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을 미국에 알리는 방법 – 비빔밥 유랑단

‘비빔밥 유랑단’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은 ‘라이코스를 방문한 비빔밥 유랑단‘이라는 임정욱 님의 글을 통해서였다. 당시 라이코스 대표로 있을 때, 비빔밥 유랑단의 강상균 단장으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사무실에 찾아와서 비빔밥을 만들어주고 홍보하겠다고 하길래 흥미롭다고 생각해서 수락했고, 그 결과 직원들이 매우 만족해했다는 내용이었다.

참 좋은 시도라고 생각했다. 캘리포니아에는 주변에 한식당도 많고, 타문화에 대해 개방적인 사람들이 많아 주변에 한국 음식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기는 하지만, 비빔밥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흔히 ‘한국 음식’하면 ‘코리안 바베큐’를 가장 먼저 떠올리고, 조금 더 안다고 하면 순두부를 아는 정도였다. LA 코리아타운에 가면 ‘무제한 바베큐’가 골목마다 깔려 있다. 거기에서는 한 명당 20달러면 소고기가 질릴 정도로 먹을 수 있다. 고기 맛도 꽤 괜찮아서 소고기 값이 저렴하고 사람들이 고기를 선호하는 미국에서는 아주 인기다. 주변 친구들이 “한국 음식 정말 끝내줘!” 하면 주로 바베큐 아니면 순두부 이야기다. 한편으로는 기분이 좋으면서도, 그 두 가지 음식이 한국 음식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는데 안타까운 생각이 많이 들었다. 한국의 위상과 이미지 제고에 별로 도움도 되지 않는다는 생각도 했다. 친구들이 거기 갔다 와서는 ‘온 몸에서 바베큐 냄새가 난다’고 하곤 했다. 한국 사람들은 항상 소고기 바베큐만 먹는줄 아는 사람들도 있다. 사실 한국 사람들은 평소에는 나물 반찬 위주에 해산물을 많이 즐기며, 회식할 때나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많이 먹는 정도라고 하면 다들 놀란다.

학교 다닐 때 비즈니스스쿨 친구들을 잔뜩 데리고 갔었던 무제한 바베큐집, 마당쇠. 결코 고습스러운 분위기는 아니다.
학교 다닐 때 비즈니스스쿨 친구들을 잔뜩 데리고 갔었던 무제한 바베큐집, “마당쇠”. 결코 고습스러운 분위기는 아니다.

‘스시’가 미국 사람들에게 ‘고급 음식’으로 자리잡은지는 이미 오래 됐고, P.F. Chang 과 같은 커다란 중식 프렌차이즈가 미국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한국 음식은 여전히 ‘코리안 바베큐’정도로 알려져 있거나, 뉴욕의 고급 식당을 통해 조금 알려져있는 정도이다. 샌프란시스코에는 고급스러운 한식당 하나가 없고, 산호세 코리아타운에 가야 ‘장수장‘이라는 꽤 괜찮은 한식당이 하나 있을 뿐이다. 한편, LA에는 ‘조선갈비’라는 고급 한식당을 비롯해 괜찮은 곳들이 몇 개 있으며, 학교 친구들과 종종 갔던 ‘계나리’라는 한식당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큰 규모의 공간에 라운지 스타일로 고급스럽게 꾸몄고, 맛도 깔끔하고 환기도 잘 되어서 친구들을 데려갈 때마다 뿌듯하고 기분이 좋았다. (지금 Yelp를 확인해보니 문을 닫았다고 되어 있다. 당시에 손님들이 참 많았는데 왜인지 궁금하다. 결국 고급 한식당은 어려운 걸까?)

실리콘밸리로 이사오면서 처음에 마운틴 뷰(Mountain View)에 살았다. 거기 Xanh(‘썬’이라고 읽는다)이라는 베트남 퓨전 식당이 있었는데, 맛도 좋았지만 특히 분위기가 좋아서 사람들을 만날 일이 있을 때 무척 자주 갔다. 애피타이저가 10달러대, 메인 음식은 20달러 대라 팁과 세금을 포함하면 한 사람당 약 30달러 정도가 드는 괜찮은 식당이었는데, 갈 때마다 엄청 붐벼서 항상 예약을 해야 했고, 항상 미국인들로 가득 차 있었다. 하루는 식사하다가 매니저에게 그 식당 참 좋아해서 자주 온다고 했더니, 원래 자기 어머니가 마운틴 뷰에서 오랫동안 베트남 쌀국수 집을 30년 넘게 했었는데, 장소를 옮기면서 자신과 함께 인테리어와 메뉴를 고급스럽게 꾸몄다고 했다. 그 딸의 이름은 아멘다 팜 Amanda Pham, 그리고 그 어머니는 투이 팜 Thuy Pham 이었다.

