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교수의 실리콘 밸리 강연 요약

내가 존경하는 분, 안철수 교수. 그가 만든 바이러스 백신을 처음 사용하던 때가 기억난다. 중학교 때였던 것 같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아버지가 큰 맘먹고 사오신 XT 컴퓨터를 그 때까지 쓰고 있었는데, 친구로부터 게임을 카피해 오거나 PC 판매점에서 1,000원을 주고 게임을 카피해오면 항상 제일 먼저 했던 것은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해도 어느 새인가 또 바이러스가 옮겨붙어 골치를 썩이곤 했다. 요즘에는 애초에 이메일에서 바이러스를 차단하는데다 기본적으로 컴퓨터를 팔 때 백신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나오기 때문에 예전처럼 골치거리가 되지는 않는 것 같다.

예전 한때 유행하던 컴퓨터 잡지, 마이컴 (출처: http://poem23.com/279)

당시 바이러스를 검사할 때는 꼭 백신(Vaccine)이라는 MS-DOS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곤 했다 (참고: V3의 변천사를 정리한 블로그 글). 미국에서 들어온 노턴 안티 바이러스라는 것도 있었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한국에서는 별로 발견되지도 않는 바이러스를 검사하느라 몇 배의 시간을 소비하는데다, 치료 성능 면에서 그다지 더 좋지도 않기에, 소위 ‘한국형 바이러스’라는 안철수가 만든 백신을 사용하곤 했다. 그 때부터였다. 내 머리 속에 ‘안철수’라는 이름이 각인된 것은. 당시 유행하던 ‘마이컴’이라는 컴퓨터 잡지에서 그를 인터뷰한 기사를 봤던 기억이 난다. “서울의대 출신 의사에서 프로그래머로의 전향”. 낮에는 환자를 보고 밤에는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했다. 나는 초등학교 때부터 베이직 언어를 배웠고, 중학교 때는 학원에서 포트란 언어를 배우고 있었기에 어느 정도 남들보다 컴퓨터에 관한 한 앞서 있고 많이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고, 게다가 ‘피씨툴즈(PC Tools)‘라는 소프트웨어도 자유로이 사용하며 파일 내부를 들여다보기도 했지만, 컴퓨터 바이러스란 나에게 정말 어려운 세계였다. 코드를 바꿔가며 침투하는 그런 코드를 어떻게 ‘백신’이라는 것이 잡아낼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런 백신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는지 나에겐 너무 신기하기만 했다. 그런 신기한 소프트웨어를 만든 사람이 ‘의사 안철수’였다.

그 당시 마이컴에서 내가 읽었던 대부분의 이름은 기억에서 잊혀져갔다. 그러나 하나의 이름은 살아남아 계속 내 주변에 있었다. 안철수. 그는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V3라는 이름으로 명명하고, 회사를 만들었다. 그리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책을 계속 읽고, 책을 계속 써냈다. 그의 글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퍼졌다. 나도 그의 책을 많이 읽었다. 그 중 몇 개의 글은 나의 성장과정에서 내게 큰 영향을 주기도 했다. 그 중 하나가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이라는 책이었다.

중요한 순간에 나에게 큰 영향을 끼쳤던 책,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 책의 첫 장의 제목이 ‘어떤 일을 선택할 때는 과거를 잊어버리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내용이었다. 의사가 되기 위해 무려 14년동안 잠 못자고 공부했고, 마침내 의사가 되고 교수가 되었으나 그러한 과거의 ‘업적’과 화려한 경력을 포기하고 동업자 둘과 함께 서초동의 조그마한 사무실에서 회사를 시작하는 결정을 내릴 때 어떤 생각을 했는지를 설명하고 있었다. 당시 가진 것을 내려놓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던 시절 이 글을 읽었다. 그리고 나의 결단을 내렸다.

얼마 전 블로그에서 안철수 박사를 인용한 글을 쓴 적이 있다. ‘내가 생각하는 리더의 조건‘이라는 글인데, 그가 강연중에 했던 말이 크게 공감이 되어 글을 썼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했다 (192회 리트윗, 373회 라이크). 그렇게 그 분을 흠모하던 도중,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이번에 마침 이 곳 실리콘 밸리에 올 계획이고, 실리콘밸리의 한인 모임인 Bay Area K Group 회원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한다는 소식이었다.

