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내가 즐겨 보는 TV 쇼가 두 개 있다. 하나는 더 보이스(The Voice, 최근 MTV에서 이를 라이센스해서 ‘보이스 코리아‘를 만들었다)이고, 다른 하나는 샤크 탱크(Shark Tank)이다. 이 둘은 공통점이 있다. ‘서바이버(Survivor)‘의 프로듀서로 유명한 마크 버넷(Mark Burnett)이 만들었다는 것이다 (마크 버넷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소개한다).

샤크 탱크의 ‘상어들(Sharks)’은 투자자들이다. 각기 다른 영역에서 성공한 사업가 다섯 명이 나온다. 자신의 사업을 마텔(Mattel)에 무려 $3.5B (약 4조원)에 판 사업가 케빈(Kevin), 패션 브랜드 Fubu를 성공시켜 억만장자가 된 데이몬드(Daymond), 부동산 재벌 바바라(Barbara), 회사를 $350M (약 4천억원)에 매각한 로버트(Robert), 그리고 인포머셜의 황제 케빈(Kevin)이다. 이들 앞에 자신의 아이디어로 창업한 사람들이 나와 자신의 사업을 설명하고 회사의 지분을 판다. 그 과정이 너무 재미있다. 어떤 경우엔 아무에게도 인상을 못 주어 실망해서 돌아가기도 하고, 어떤 경우엔 다섯 명이 모두 관심을 보여 샤크들 사이에 접전이 벌어지기도 한다. 샤크들은 서로 힘을 합치기도 하고 때로는 서로를 공격하며 자기가 더 나은 파트너라고 우기기도 한다. 너무나 빼어난 아이디어가 현실성이 없다며 돌아가는가 하면, 별 것 아니어보이는 아이디어가 선택되어 투자되기도 한다. 소프트웨어 아이디어도 있는가 하면, 애플 파이, 비프 저키, 건강식 음료수, 아이들 장난감 대여 서비스, 새로운 개념의 청소 도구 등 정말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소개된다.
아래는 기억에 남은 몇 가지 사업 아이디어들이다.
1. 아이들이 약을 쉽게 먹을 수 있게 도와주는 코끼리 인형, AVA The Elephant
샤크탱크 첫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했던 아이디어이다. 다운증후군에 걸린 한 아이를 위해 보모로 일하고 있는 미국의 한 작은 마을에 살고 있는 티파니(Tiffany)는, 아이가 약 먹는 과정을 너무 싫어하기에 그 아이를 위해 뭔가를 만들어냈다. 바로 코끼리 인형이다. 코끼리 코 뒤쪽으로 약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자 하나~둘~셋~’ 하는데 그 때 물약을 입에 넣어준다.


나머지 네 명이 모두 사업이라고 볼 수 없고 너무 위험하다며 투자를 꺼렸지만, 바바라(Barbara)는 그녀에게 5만달러를 줄테니 사업의 55%를 달라고 이야기한다. 티파니는 그 투자를 받아들였다. 투자를 결정한 후 바바라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녀를 보면서 과거의 저를 봤어요. 분명 그녀는 해낼 거에요. 거기에 대해 전혀 의심이 없습니다.
과연, 그들은 해냈고, 지금 이 제품은 홈페이지, CVS Pharmacy, 아마존(Amazon) 등을 통해 미국 전역으로 팔리고 있으며, 평범한 가정주부였던 티파니를 큰 사업가로 만들어 주었다. 얼마전 집 근처 마켓인 세이프웨이(Safeway)에 갔다가 이 상품이 매장에 진열되어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세이프웨이를 통해 유통하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었을텐데 그들은 해낸 것이다. AVA 상품 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2. 콧구멍에 붙이는 필터, FilterYourLife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99% 차단하고, 유해 먼지를 대부분 차단할 수 있는 콧구멍에 직접 붙이는 필터인데, 처음 이걸 보고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이긴 하지만 분명 샤크들 중 누구도 투자하지 않고 돌려보낼 것이라 생각했다. 이 제품을 들고 나온 창업가 조(Joe)가 이것을 직접 착용하고 이야기하는 모습이 너무 우스꽝스러웠기 때문이다 (숨을 쉴 때마다 필터가 살짝 들어갔다 나왔다 한다).