마운틴 뷰 다운타운에 위치한 베트남 퓨전 레스토랑, Xanh
마운틴 뷰 다운타운에 위치한 베트남 퓨전 레스토랑, Xanh

거기 맨날 앉아서 생각을 했다. ‘왜 한식당 중에 이런 쿨한 곳이 없을까?’ 한국인들만 가는 그런 식당 말고, 또는 값싸서 찾아가는 그런 식당 말고, 미국인들이 비즈니스 미팅을 할 만한 그런 식당이 왜 없을까? 그 동네에 그런 식당을 만든다고 하면 과연 장사가 될까? 아직 그건 잘 모르겠다. 팔로 알토의 유니버시티 거리에 한(Han Korean Cuisine)이라는 한식당이 하나 있기도 했는데, 결국 미국인들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갈 때마다 손님이 없고 한산하더니 몇 달 전 결국 문을 닫았다.

그런 와중에, 마운틴 뷰에 위치한 ‘써니볼(Sunny Bowl)’이라는 비빔밥 전문점의 성공은 매우 고무적이다. 처음 20석의 작은 규모로 시작했지만 사람들이 항상 줄서서 기다려야 할 만큼 성공을 거둔 후 작년에 104석 규모로 확장했는데, 점심시간에 가면 자리가 없을 만큼 사람들이 많다. 근처에 구글, 링크드인 등의 회사가 있는데 회사에서 케이터링도 많이 하며 구글의 공짜 점심을 마다하고 오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리뷰 사이트인 옐프 Yelp에는 무려 543개의 리뷰가 있으며, 대부분 별 4개 또는 5개이다. 한국인 또는 동양인들이 위주가 아니라 근처에서 일하는 사람들, 사는 사람들이 아주 다양하게 온다. 그 주인은 다니엘 최(Daniel Choi)라는 분인데, 하와이와 LA에서 오랫동안 한식당을 경영하고 순두부집도 만들어 성공시킨 후에, ‘건강하고 좋은 음식으로 어필해보자’라는 생각으로 마운틴 뷰에 비빔밥 전문점을 열었다고 한다. 입맛 없을 때마다 아내와 함께 자주 갔었는데, 사장님과도 잘 알게 되어 다양한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었다.

마운틴 뷰의 비빔밥 전문점 '써니볼'의 옐프 리뷰
마운틴 뷰의 비빔밥 전문점 ‘써니볼’의 옐프 리뷰

파리바게뜨의 성공 또한 고무적이다. 작년에 팔로 알토 애플스토어 바로 맞은 편에 열었는데, 미국인들에게 대 인기다. 주말에 가서 앉아 있으면 끝없이 밀려들어와서 빵을 사서 가는 사람들을 보곤 했다. 물론, 파리바게뜨가 한국 브랜드임을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팔로 알토 중심부에 자리한 파리바게뜨. 갈 때마다 사람들이 붐빈다.
팔로 알토 중심부에 자리한 파리바게뜨. 꽤 큰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갈 때마다 사람들이 붐빈다.

다시 비빔밥 이야기로 돌아가서, 한식하면 코리안 바베큐와 순두부만 떠올리는 사람들에게, 맛도 좋고 몸에 좋은 비빔밥을 더 알리면 좋겠다는 생각을 항상 했었다. 그러다가 시카고 TEDx Hanriver 행사에 가서 비빔밥 유랑단, 그리고 그 팀을 이끄는 강상균 단장을 만났다. 그를 만나, 그의 진지함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후에 캘리포니아에서 몇 번을 다시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리고 참 고맙다고 생각했다. 많은 사람들에게 비빔밥을 알려주어서.

언젠가 미국에서 비빔밥이 스시처럼 자리잡고, 한식당이 고급 식당을 상징하게 될까? 언젠가일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날을 앞당기는, 강상균씨와 비빔밥 유랑단같은 팀이 있다는 것이 기분 좋다.

비빔밥 유랑단이 지난 3년간, 4개 대륙, 20여개국을 누비며 총 2만여명의 외국인들에게 비빔밥을 전파했던 이야기를 담은 영상을 얼마 전에 보았다. 무려 14분이라 좀 길다고 생각했는데, 편집도 잘 되어 있는데다 재미있고 가슴 뭉클할 만큼 감동적이어서 기분 좋게 끝까지 봤다.

강상균씨가 나에게 항상 했던 말이 기억에 남는다.

비빔밥이 한국 음식이라서가 아니라, 건강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라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겁니다.