그렇게 해서 2011년 5월 23일, Sunnyvale 셰라톤 호텔의 행사장에서 그 분을 처음 만났다. 강연 시작 전, 테이블로 가서 내 소개를 하고 인사를 드렸을 때 내가 받은 첫 인상은 겸손함, 온유함, 그리고 평온함이었다. “그동안 책을 읽으며 결정적인 순간에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오늘도 기대가 많이 됩니다.” 했더니 즉시 “도움이 되었다니 제가 더 감사하지요. 오늘 오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제가 더 고마울 것 같습니다.” 라고 하셨다.

아래에, 강연 내용을 정리해서 싣는다. Bay Area K Group 블로그에 기고했던 글이다.


2007년이 기술 진보의 변곡점이었습니다.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모바일 혁명이 일어났고,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겨났지요. 지금은 2차 IT 혁명의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차때는 허상들이 많아 거품이 금방 꺼졌지만 지금은 그 때와는 다릅니다. 무엇보다, 많은 회사들이 매출/영업이익이 많이 내고 있기 때문에 쉽게 꺼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의 경우 아직 시도되지 않은 분야에 포텐셜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의 세 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hree Keywords (세 개의 키워드)
2. Prospect and Stability (미래 전망과 안정성)
3. Know Your True Self (진정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Bay Area K Group 회원들을 대상으로 강연중인 안철수 교수
Bay Area K Group 회원들을 대상으로 강연중인 안철수 교수

세 개의 키워드 (Three Keywords)

저는 21세기의 키워드를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키워드를 통해서 세상의 일들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키워드를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첫째, Hyper-speed(초고속)입니다. 요즘 테크크런치(TechCrunch) 일주일 안보면 줄거리 연결이 안될 정도이죠. 마치 연속극 보다가 하나 빼먹으면 연결이 안되듯이. 그만큼 많은 일들이 생겨나고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둘째, 탈권위주의(Anti-authoritarism)입니다. 즉, 이데올로기보다는 개인의 가치관이 더 소중한 시대입니다. “웰컴 투 동막골”이란 영화를 800만명이 보았다고 합니다. ‘반공’이라는 전통적인 이데올로기의 틀을 깨는 내용인데 무척 인기가 있었습니다. 어떤 컨텐츠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소비하는가는 그 시대의 사람들이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가를 반영합니다. 따라서, 인기있는 책이나 영화를 보면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지요. 개인의 가치관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는 조직은 이제 관심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최근 이슈가 되었던 이집트의 자유화 운동도 소셜 네트워크가 불러온 탈권위주의에서 생긴 것입니다. 기술도 마찬가지입니다. 사회의 흐름을 가장 잘 받아들이는 기술이 선택되고 살아남아서 사회의 흐름을 가속화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세기까지는 포털이 인기있었고 전문가들이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었으나, 21세기, 즉 Web 2.0 시대에는 Wikipedia 등이 더 인기가 있습니다. 즉, 일반 대중들이 가진 가치 있는 정보를 합한 것이 더 사람들에게 잘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포드 자동차가 생기면서 사람들이 교외로 나간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즉, 사람이 기술을 만들고, 기술이 사람의 운명을 바꾸고, 그렇게 바뀐 사람들이 다시 기술을 개발하여 사람의 생활을 바꿉니다.

셋째, 컨버전스와 세계화(Convergence & Globalization)입니다. 토머스 프리드먼(Thomas Friedman)은 신 자유주의의 옹호자이고, 그와 반대편에 서 있는 사람으로서 많이 알려진 사람은 장하준 교수입니다. 토마스 프리드먼은 World is Flat (부제: 21세기 역사책)이란 책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졌길래 세상이 송두리째 바뀌었는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입니다. 이로 인해 공산주의의 패퇴했지요. 당시엔 민주주의 국가 가운데도 장벽이 많았는데, 베를린 장벽 철폐를 계기로 나라간의 장벽들이 허물어졌습니다. 90년대에는 PC가 본격적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개인이 가지는 정보의 양에 한계가 사라졌습니다. 둘째인터넷의 보급입니다. 그리고 셋째로, 워크플로우 소프트웨어(Work flow software)의 발전. 즉 PC가 서로 연결되면서 전세계 누구와도 같이 일할 수 있게 되었지요. 컨버전스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거로, 다음과 같은 collaboration(공동 협력)이 일어나고 있지요: Uploading, Outsourcing, Offshoring, Supply-Chain Innovation, Insourcing, In-forming. Dell이 컴퓨터 수리라는 핵심 경쟁력을 UPS에 넘겨준 것은 인소싱(Insourcing)의 좋은 예입니다.