그러나 그가 이미 170만개를 팔았다고 이야기하고, 아랍 에미리트와 $8 million (약 90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이야기하자 샤크들의 태도가 급히 달라졌다. 심지어 로버트(Robert)는 $4 million (약 44억원)에 회사 전체를 사겠다고 제안했다. 결국 그 협상은 결렬되었지만 그는 회사 지분의 30%를 주며 세 명으로부터 $750K (약 9억원)의 투자를 받아냈다.
3. 골프장에서 오줌이 마려울 때 남 몰래 쓸 수 있는 도구, UroClub
한 비뇨기과 의사(Urologist)가, 골프를 좋아하는 자신의 환자를 위해 들었는데, 만들고 나니 다른 사람들도 좋아해서 이것으로 사업을 시작하고 싶다며 들고 나왔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 골프 채처럼 생겼는데 그 안에 오줌을 눌 수 있는 클럽이다. 이거 보고 엄청 웃었다. 샤크들 대부분 ‘I am out’을 외쳤지만 한 사람은 그 아이디어가 재미있다며 작은 금액(2만달러였던 것 같다)을 투자했다.

내가 이 쇼를 좋아하는 이유는 너무나 사실적이고, 그래서 배울 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섯 명의 샤크들은 자기 자신의 돈으로 투자하므로 매우 신중하고 (지금까지 세 시즌 동안 총 70억원 정도를 투자했다고 한다), 때로는 서로 자기가 더 나은 투자자이니 자신의 돈을 받아달라고 사업가에게 부탁하기도 한다. 경쟁이 너무 치열해지는 것 사업가를 나가 있으라고 한 후 공동 투자를 위해 협상을 하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이 실제 투자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이고, 내가 엔젤 투자하면서 경험하는 과정과도 유사하다.
이것을 더 재미있게 보는 방법은 물론, “나라면 이 사업에 투자할까? 한다면 회사 가치를 얼마로 메길까?”를 생각해보는 것이다. 나름대로 결론을 내린 후, 구글에서 그 회사 홈페이지를 찾아보고, 다음엔 아마존이나 월마트에서 팔고 있는지 알아보고, 팔고 있다면 소비자 별점은 얼마인지를 찾아본다. 페이스북 팬페이지가 있다면 Like가 몇 개 있는지도 본다. 그러면 내 생각이 틀렸는지 맞았는지 알 수 있다. 시즌 1이 2009년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2, 3년이 지난 지금 결과가 어떤지 볼 수 있어서 좋다.

