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에 우연히 발견한 글을 읽고 감동해서 회사와 제품 정보를 좀 찾아보다가 블로그에 메모. 매트리스를 만드는 스타트업에 대한 이야기다. 미국에서 매트리스를 사본 경험이 있다면 십분 공감할 스토리. 나도 매트리스 살 때 참 답답함을 느꼈고, 사고 나서 며칠 후 후회해도 소용 없게 되자 그 큰 매트리스를 처분하기도 힘들어서 고통을 겪어본 적이 있다. 좋은 걸 사자니 수천달러 이상이고, 값을 절약하자니 너무 안좋아보이고.
창업자 중 한 명인 JT는 원래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엔지니어.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온라인에서 매트리스 사려고 알아봤는데 분석적 방법이 먹히지 않았다고. 엉터리 정보들만.
In 2011, newlywed John-Thomas (“JT”) Marino ran headfirst into the mattress-buying morass. An engineer at a Silicon Valley startup, Marino took an analytical approach, intending to dissect the process of making his purchase before ever entering a mattress store. Things didn’t go well.
그래서 가게에 방문해서 알아봤는데 똑같은 매트리스에 브랜드만 달리해서 팔고, 똑같아 보이는 매트리스가 500달러 가격 차이.
When he visited mattress stores, things only got murkier, as commissioned salespeople appeared to be putting up smoke screens. “My objective was to learn the brands and compare features and models,” Marino says. Instead, he found that the same mattresses were often rebranded for different stores, or small tweaks were made to differentiate them. Some seemed to be identical, but one cost $500 more than the other. There was no real way to compare and contrast.
결국 3000달러를 들여 매트리스를 샀는데, 몇 주 써보고 나서 후회. 반납하려니 너무 비싸서 결국 쓰게 됐는데, 밤마다 자신이 실수했다는 사실을 상기한다고.
In the end, Marino spent more than $3,000 on a mattress. After a couple of weeks, he was ready to return it, but shipping costs were prohibitive. “I settled on this thing, and every night it just reminded me of my mistake,” he says.
그래서 같은 회사에서 일하던 Daehee Park (박대희)를 만나 6000달러 투자해서 창업하기로 결심.
Armed with that knowledge, Marino and Park left their jobs in June 2012 to work on their new venture full time, investing $6,000 and renting work space in Tempe, Ariz. They launched Tuft & Needle in December that year.
아마존에서 팔았는데 처음엔 반품이 많다가 지금은 반품이 1% 미만. 고객이 매우 만족.
“We had a much higher return rate then, but we hustled to continuously iterate on our mattress like it was software. Now our return rate is under 1 percent, our customers are super-satisfied, and they’re sharing with friends. That’s how we started to grow. We’re as viral as a mattress company can be.”
2013년 한 해 매출 10억. 2014년 첫 세 달 매출 10억. 이 추세라면 기사가 나가고 난 지금은 매달 매출 10억씩 올리고 있을 듯.
Today, Tuft & Needle’s mattresses, which are made of 1.9-pound density foam–similar to more expensive foam mattresses–are the top-rated product in Amazon’s furniture category. Marino and Park are not sharing unit sales numbers, but they report that overall sales in 2013 hit $1 million. The company, which now employs 13 staffers, reached $1 million in sales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2014 alone.
그리고 들어가면 자신들이 어떻게 해서 비용을 절감하는지 설명하고, 그리고 매트리스를 미국에서 만든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30일 이내에는 이유 불문하고 반품 가능. 반품 비용은 전액 회사 부담.
Tuft & Needle 홈페이지
아마존 판매 페이지를 보고 깜짝 놀랐다. 별 다섯 개 만점. 그동안 아마존에서 수백 개의 제품을 사봤지만 이렇게 별 다섯 개가 꽉 차 있는 건 처음 봤다. 그정도로 만족도가 높다는 뜻. 이런 정도 리뷰면 의심할 여지가 없다. 가격도 착해서, 트윈 사이즈는 배송비 포함해서 200달러. 다음번 매트리스는 여기서 사야겠다.
글은 아래와 같이 시작한다. 지난밤 UBeam이라는 회사가 10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는 소식을 WSJ에서 읽었는데, 요즘 투자자들이 기술과 떨어져가고 있다는 것. 펜실베니아대학을 갓 졸업한 사람이 초음파를 이용해서 에너지를 전송하겠다는 황당한(crazy) 아이디어를 내놓았는데 월트 모스버그가 주목했고 마크 안드리센, 마크 큐반 등이 100억을 던졌다더라..
Last night I came across a headline in the WSJ about how this company,UBeam, just raised $10M to create wireless ultrasound phone charges, and it grabbed my attention because it illustrates the fundamental flaw in tech investing right now, namely the enormous disconnect between the investors and the physics behind the technology in which they invest. See, this junior undergrad at U Penn had this crazy idea to charge phones by beaming ultrasonic energy at them. It got picked up by Walt Mossberg and featured at AllThingsD (does the D now stand for Dumb? I didn’t realize…), at which point Marc Andreessen, Mark Cuban, and other tech movers and shakers dumped $10M on them.
그리고 나서 입장을 이야기한다. 자신이 초음파 물리학을 공부했는데, 이건 말도 안되는 아이디어라는 것. 그 정도 에너지를 초음파로 전송하려 한다면 당신이 타서 죽거나, 적어도 귀버거리가 될 것이라고.
Except, here’s the problem. IT’S AN IMPOSSIBLE IDEA. Having donemy share of ultrasound physics AND wireless charging work in the past, the first thing that struck me about the idea was that, to transmit any appreciable amount of energy through sound waves, those waves would likely burn you, or at least deafen you, and any other small animals in the vicinity. This is why charging is currently done inside copper wires surrounded by plastic – so you don’t get hurt!