미래 전망과 안정성(Prospect and Stability)

미래 전망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예전에는 소위 ‘기댈 곳’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칸막이가 사라져 버렸지요. 그래서 사람들이 ‘전망’에 귀를 더 기울이는 것 같습니다. 제 자신의 인생을 돌이켜, 1986년 서울의대 졸업하던 때를 생각하면 피부과가 가장 인기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어떤지 보세요. 가장 인기있는 전공이 되었지요. 2008년 와튼스쿨 졸업하던 때, 친구들의 절반이 고액 연봉을 주는 월가로 진출했습니다. 저만 한국으로 돌아갔습니다. 몇 달이 지나자 리만 브라더스가 파산 신청을 하며 월스트리트가 무너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몰려간다고 안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일 수가 있습니다. 10년 후를 내다보고 선택하지 못하고 ‘지금’ 잘 나가는 걸 선택하면 그런 문제가 생기는 거죠.

세미나에 참석한 K그룹 회원들
세미나에 참석한 K그룹 회원들

안정성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제가 의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생명에 관심이 많습니다. 생각해보면, ‘생명’이라는 건 ‘안정성’의 반대말입니다. (Life is the antonym of stability.)

세포막의 구조 (출처: http://library.thinkquest.org/C004535/cell_membranes.html)
세포막의 구조 (출처: http://library.thinkquest.org/C004535/cell_membranes.html)

무슨 말이냐 하면, 세포가 살아있는 이유는 불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간단한 예를 하나 들면, 모든 세포는 세포 내의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소금을 자꾸 바깥으로 퍼냅니다. 생명이 있는 한, 세포가 살아있는 한, 세포는 끊임없이 소금을 퍼내는 일을 합니다. 결국, 살아있다는 것은 불안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럼 안정은 언제 오나요? 간단하죠. 세포막이 파괴되어 안과 밖의 농도가 같아지면, 즉 세포가 죽으면 안정이 오면서 평온한 상태가 됩니다. 그렇다면 생명의 본질, 즉 인생의 본질은 불안정이 아닌가요?

또 한가지,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사업할 때, 최선을 다했는데 실패하는 경우가 생기고, 최선을 다하지 못했는데 성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국 내가 제어하는 경우는 많이 봐야 3분의 2 정도입니다.

진정한 자신을 알기(Know Your True Self)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세 가지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1. Creeping determinism (사후 판단 편향)
미국이 중국과 국교 단절된 상황이었습니다. 닉슨 대통령이 정상회담하러가는데 이번에는 수교가 성공하겠느냐고 전문가들에게 물었습니다. 80%의 전문가가 실패할 거라 대답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정상회담이 열렸고, 중국과 국교 수립이 되었습니다. 회담이 끝나고 그 전문가들을 다시 불러 그 전에 대답했던 대로 다시 대답해보라고 했더니, 이번에는 80% 전문가가 성공할거라고 했습니다. 사후에 판단하면 의견이 달라지는거죠. 사람들은 자기 합리화에 능하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그렇게 바꿔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In-class game (자기 그룹 내의 게임)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자기가 맞다는 증거를 먼저 수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KAIST 교수 시절,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던 실험입니다. 간단한 산수 문제를 내주고, 3분 후에 객관식으로 보기를 든 후 자신이 답이라고 생각하는 곳에 가서 모이라고 했습니다. 1번 그룹, 2번 그룹, 3번 그룹, 4번 그룹.. 그 다음에 다시 3분의 시간을 주면서 주변 사람들과 의논해보고 다시 답을 결정해보라고 했습니다. 예외 없이 같은 그룹 사람들과 토의를 합니다. 자신의 답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알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은 다른 그룹의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사람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이야기해서 결론내리는 것에 더 익숙합니다.