마지막으로, 이 쇼의 프로듀서, 마크 버넷(Mark Burnett)의 개인 이야기가 재미있어 소개한다[출처: 위키피디아]. 1960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그는 22살이 되던 해에 미국으로 이민한다. 처음 친구의 소개로 베벌리 힐즈의 한 가정에서 주급 $250를 받으며 보모(nanny)로 일을 시작했다. 그 후 말리부의 한 가정에서 일했고, 다음엔 작은 보험 회사에서 일했다. 2년 후에는 해변에서 개당 $18를 받고 티셔츠를 팔았고, 보험 회사에서보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자 티셔츠 파는 일에 전념했다. 그러다가 1991년에 프랑스의 리얼리티 티비 쇼인인 Raid Gauloises에 출연했으나 우승을 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는 거기서 사업 기회를 발견한다. 미국에서도 이런 쇼가 통할 수 있겠다고 생각한 그는, 미국에서 Eco Challenge라는 쇼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프로듀서로 등단한 후, 2000년에는 서바이버(Survivor)를 기획했는데 이것이 대 히트를 쳤다. 그를 ‘리얼리티 쇼’의 대명사로 만들어준 것이다. 그 이후 어프렌티스(The Apprentice), 더 보이스(The Voice) 등 수많은 쇼를 히트시켰고, 지금은 유명 인사가 되었다.
참고
- ‘샤크 탱크에서 창업가가 배울 수 있는 7가지 교훈‘, Fast Company
- 샤크 탱크 시청하기. Hulu에 시즌 1, 2, 3이 모두 올라왔있는데, 미국에서만 볼 수 있다.
저도 엄청 열심히 보는 프로그램인데, judge들에 대해서는 자세히 몰랐네요. 개인적으로 지지난주에 나왔던 이상한 노젓는 서핑보드 같은거 팔러 나왔던 아저씨가 제일 불쌍했던것 같습니다. ^^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아직 못 본 에피소드네요. 가끔 여기 나와서 엄청 욕먹고 자존심 구기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좀 불쌍하더라구요. 그런 장면 때문에 쇼의 인기는 더 올라가겠지만.. 수년동안 착실하게 사업을 해 왔는데 “You are the dumbest ever!” 나 “You’re pathetic”같은 소리를 만인들 앞에서 듣는 기분이 어떨까요? 가끔 너무 말이 안되는 사업으로 수십만 달러 날리고 가족들까지 위험에 처하게 하고 나서 무대에 올라오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정신을 차려야겠지만..
저도 매주 챙겨보고 있습니다. 특히 FilterYourLife같은 제품 보는 재미가 솔솔한것 같습니다.
Mavericks의 구단주인 Mark Cuban도 자주 나오고, 개인적으로도 좋아하는데..^^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햐, 이거 정말 재밌겠네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방송 하나 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글 너무 너무 감사해서 감사 인사 드리러 왔답니다 :- )
e메일로 읽고 있는데요. 정말 감사해요! ^^
저도 더 분발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답니다ㅎㅎ
정찬송님 감사합니다. 글을 쓴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이런 피드백 덕분에 힘이 납니다.
영국에는 Dragons den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와 비슷한거 같네요. 드래곤스덴은 즐겨봤는데 이 프로그램도 재밌겠네요. 🙂
형~ 잘지내시죠?^^ 좋은 프로그램 추천 감사합니다. 어프렌티스 보면서 많이 배웠는데 또 다른 차원의 배움이 있는 프로그램이네요.. 엔젤단계의 벨류에이션, 재무적투자vs전략적투자, 협상전략 등등..주위에 많이 추천해줘야겠습니다..^^
너야말로 잘 지내는지? 새로 출시하는 제품들 보고 있는데 정말 좋더라. 이 샤크 탱크는 보다 보면 좀 중독이야. 캐릭터들 특성이 워낙 강한데다가 협상하는 순간의 긴박감이 있어서 재미있구. 근데 너무 많은 회사들이 너무 싼 값에 지분을 팔고 있어서 자본과 투자자의 힘이 지나치게 세다는 생각이 들어. 그렇지만 여기 출연했다는 것만으로도 워낙 널리 알려지는 효과가 있는데다, 나중에 제품 출시할 때 포장지에 “As seen on Shark Tank”라고 붙일 수 있어서 기꺼이 낮은 Valutaion으로 투자를 받는 듯.
언제나 재밌는 글 잘 읽고 있습니다. 왠지 얼마 안있으면 한국에서도 들어오지 않을까 하네요. 얼마전에 아이디어를 경매하는 그런 쇼는 본것 같은데 말이죠..:) 혹시 웹을 통해서 볼 수 있는 곳이 있나요?
잘 읽었습니다.^^; 덕분에 학교 수업도 빠지고, 과제도 제출 안하고ㅋㅋㅋ
계속해서 제시되는 신선한 아이디어도 좋고, 열정을 가진 참가자들의 모습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피를 말리는 협상과정이 인상깊네요. 특히 운동을 하는 고등학생과 대학교코치들과 이어주는 인터넷 웹페이지 솔루션을 가지고 나온 E&Y 출신 두 명의 사업가가 기억에 남습니다.
블로그 정보, 너무 알차고 도움이 되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수업을 빠질 정도로 보셨다니 무리하셨네요. ^^ 그 두 명의 사업가, 저도 기억이 납니다. 처음에는 이게 뭔가 하다가 가만히 이야기를 들으니 정말 유용한 서비스이더군요. 근데 valuation이 너무 낮게 잡혀서 좀 아쉬웠습니다.
ㅠㅜ 코끼리 인형 넘 갖고싶네요!
글을 읽어보니 너무 보고싶은 프로인데 과거에 했던 에피소드들도 보려면 어디서 가능할까요?
미국에 거주하신다면 Hulu에서 볼 수 있습니다.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어서요ㅠㅠ 안되네요ㅠㅠㅠ미국만 되네요 왠만하면 캐나다도 해주지 너무 아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