서양인들이 모두 운영하고 있다. CEO인 Edouard Ettedgui는 프랑스 태생이고 1998년에 CEO로 취임해서 당시 11개이던 호텔 수를 42개로 늘렸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동양적인 느낌을 가진 곳이지만 전혀 어색하지 않았다.

제일 나를 감동시켰던 건 직원들이 내 이름을 항상 기억하고 불러준다는 것이다. 아침 식사하러 내려가면 식당에서 Good morning, Mr. Cho라고 밝게 웃으며 인사하고, 호텔에서 나갈 때도 Concierge에서 Hi, Mr. Cho라고 인사하고… 이런 호텔에서 지낸다면 consultant로 일하면서 매일 호텔에서 사는 것도 참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3. 음식

바르셀로나에서 제일 맘에 들었던 것은 음식! 어딜 가나 맛있다. 스페인 전통 음식인 Pallella와 Tapas 뿐 아니라 새우 요리, 스테이크, 생선, 해산물… 뭘 시켜도 실망스러운 적이 없었다. 와인에는 단 맛이 강하게 났는데 떫지 않고 대부분 맛이 있었다. 다만 단 맛이 너무 강해 내 입맛에는 좀 안맞는 것 같기도 했다.

그저께 저녁에는 한국에서 일하시는 Sun 동료 두 분과 식사를 했는데, 여기서 음식에 완전히 감동했다. Catalunya 광장 근처에 있는 Reial Cercle Artistic이라는 곳인데 바르셀로나에 가는 분이 있다면 꼭 추천해주고 싶다. 요리 하나하나가 작품이었다. 내가 왕새우를 좋아하는데 여기서 appetizer로 먹었던 새우는 내 인생에서 맛본 가장 맛있는 새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4. Mobile World Congress

5만명이 참석했다고 하던데, 규모가 정말 컸다. 열심히 돌아다녔지만 내가 실제로 제대로 본 곳은 정말 관심 있는 몇 군데뿐이라고 할 정도다. 모바일 관련 장비,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다 모인 것 같다. 한국 회사중에는 삼성, SKT, 그리고 mobile browser 개발 회사를 비롯한 몇 개 회사만 눈에 띄었지만 전시회 관람하는 사람 중에 한국 사람이 많아 꽤 많은 사람들과 마주쳤다.
작년보다는 규모가 작다고 하던데, 어쨌든 모바일 산업의 규모가 이렇게 커졌다는 것은 경이로운 일이다. 2000년 말 처음 24KB짜리 모바일 게임을 만들던 때가 있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 모든 것이 달라졌고, 모든 면에서 발전을 이루었다. 성장하는 industry가 10년이 지나면 이렇게 되는 구나 싶다.

삼성의 투자가 인상적이었다. 일단 전시장 맞은 편에 초대형 Samsung Wave 광고가 있었고, 전시장 내부에서도 정말 큰 booth를 설치했다. 첫째 날 가봤는데 사람들이 워낙 많아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프트웨어 기술은 대부분 미국에서 많이 봤던 것들이고 TechCrunch를 통해 들어 본 것이라 특별히 인상적인 곳은 없었다. 몇몇 제품은 완전 기술이라고 할 수도 없을 것 같았는데 나름대로 전시회장을 차릴 만큼 돈을 벌고 있다는 게 신기했다. Augmented Reality 기술을 가진 회사들 10여개가 모두 한 자리에 모여 데모를 하는 시간이 있어서 가봤는데 거기에도 특별히 신기할 건 없었다. Map data, 카메라, GPS, Accelerometer, 그리고 Compass를 이용해서 구현했는데 기술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어 몇 개 보고 나니 다  똑같았다.

이번 전시회에서 기분 좋은 수확 한가지는 Android Developer Conference에 참석했다가 깜짝 선물로 Nexus One을 받은 것이다. 참석한 전원에게 나누어주었는데 사전에 등록한 개발자만 참석을 시켜주었기 때문에 나중에 동료들의 부러움을 샀다.

5. 삼성의 새로운 OS, 바다
얼마 전 업계를 떠들석하게 한 사건이 있었는데, 바로 삼성이 Bada라는 자체 OS를 출시한다는 소식이었다. 이번 Mobile World Congress를 통해 처음으로 발표했다. 어떤 건지 무척 궁금했기에 30분동안 부스에 서서 하나하나 실행해보았다. 몇 가지 결론: 1) Google과 Android를 결합한 듯한 모습이다.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쪽에서 쪼로록 올라오면서 뜨는 메뉴라든지, 팝업 디자인 등은 Android와 상당히 닮았다. 너무 비슷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살짝 들 정도. 2) 아직은 준비가 안되었는데 무리하게 공개했다는 느낌. 몇몇 메뉴는 반응 속도가 너무 느렸고, application은 실행하다가 폰이 죽어버리는 경우가 몇 번 있었다. 3) 타이핑이 불편하다. Omnia에서도 불편을 느꼈던 부분인데, iPhone에서처럼 자동 correction이 안된다. 대충 쳐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게 없다. 실컷 치고 나면 화면에 오타가 가득했다.

나중에 Bada platform 개발을 제안하고 총 지휘한 홍상무님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 왜 굳이 새로운 OS를 만들었냐고 여쭤봤는데 Smart phone 뿐 아니라 삼성에서 feature phone을 잔뜩 출시할 건데 그 단말기들을 위한 OS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삼성에서 일하는 다른 사람을 통해 홍상무님에 대해 들었는데 삼성에서 혁신을 일으킬만한 인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삼성이라는 조직에서는 좋은 software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글을 얼마 전에 읽었는데, 그래도 이왕 시작하고 돈 많이 들인 프로젝트인 만큼 성공했으면 좋겠다. 한편으로는 Android처럼 잘 만든 운영체제를 그냥 쓰는 게 모두를 위한 길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지만.

아래는 Bada Platform 만져보면서 찍은 비디오 두 개이다.

7 thoughts on “Mobile World Congress 일정을 마치고 나서 (삼성 Bada)

  1. 비공개 동영상이라 영상은 보이지 않네요. 넥서스 받으셨다니 많이 부럽습니다. 바다 시연 영상 본적 있는데, 그 영상에서는 반응속도가 빨라서 깜짝 놀랐는데.. 느리다니.. ㅎㅎ 삼성은 디바이스를 참 잘 만드는데, 그쪽에 좀 집중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도 있습니다. 블로그를 꽤 오래 전 부터 잘 보고 있는데, 흥미롭습니다. 포스팅 감사합니다.

    1. 넥서스 지금까지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가끔씩 버그가 있어요. ^^ 근데 전체적으로 워낙 만족스러워서 그런 건 눈에 안들어옵니다.

  2. 아~ 바다 플랫폼이 나중에 상용화됐을 때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네요. 삼성도 안드로이드폰을 적극적으로 출시하려고 하는데, 그 부분과 충돌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 그 부분이 살짝 걱정되기도 하구요.

    1. 그게 가장 tricky 한 부분… 삼성 내에 다양한 조직이 있고 이해 관계가 얽혀 있어서 거기에 따라 플랫폼이 결정될 듯. 암튼, estima7님 항상 하시는 말씀대로 경쟁은 좋은 것!

Leave a Reply

Please log in using one of these methods to post your comment: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