3. Wrong way of reading (잘못된 독서)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책만 읽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더욱 공고히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자기 주변에 벽돌을 쌓아 자신을 가둬놓고 벽돌 사이의 작은 틈으로만 세상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 Y 컴비네이터를 만든 폴 그래함(Paul Graham)은 “I may be wrong (내가 틀렸을지도 몰라)” 이라고 말하는 사람만 뽑는다고 합니다. 자신이 틀렸을 지 모른다고 하는 사람은 맞는 길을 찾기 위해 더 노력할 거고, 결국 더 나은 사람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언제 진정으로 자신을 알 수 있는 것일까요? 치열한 고민 끝에 무엇을 선택하는 순간, 그 때 알 수 있습니다. 한 대학생이 있습니다. 자기는 모험적인 선택을 할 거라고 생각하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항상 그렇게 이야기합니다. 졸업하고 실제로 두 개의 기회가 왔습니다. 안정적인 기회와 도전적이고 모험적인 기회. 이 대학생은 결국 안정적인 선택을 하면서 자신에 대해 깨닫게 됩니다. 결국 나는 안정적인 길을 선택하는 사람이구나, 라구요.

트위터에서 리트윗이 가장 많이 된 제 말이 있습니다. “말과 생각이 그 사람이 아니라 선택과 행동이 그 사람을 나타낸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말은 들어볼 필요가 없습니다. 행동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즉시 나오니까요.

어려운 선택들을 내리면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깨닫게 됩니다. 한국인 최초로 동경대 교수가 된 강상중 교수가 이야기했습니다. “고민은 축복이고 행복의 열쇠“다. 처음엔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됩니다. 고민하는 사람은 괴롭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기가 뭘 원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세상의 모든 걸 다 가져도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언뜻 답이 안나와도, 고민을 치열하게 하다보면 답이 나옵니다. 고민을 치열하게 하고 선택하십시오.

멘토링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겠습니다. 사람들에게 물었습니다. 자신의 멘토에게 가장 기대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31%는 고민의 순간에 답을 주길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잘못된 생각입니다. 사업할 당시 고민이 있어 멘토에게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멘토의 말을 듣고 했다가 성공하기도 했고 실패하기도 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다르고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아무리 고수라 해도 항상 정답을 줄 수는 없습니다. 멘토의 말을 듣고 그대로 따라했는데 잘 됐다 하더라도 비슷한 상황이 오면 또 고민하게 됩니다. 결국은 자기가 고민해서 선택하고, 실패로부터 배워야 합니다. 고민 없이 선택하면, 실패하더라도 자기가 뭘 잘못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건 비용 효율적인 학습(cost-effective learning)입니다. 처음 생각했던 사업 아이디어가 그대로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실수할 확률이 100%인데 최소한의 피를 흘리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수와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이지요. 이를 얼마나 적은 비용으로 배우고 빠르게 방향을 바꾸느냐는 스타트업의 성공 여부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Q&A

1. KAIST를 떠나서 왜 서울대 합류했는지?
KAIST 교수로 만 3년동안 일했습니다. 그 때문에 대전으로 집도 옮겼었습니다. 그러나 1년에 학생 100명 가르치면서 편안하게 지낼거냐, 아니면 작업복 입고 흙먼지 묻히면서 일할거냐? 의 문제에서 저는 흙먼지 묻히면서 일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또 카이스트에서 시작했던 MOT 과정이 경쟁률 5:1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정착을 하면서 마음 편하게 떠날 수 있었습니다.

2. 한국의 환경과 실리콘밸리의 환경을 비교한다면?
기업의 성과는 making(제품의 품질) 곱하기 selling(판매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제품이 좋아도 판매력이 꽝이면 성과는 0이고, 판매를 잘해도 품질이 안좋으면 또 성과가 0이 됩니다. 실리콘밸리는 이 두 가지 요소를 잘 갖춘 곳입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엑싯(exit)이 없으므로 척박한 환경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불균형때문입니다. 대기업 입장에서는 중소기업, 즉 납품업체들을 최대한 이용해서 이윤을 올리고 있기 때문에 굳이 중소기업을 인수할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에서도 엑싯이 잘되면 모든게 선순환으로 바뀔 겁니다.

