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실리콘밸리에서 탄생하고 투자받는 스타트업들을 보고 있다 보면, ‘젊고, 돈 많으면서, 게으른(?)’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들이 참 많다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최근 이 지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서비스들이다.
1.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Google shopping express
내가 정말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이고, 주변에 이거 안쓰는 사람이 없다 할 만큼 잘 되고 있다. 컨셉은 간단하다. 웹사이트에 가거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원하는 물건을 클릭한 후 결재하면 당일 또는 다음날 아침에 현관 앞에 물건이 배달된다. 신선 제품은 배달이 안된다는 한계가 있지만, 코스트코(Costco)와 타켓(Target)을 커버하고 있어서 많이 쓰게 된다. 특히 캘리포니아처럼 뭐 간단한 거 하나 사려 해도 차를 몰고 나가야 하는 경우에 이 서비스를 쓰면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생수병처럼 들고 이동하기 무거운 건 일부러 여기서 주문하기도 한다. 처음 가입하면 6개월간 배송이 무료이다. 이 곳의 인건비를 생각하면 생각하기 힘든 일인데, 구글의 지갑이 참 두둑하긴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보다 먼저 이베이(eBay)가 동일한 컨셉으로 이베이 나우(eBay Now)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가게 하나당 5달러의 배송비가 들어 이제는 이용자가 거의 없어진 듯하다.

2. 태스크 래빗 TaskRabbit
역시 내가 상당히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 2년 전부터 쓰기 시작한 것 같다. 집 청소, 가구 조립, 가구 이동, 간단한 사무 작업 등을 다른 사람에게 시키고 싶을 때 이용한다. 일의 종류에 따라 인건비는 시간당 20~50달러 정도 하고, 이 중 20%를 태스크래빗이 수수료로 가져간다. 이 회사가 등장하기 전에 이미 비슷한 다른 시도가 많이 있었는데 대부분 실패했다. 낯선 사람에게 믿고 일을 맡기거나 집에 들어오게 한다는 게 간단치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IBM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던 여성 창업자 리아 버스키(Leah Busque)는 자신만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을 시작한 계기를 설명한 비디오를 보면, 보스턴에서 눈이 많이 내리던 어느 날 개 먹이가 떨어졌는데, “누군가가 먹이를 좀 사다주면 얼마나 편할까”라는 생각을 해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전에 그녀가 스탠포드에서 했던 강연을 들었는데, 시작이 결코 쉽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말을 참 설득력있고 공감 가게 잘하는데, 바로 그것이 이 어려운 사업 모델을 성공하게 만든 비결이 아니었나 싶다. 특히 사업 초기에 ‘래빗(rabbit)’들의 이미지를 잘 심으려 노력을 많이 했던 것이 기억난다. 아주 친절해 보이는 여성들을 모델로 썼고, 태스크를 맡을 사람들의 범죄 기록등을 일일이 체크하고 인터뷰도 일일이 한다고 설명해서 신뢰를 살 수 있었다. 여기에 조금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3. 인스타 카트 Instacart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의 편리함에 밀려 나는 쓰지 않는 서비스인데,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상당히 인기다. 구글 또는 여타 서비스와의 차이점은 신선 제품을 배달해준다는 것. 대신 직접 가서 사는 것보다 가격이 좀 비싸고 배달료가 추가된다. 사실 이런 신선 제품은 조금만 나가면 찾을 수 있는 것이라 과연 잘 될까 의구심도 들지만 사용자가 꽤 되는 것 같다. 사람들이 입에도 많이 오르내린다. 2012년에 설립한 이래 지금까지 안드리센 호로위츠, 코슬라 벤처스 등으로부터 54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4. 유어 미케닉 Your Mechanic
1년 전부터 쓰기 시작했는데 없으면 못 사는 서비스가 되었다. 자동차 관련해서 문제가 있으면 난 일단 여기를 가본다.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시간을 예약하면 그 시간에 정비공이 집이나 회사로 와서 주차되어있는 차를 고쳐준다. 엔진 오일 교체도 가능하고, 브레이크 패드, 워터 펌프 등 웬만한 수리도 다 가능하다. 특히 마음에 드는 건, 수리를 맡기기 전에 가격을 쉽게 뽑아볼 수 있다는 것 (아래 사진). 전에 백미러가 깨져서 딜러샵에 가서 물어봤더니 1200달러 수리비가 나왔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해서 300달러에 막았던 경험이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수리하는 사람들이 부품을 직접 구입하지 않고, 회사에서 부품을 구입해서 정비공에게 택배로 보내준다. 그래서 내 앞에서 택배로 온 상자를 개봉해서 수리하기 시작한다. 회사에서 질 좋은 부품을 구입했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된다. 유명한 실리콘밸리 엑셀러레이터인 와이 컴비네이터 (Y Combinator) 출신의 회사이며 12억원의 초기 투자를 받았다.