 

8 thoughts on “한식을 미국에 알리는 방법 – 비빔밥 유랑단

  1. there is a new korean restaurant in Vegas called ‘Kitchen Gangnam’, You should visit when you have a chance to go Vegas 🙂 The decor of the restaurant is really beautiful. The pictures that are on display are actually pictures that the owner took himself when out in Korea. 미국에서 가본 korean restaurant 중에 인테리어 면에서는 최고였어요. Xanh 포스팅하신거 보니까 이 레스토랑이 생각나네요. http://4sq.com/19VfFEK

  2. 공감하는글입니다. 특히 마지막 ‘건강히 먹을 수 있어 좋아한다’라는 문장이요.
    Chipotle가 인기있는거 보면, 비슷한 방식으로 서빙해도 좋겠다라는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3. 참 고마운 일이네요! 글 잘읽었습니다 🙂 미국인들에게 스시가 되게 인기좋은걸 보고 참 안타까웠었는데 점점 한식이 트렌드가 되어갔으면 좋겠네요.

  4. 안녕하세요. 우연히 독립운동자료 검색하다 여기까지 왔네요. 신기하게.
    작년 시카고 TEDex에서 speech 잘 들었습니다.

    왜 우리는 비빔밥을 한국음식이라 광고해야 할까요? 전 스스로 비빔밥 유랑단이나 뉴욕타임즈 비빔밥광고가 필요한지 질문을 던져봅니다.

    한 음식점을 보고 생각해봅니다.
    시카고 20대에서 40대 초반들이 모여사는 핫한 동네에 비빔밥, 회덛밥과 김밥만을 특화해서 다루는 한국음식점이 육개월전 오픈했습니다.

    VMD도 상당히 잘되고 비빕밥의 건강적 요소들도 그래픽적으로 아주잘 전달하는 센스있는 한국음식점이 그 동네 젊은이들의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각종 리뷰 사이트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습니다.

    계속 질문하고 생각중입니다. 🙂

  5.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몇 주 후 산타클라라를 방문해야 할 일이 생겼는데, 간 김에 장수장이나 Sunny Bowl 같은 미국 사람들에게 한식을 전파하는 한식 전도사 역할의 음식점들을 방문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번 실리콘 밸리에 갔을 때 치뽈레라는 맥시칸 음식점을 갔는데, 많은 외국인들이 찾고, 또 한국 사람들 입맛에도 맞는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식도 그 장점을 잘 포착하면 맥시코 음식처럼 얼마든지 대중화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1. Chipotle의 성공을 보면서 비슷한 컨셉으로 한식 레스토랑을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도 그런 생각을 했었구요. 실제로 그런 컨셉으로 만든 레스토랑이 Milpitas라는 곳에 있기는 한데, 가서 먹어봤는데 맛은 있었지만 그 컨셉 자체가 대중화되기는 힘들어 보였습니다. 미국 내 멕시코 음식은 한식보다 훨씬 역사가 길고 넓게 퍼져 있지요. 히스패닉 인구들만 먹어도 그게 어딘가요.. 차이가 있기는 있습니다.

  6. 유니버시티 에비뉴에 파리바게트가 잘되는군요.
    작년 가을에 잠깐 방문했을때 손님이 너무 많이 신기해서 한참을 건너편에서 바라보았었는데..^^

    팔로알토에서 살때 한국식당을 가보고 싶기는 했지만 딱히 맘에 드는곳이 없었답니다.
    와이프가 타이음식을 좋아해서 타이식당은 여러번 갔었는데 갈때마다 손님이 많아서
    왜 한식당은 인기가 없을까 생각했었는데 정리를 잘 해주셨네요.

    유니버시티 에비뉴의 한국식당은 파리만 날리다 결국 문을 닫았다니..ㅠㅠ..
    누군가 벤처느낌으로 유니버시티 에비뉴에 근사한 한식당을 하나차려서
    대박내면 좋을것같은데 그날이 언젠가는 오겠지요.

    1. 지난 주말에도 파리바게트에 가서 빵을 잔뜩 사왔는데, 여전히 사람이 많았습니다. 평일이고 주말이고 사람들이 줄서서 빵을 삽니다. 앉아 있는 사람들도 많이 있구요. 빵이 워낙 맛있으니 경쟁력이 있는 것 같네요. 한국 식당 문 닫은 자리에는 햄버거 가게가 생긴 것 같은데 아직은 그렇게 인기 있지는 않구요. 근사한 한식당 하나 생기면 참 멋지겠다는 생각 저도 합니다만, 언젠가 누군가가 만들어 주겠죠..

Leave a Reply

Please log in using one of these methods to post your comment: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