3. 지금 돌이켜봤을 때 리더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것 세가지를 꼽으라면?
전에는 리더에게 리더로서의 권한이 주어지고 이를 발휘하면 되었습니다. 많은 책들이 이미 리더의 자리에 올라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대중으로부터 리더십이 나와, 그 권한을 부여받아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시대입니다. 즉, “대중이 리더로부터 무엇을 갈구하는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저는 다음 세 가지를 들겠습니다.

1) Stability(일관성): 사람들이 리더의 결정을 믿을 수 있어야 합니다. 오늘 내린 결정과 내일 내린 결정이 다르고 결정이 즉흥적이면 사람들이 믿을 수 없습니다.
2) Hope(희망): 전문성에 기반한 비전으로 미래를 제시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저 사람을 따르면 잘 될거야”라는 느낌을 받을 때 그를 따릅니다.
3) Compassion(공감력): 사람들은 자신과 같은 레벨로 내려와서 공감하고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을 따릅니다.

4. 실리콘밸리에 있는 우리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

세상에서 큰업적을 이룬 사람들이 나타나는 시기와 장소를 분석해 보면 시간적, 공간적으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사람(프런티어)이 롤 모델이 되어 주변 사람들과 후배들에게 엄청한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 하나의 예가 박세리 선수입니다. 우리 나라에 여성 골퍼가 세계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일이 거의 전무했습니다. 그런데 박세리가 나타난 것입니다. 박세리는 롤 모델이 없이도 성공한 매우 희귀한 케이스죠. 박세리가 우승하는 모습을 감격스럽게 지켜봤던 수많은 사람중에 한국의 어린 학생들이 있었습니다. 박세리 선수는 그들의 롤모델이 된 것입니다. 멀리 있는 사람, 나와 관계 없는 사람, 또는 나보다 훨씬 우월한 사람이 성공하는 것은 큰 동기 부여가 되지 못합니다. 그러나 자신과 같이 한국에서 자라 한국에서 교육 받은 ‘한국 사람’ 박세리가 미국에서 우승을 거머쥐었을 때 많은 한국의 소녀들은 ‘박세리가 할 수 있다면 나도 해볼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긴 거지요. 그 때부터 소위 ‘10,000 시간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에서 인용)’의 훈련을 시작했고, 1만 시간이 차기 시작하자 한국에서 프로페셔널 여성 골퍼들이 대거 쏟아져 나왔습니다.

저 본인과, 그리고 한국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여기 계신 여러분이 그러한 역할을 해주시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연 내내 숨죽이며 들었다. 그리고 큰 감동을 안고 집에 돌아왔다. 자신이 한 말과 자신의 글에 충실하게 인생을 살았던 사람. CEO로 화려하게 잘 나가던 시절, CEO 자리를 넘겨주고 홀연히 미국 유학을 떠났으며, 돌아와 KAIST 교수가 되어 3년 후 안정이 되었을 시절, 또 모든 것을 버리고 홀연히 서울대 융합과학대학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 다음에는 또 어떤 결정을 내릴까? 무엇이 되든, 그가 ‘과거의 업적’에 연연하지 않고 진정 추구해야 할 목표를 위해 새로운 도전을 마다하지 않을 사람임을 믿는다.

57 thoughts on “안철수 교수의 실리콘 밸리 강연 요약

  1. 아.. 마이컴. 정말 추억의 잡지.
    마이컴으로 바뀌기 전, 컴퓨터 학습 시절부터 애독자였던 저로서도 옛날 생각이 나네요.

    열심히 학교에서 베이직으로 프로그래밍을 했었는데. ㅋ

    1. 이 잡지를 보고 추억의 시절을 떠올리는 세대라는 말인거죠. ^^ 그 때 이거 기획하고 편집했던 사람, 언제 기회 되면 만나보고 싶네요. 훗날 대한민국이 소프트웨어 강국이 되는데 큰 역할을 한 사람.

      1. 당시 PC클럽(83~87년) 멤버들이 우리나라 IT산업의 1세대가 되었죠.