5. 커브 사이드 Curbside
2013년 9월에 나온 따끈따끈한 서비스. 얼마 전 8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테크크런치 기사를 보고 알게 되었다. 웹사이트에 있는 비디오를 보면 바로 감이 온다. 모바일 앱으로 동네 샵에서 물건을 주문하면, 결재가 되고 주문이 모두 처리되었을 때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이 온다. 퇴근하는 길에 지정된 장소에 차를 세우고 트렁크를 열면, 직원이 나와서 자동차 트렁크에 물건을 넣어준다. 트렁크를 닫고 그대로 집으로 가면 끝이다. 이보다 더 쇼핑이 쉬울 수 있을까. 뭐 하나 사려면 운전해서 가는데 시간이 걸리고 주차가 불편한 샌프란시스코 산다면 당연히 이용할 것 같은 서비스다.

6. 써몬 Summon
우버(Uber) 또는 리프트(Lyft)와 비슷한 컨셉인데, 이번에 출퇴근자를 위해 써몬 어헤드(Summon Ahead)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내놨다. 차가 필요한 시간과 장소를 미리 입력해두면 그 시간에 차가 도착해서 대기하고 있다. 스케줄을 미리 해야 하는 대신 가격도 더 저렴해진다. 20분 거리에 12.5달러.

지금까지 언급한 서비스들은 모두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실리콘밸리에서 시작했고, 주요 고객들도 이 지역에 있다. 이것이 왜 중요한가? 이런 서비스들이 살아남아 투자받고 성장할 수 있으려면 초기 고객들의 지원이 무척 중요한데, 이런 서비스에 기꺼이 돈을 내고자 하는 고객들이 이 곳에 많이 있다는 뜻이다. 그들이 누구일까? 테크 회사에서 일하고, 젊고, 돈 많고, 그리고 무엇보다 핵심적인 생산 활동과 무관한 일에 시간을 쓰기 싫어하는 사람들이다. 가끔 쇼핑도 하면서 머리 식히는 것도 필요할 법한데 왜일까? 구글과 페이스북같이 엔지니어들이 만든 회사들을 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나 역시 마찬가지지만, 엔지니어들은 특히 자신의 일에 집중하고 싶어한다. 그 일만으로도 충분히 골치가 아프기 때문이다. 뭘 먹을지, 뭘 입을지 고민하는 걸 싫어하고, 쇼핑하거나 이발하기 위해 쓰는 시간을 아까워한다. 그래서 회사 캠퍼스를 가 보면 생산 활동 이외에 쓰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려를 많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위에서 나열한 서비스들에 기꺼이 돈을 내고 쓰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것이 회사가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이 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또 한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이 주는 편리함이 결재의 용이성 없이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아무리 편리하게 만든다 해도, 결재할 때마다 비밀번호 입력해야 하고 공인인증서 꺼내고 보안 카드 꺼내야 한다면 과연 서비스가 인기를 얻을 수 있을까. 위 모든 서비스들은 예외 없이 신용카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거나 서비스를 신청하고, 아래와 같이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결재가 된다.

샌프란시스코의 ‘젊고, 돈 많고, 게으른(?)’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는 앞으로도 더 많아질 전망이다. 이 곳에서 성공을 거두면 미국 각 도시로 퍼져나가고, 곧 캐나다와 영국, 그리고 호주로 건너간다. 다른 지역에서 이런 서비스들을 선점하기 힘든 이유는, 아이디어가 없어서가 아니라, 바로 그러한 아이디어에 돈을 지불할 고객이 없기 때문이다 (참고: 질 높은 고객의 중요성).