        옛날에는 연락을 하고 지냈었는데. 지금 어떻게 지내시는지 저도 궁금하네요..

        1. 그러게요. 예전에 송이사님 통해 종종 뵈었었는데.. 요즘 재미있게 살고 있습니다. ^^ EA에 계신거죠?

  2. 공유 감사합니다..
    안철수 교수께서 너무 많은, 너무 좋은 통찰력들을 주셨네요..

  3. 저도 대학교 2학년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이란 책을 읽었어요. 그리고 친구에게 자랑했었죠. 근데 친구가, “그래서 우리에게 필요한게 뭔데?” 라고 물어봤는데, 전 대답을 못했었지요.ㅠㅠ
    글을 읽다보니 어릴때 GW베이직에 미쳤었던 기억이 나네요. 너무 재밌어서 게임도 여러개 만들었고 얼떨결에 경시대회도 나간적도 있어요ㅋㅋ 그리고 그때 안철수V3를 처음 알게 됐었죠. 컴퓨터 OS는 윈도95였는데 바이러스 걸리면 DOS부팅해서 V3로 치료했었어요.
    이번 글, 안철수 교수님의 강연을 직접 보는듯한 기분으로 읽었어요. 형,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

    1. 멋진 후배 재경, 너한테도 그런 시절이 있었구나. 네 얘기도 궁금하고 듣고 싶은데 어떻게 지내는지 소식좀 전해줘~

  4. ‘자기가 고민해서 선택하고, 실패로부터 배워야 합니다.”라는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열린 마음으로 나와 다른 의견을 듣고, 치열하게 고민해서 하늘이 감동할 만큼 열심히 노력한다면 세상에 못할 일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하루 열심히 살아야 할 이유를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5. 오늘도 멋진 블로깅해주셨네요.
    안랩에서 인턴으로 일할때 몇번붜었었는데 너무나 멋진 분이셨습니다. 이번강연에서도 제가 고민하고 있는 기로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1. 안교수님과 한때 같이 일하셨다니, 정말 좋았겠네요. 안교수님이 이끌었던 안랩은 어떤 분위기였을지 정말 궁금하군요…

  6. 좋은글 정말 감사합니다. 안철수 선생님을 존경합니다.
    그리고 강연내용 올려주신 조성문님도 존경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7. 블로깅 정말 감사합니다.
    큰 배움얻고 갑니다.
    많은사람들이 배움을 얻고도 공유하지를 않지만
    성문님은 항상 좋은 글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안철수 교수님은 책을 엄청!!나게 많이 읽으신것 같은 포스가 느껴지네요 저렇게 사람의 마음을 울리는 말을 만들어 낸다는것…
    대단한것 같습니다.

    1. 말씀하신대로 책을 많이 읽었기 때문에 저런 연설이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무슨 말을 하든 뒷받침이 없이 하는 말이 없어요. 누군가 이야기하듯, ‘이 시대의 멘토’이죠.

  8. 추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마이컴 이전에 “컴퓨터 학습” 이라는 잡지도 있었죠.
    그때 Basic에서 peek & poke 로 L3 바이러스 잡느라 몇페이지에 걸친 기계어를 입력하기도 했었는데 말이죠.
    마이컴 , DOS , PC-TOOLS 다 추억이네요.

    1. 그러게요. 저도 안철수 백신 생각하니까 옛 생각이 나서 마이컴, DOS, PC-TOOLS 이야기를 써봤습니다. 제가 천재처럼 느껴지던 시절이었지요. ^^

  9. 존경하는 분의 훌륭한 강연을 이렇게 접할 수 있게 되어 참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1. 저는 직접 강연을 들을 날이 저에게 오게 될 줄 몰랐네요. 너무 좋은 이야기가 많아 꼭 잘 정리해서 많은 분들과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10. 사진에서, 형이 존경하는 안철수 교수님의 옆에서, 그보다 큰 영향력을 주는 멋진 사람으로 살아갈 것이 기대되는 형의 자신감 넘치는 미소가 참 인상적이네요. =)

    1. 고맙다 선호야. 너야말로 그보다 큰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이 될 거지. 모두에게 뜻깊은 시간이었어. 너도 분명 직접 뵐 기회가 있을거야.

  11.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안선생님께서는 정말 이 시대의 리더이시네요~

    이 글 퍼가도 되나요?^^ 많이 퍼뜨리겠습니다.~
    다시 한번 좋은 글 감사드려요^^

  12.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기 자신을 진정으로 제대로 아는 것이, 성공과 행복을 위한 출발점이 되겠지요. 어쩌면 우리 인간에 대한 성찰이 우선적으로 돼야겠지요.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서, 다음 글을 링크시킵니다.

    : “Create Better, Collaborate Better,”

    http://blogs.hbr.org/cs/2011/05/unleash_your_creativity_break.html

    수고하셨습니다.
    즐겁고, 행복한 시간되세요.

    1. 좋은 글 링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hink creatively하려면 strong tie로 맺어지는 inside the box에만 있어서는 안된다는거군요.

      1. 그렇습니다. 저도 덕분에 좋은 글을 읽었습니다. 안교수와는 개인 적인 인연이 있어서 그런지 늘 관심을 갖게 되군요. 오는 7월 중순에 샌프란시스코로 가는데, 괜찮으시다면 한번 뵐 기회를 가졌으면 하네요.

  13. 다수가 한국의 어두운 미래를 논할 때에 제게 반박하라면, 그 중 하나의 근거가 안철수 선생님입니다.

    세포의 불균형은 정말 놀라운 시각을 던져주네요. 그리고 그 도전정신을 온몸으로 살아오신 안선생님도 더욱 존경스럽구요.

    좋은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로 또 많은 젊은이들, 젊은 사업가들이 영감을 받으리라 확신합니다.

      1. 요즘 만나는 사람들에게 이 이야기를 자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성문님 블로그도 많이 알려주고 있는데.. 혹시 방문객 수는 큰 변화 없죠? ^^

        1. 아.. 그래서인가요? 방문자 수가 많이 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근데 마두리님 블로그에 좋은 글들이 참 많이 있네요.

      2. 저때문에 방문자수가 늘었을리는..^^

        성문님 글에 영감받아 쓴 글도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소개도 많이 부탁드리고, 좋은 글도 꾸준히 써주시기 부탁드립니다.

  14. 시대를 읽는 것, 그리고 언제나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는군요. 잘 보고 갑니다.

  15. 안철수 교수님의 이야기 안그래도 궁금했는데 너무 잘 정리해주셔서 잘 보았습니다 .매번 자료만 읽다가 감사하단 말씀 드리고 싶네요 ^_^

  16. 감동적인 강연, 더 멋지게 정리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소중히 공유합니다 🙂

  17. 너무 좋은 글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꾸준하게 좋은 글들을 정리해서 올려주시니 참으로 고맙네요.ㅎㅎ
    끊임없이 도전하는 안철수님은 참 대단하세요.

    무엇보다 진정한 내 자신을 알아야 한다는 부분에 공감합니다.

    현재 내가 아는 내가 정말 ‘나’인가?

    앞으로 많이 고민해 볼 부분이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18. ‘말과 생각이 그 사람이 아니라 선택과 행동이 그 사람을 나타낸다.’
    많은 공감이 가네요. 내가 과연 내가 말한대로 행동하고 있는 것인지… 생각대로 선택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19. 좋은 강연을 생생하게 전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생명을 잃어 가려고 하는 굳어진 머리에 계속 생명을 불어넣고 싶네요.
    변화를 거부하면 생명을 잃는 것.
    리더가 갖추어야 할 세가지 덕목이 머릿속에 맴돕니다.
    고맙습니다.

  20. 내일이 마침 서울 시장 선거입니다. 안철수 교수님도 깊숙이 관여하신터라 더욱 관심이 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1. 안녕하세요. 개인적인 친분은 없지만, 전에부터 좋은 글들을 많이 포스팅하고 계셔서 개인적으로 즐겨찾고 있는 1인입니다. 이 글을 다른 지인들과도 공유를 하고 싶은데, 페이스북에 공유를 하여도 괜찮은지 여쭤보려고 이렇게 댓글을 남깁니다.

Leave a Reply to eunho cha Cancel reply

Please log in using one of these methods to post your comment: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