저는 무엇보다 task rabbit의 marketing에 주목하게 되네요. 기존 사업상의 문제점을 잘 파악한 포장기술이랄까.. 이런 지역특색이 강한 서비스가 타 지역, 타 국가에서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돈뿐 아니라 지역 특성에 잘 맞지 않아서이지 않을까요.
결재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는 것에서는 해킹의 위험성은 어느정도인지, 그에 대한 대비는 어느정도인지도 함께 고지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하다못해 폰뱅킹조차 못미더워하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Task Rabbit 은 특별히 마케팅 활동을 벌이지도 않았는데 (이런 스타트업이 한국에서처럼 여러가지 마케팅 활동 벌인다고 하는 건 생각하기 힘듬..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입소문을 타고 빠르게 퍼진 것 같아. 처음 나왔을 때 tech media에 많이 실렸거든. Leah의 역할이 컸겠지. 해킹 위험성은 물론 있지만, 신용카드 정보가 새어나간다 해도 그 책임이 개인한테 있지 않기 때문에 개인들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 듯. 본인이 쓴 내역 아니라고 카드 회사에 전화하면 별로 묻지도 않고 환불해주거든. 한국에서는 이 보안에 대해 개인들이 유난히 신경을 써야 하는데, 개인에게 책임이 많이 전가되는 편이라 그런 게 아닐까 싶어.
Reblogged this on TONNY and commented:
Wow
마지막에 말씀하신 것처럼 ‘신용카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것이 한국에서는 문제가 되는 부분이죠. 이미 개인정보가 탈탈 털린터라, 신용카드 정보쯤 털리는건….
역시 경험을 통한 배움이라는 것이 확실히 느낌이 다르게 쏙쏙 잘 들어오네요.
저는 한국 eCom 1.5 세대 정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그리고, 한참이 지나 카드사에도 있어던 경험으로 조금 보충 설명드리면, 금융감독원의 막무가내 고집불통규정에 의해 카드정보를 사업자가 가지고 있을 수 없습니다. 개인에게 노출 시 전가되는 것도 물론 아니구요. 똑같이 불실/도난에 대한 보상은 카드사의 몫입니다. 미국의 경우 지불결제가 조금 다르게 규제를 하는데, 금감원상응하는 기관에 앞서 카드결제를 받는 사업자의 시스템이나 연결된 어떠한 부속 및 통신상에 카드정보의 흔적이 남으면 안되게 합니다. 한국은 마치 사업자 DB에 카드정보가 없으면 원천 봉쇄되는 것으로 생각들을 하신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처럼 아무생각없이 USB로 POS와 연결된 곳이 얼마나 취약한지 모르는 .. 공인인증서도 마치이것이 없으면 보안라이센스로 나라가 망할까봐 공들인.. 처음도입되어 결제를 하시는 고객에게 눈물나게 고마워 했었죠. 이런 불편함을 참고 이커머스를 키운 것은 샌프란시스코 시민 못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당산업이나 업종의 발전은 제공자 못지 않게 소비자의 성숙도와 비례하는 것에 공감합니다.
말씀하신 서비스의 밸류도 지역이 넓고 거리상 정말 대안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Valuation인 것과는 다르게 Hypermarket 아파트단지와 붙어있는 것이 자연스러운 저희상권에 샌프란시스코 주민이 Expat으로 와서 살게되면 해당서비스의 가치관도 달라지겠죠.
마이미케닉은 저처럼 현대부품대리점에서 다 사가지고 가서 공임만 내는 사람에게는… 쵝오네요. 사실개인정비소가 아닌 체인화된 예를들어 스피드메이트는 정비사가 마치 영업사원과 같이 부품판매 쿼타 또는 목표를 가져가게 합니다. 점주가 다른부품이나 판매를 종용해서 본사의 부품공급마진울 챙기는 구조이니.. 영업은 곧 고치지 않아도되는 부품을 권유해야하는… 이런 것이 싫어 그만두는 정비사를 둘이나 봤거든요… 이모델은 미케닉과 고객이 신뢰를 쌓을 수 있는 여건을 부품의 분리구조로서 해결 한것이 돋보입니다. 방문을 전제로한다면 정비소 공장자산의 투자를 줄이는 만큼 이윤을 부품에서 남기지 않아도 되는 상쇄효과가 있지 않나는 추측도 되네요.
한가지 질문 드린다는 것이… TaskRabit은 결국은 사시는 동네의 주민이라고 봐야 하나요? 아니면, 저렴한 인력 위주로 (이주 해온 인력) 구성이 되어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후자면 기존의 인력파견업체와 파트너십 및 서비스의 재정의를 한 것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설명 감사합니다. 마지막 질문에 대해 답변을 드리면, 제가 지금까지 고용한 태스커들은 모두 지역 주민들이었습니다. 백인 비율도 상당히 높아요. 그냥 가족을 부양하는 가장도 있고, 추가 수입을 얻고자 하는 학생도 있고, 주말에만 일하는 사람도 있고.. 다양합니다. 한 사람은 TaskRabbit에서 1년 정도 일했었는데 한참 후 연락하니까 미국 동부에 집 사서 갔다고, 한 번 놀러오라고 하더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기존인력파견업체와의 인력소싱을 위한 경재을 한것은 아닐 가능성이 보이네요. 저희나라의 경우도 흔히 이야기하는 직업소개소라는 곳을 통해 고객은 서비스퀄리티에 만족을 못느끼고 파견자는 자신에 적합하지않는 일에 서로 인상찌뿌리고 중간에 노무자격하나걸고 5평(?) 규격에 마추어 직업소개소간판을 걸고 있는 산업에도 먼가 충격을 줄 수있는 플랫폼이 필요하지 않나하는 생각이 듬니다.
이미 국내에도 비슷한 서비스가 꽤 시도 되고 있는데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국내서비스에 관심이 덜한거 같습니다. “타임맨” 이라는 국내 서비스도 눈여겨 봐야할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Eventually , It’s successful story depends on market validation with wide range customer needs ! Good concepts also .
좋은글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창업 준비중인 청년인데 준비중인 아이템이 ‘인스타카트’와 유사해요. 요즘 높은 금액의 투자도 유치했던데 사용해볼 수 없어서 너무 궁금합니다. 어떤점이 성공요인이라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한국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지 간단하게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렇군요. 이런 아이디어는 전부터 시도되어 왔는데, 인스타카트가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아이디어나 실행이 크게 차별화되었다기보다는 시장이 무르익어서가 아닐까 싶어요. 그 말은, 이런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꽤 높은 프리미엄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뜻이지요. 지난 5월에 인스타카트를 다룬 뉴욕타임즈 기사애 따르면, 이런 말이 있네요. “Despite its low-cost business model, Instacart isn’t cheap. The service charges a delivery fee of $3.99 for most orders, and it also makes money by marking up store prices. The amounts vary depending on the item, but I noticed Instacart’s prices coming in at about 20 percent more than I could find at my local store.” 한 번 배달에 4달러고, 품목 가격도 20% 정도 비싼 경우가 많아요. 이걸 지불할 용의가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이 키이죠. 10분 걸어가거나 운전해서 식료품을 사오기보다는 한 20달러 더 쓰고 집에서 받아보는 게 더 이익인 ‘몸값 비싼’ 사람들? 또 이런 말도 있네요. “Instacart’s shoppers earn from $15 to $30 an hour, depending on how quickly they deliver people’s food. That’s quite a high wage considering the job does not require a college degree, is part time and can be done during flexible hours. It’s substantially more than the typical supermarket worker salary of about $9 to $11 per hour — though of course without any benefits like health insurance” 즉, 이만큼 돈을 가져갈 수 있으니까 더 많은 사람들이 일하게 되는데, 이런 모델에서는 일하는 사람들이 많은 게 아주 중요하거든요. 그만큼 더 배송이 빨라지고 싸지니까 사람들이 더 많이 이용하게 되고. 여기에 Sequoia 같은 든든한 VC가 뒤에서 받쳐 주며 상당기간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메꿀 수 있으니까 가능한거겠죠. Airbnb도 그렇고, Uber도 그렇고, 이 블로그에서 예를 든 TaskRabbit도 그렇고 상당히 성공시키기 어려운 비즈니스 모델들인데 자금과 좋은 고객이 만나면 성사가 되는거죠. 한국에서도 물론 적용 가능한데, 이미 ‘해주세요’같은 서비스를 통해 저렴하게 쇼핑할 수 있는 것으로 아는데 그보다 더 저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