초음파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100배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것.
I used nice round numbers and assumed things like perfect focusing and a 1 square meter transmitter (seriously… 3 feet by 3 feet?? The cracks are showing…) and then calculated how much power you’d end up with at the phone, and it turns out to be about 100x less than the standard wall charger. That means it’ll take 100x longer to charge your phone with one of these, assuming you’re willing to deafen your dog and mount a 9 square foot speaker on the wall. Instead of a charge taking overnight, with UBeam it’ll take three months. Oh, and whatever you do, don’t ever stand in front of it or you might get killed!
무슨 꿈이든 꿀 수 있고, 돈을 부어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물리학 법칙은 적용하는 것이고, 결국은 물리학이 이길 것이다…
Basically, you can dream up whatever you want, but no matter how much money you have, you’ll always be constrained by physics. That lesson stuck with me, and it’s one that seems to be missing from today’s technology investment world, where people think that because they have money, they can buy their way out of basic physics. Not so. Physics always wins in the end.
이보다 전에, UBeam에 대한 투자를 이끌었던 Upfront Ventures의 마크 서스터가, 자신의 블로그에 투자를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한 바 있다. 글의 제목은 “전기를 와이파이처럼 쉽게 해주는 원대한 계획”. 처음 만났을 때 24살이던 창업자 Meridith Perry를 만난 인상, 그리고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확인한 사항들을 설명한다.
Did the physics actually work? Check
Was it safe? Well … for starters it is just an inaudible soundwave being transferred – as in the kind also used for women during pregnancy. It also happens to be how your car likely tells the distance to objects when you park or if you have a side assist whether you can change lanes safely. Check
Was there consumer demand? No brainer. If electricity could be transferred like WiFi but as safe as a soundwave we use on pregnant women’s bellies and at a price-point that was attractive this is a multi-billion market. Check.
Could we produce this at cost? At scale? Here is where having Marc Berte and a team out of MIT who have designed systems like this for years gave one confidence we could do something others couldn’t copy and at price points that could make us market leaders over night.
Did anybody hold patents that would prevent us from using this technology? I seldom hire patent attorneys during due diligence but this was too important. We hired OSHA regulatory lawyers. We hired IP specialists to review prior art. We grilled their IP attorneys. The more we dug the more confident we became (and so did every advisor we used).
그 자신도 이것이 워낙 미래적인 생각이라고 여겼는지, 창업자와 CTO를 만난 후 자신의 투자팀에게 “That’s the most ambitious project I’ve seen since I became a VC.(이건, 내가 벤처 투자자가 된 이래 본 가장 야망이 큰 프로젝트네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Danny의 글이 논란이 된 것을 보고 그의 동료(collaborator)가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긴 글을 올렸다. 자신은 ‘초음파로 밥먹고 사는 사람(I play with ultrasound for a living)’이라며, 이 시도가 성공할 지 실패할 지 알 수는 없지만, 초음파로 에너지를 전송하는데는 많은 문제점다며 조목 조목 설명한다. 아래는 그 중 하나. 이 장치로 충전을 하는 동안 소음이 너무 커서 24시간 전에 사무실 사람 모두에게 경고 이메일을 보내야 하고, 모두 이어 플러그를 꼽게 하고, 아무도 작은 동물을 가지고 실험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Problem #3. Basing this on my own lab experience, I know that for my cells to receive that much ultrasound, the transducer was so loud, I could only use it after normal business hours, with a 24 hour advance email warning to everyone on the floor, putting signs on the lab doors, making foam earplugs available to everyone in my lab area, and making sure that no one was doing small animal work at the times when it would be on (see Problem #1).
다섯 번째 문제점에 대한 설명도 재미있다. 음파가 워낙 강해서 이 음파가 통과하는 공기가 비선형적(nonlinear)으로 변할 것이고, 온갖 방향으로 예측할 수 없게 퍼져나가게 되며, 공기중 이산화탄소의 역할로 귀에 들리는 정도로 파장이 낮아지고, 사람들은 죽을만큼 짜증이 날 것이라고.
Problem #5. Let’s clear this up. If you’re in a room with a focused ultrasound beam, and that beam is strong enough, the medium through which it’s traveling (air in uBeam’s case) becomes nonlinear, the oscillations of which causes beams of widely ranging frequencies to be generated, and because they have different wave propagation speeds due to dispersion, they don’t focus, and instead propagate in all different directions. Air becomes a dispersive medium at frequencies greater than 28 kHz thanks to the presence of CO2. These propagating beams are hard to predict and control, and given that they’re going to be at lower frequencies than the original beam (because physics), they will probably drop into the audible human range (upper bound is around 23 kHz) and will be at the very least annoying as hell. Factors that influence this phenomenon is air temperature, pressure, altitude, CO2concentration… controlling this is well-nigh impossible.
열역학은 주관적인 주제가 아니며, 예외는 존재하지 않으며, 누가 하든 같은 파라미터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실제 계산에 따르면 이 아이디어는 성공할 수가 없다.
Thermodynamics is not subjective, it’s not magic, it exists whether you believe in it or not, there are no exceptions to it, and it’s not personal. It doesn’t matter whose hands this project is in, the same parameters exist. I find it very odd that the reaction is to reiterate that it’s not about the ways in which it won’t work but rather it’s about the ways that it will work, and yet there’s an actual calculation that counterindicates its success that no one from uBeam is directly addressing.
글의 결론이 마음에 든다. PR 캠페인의 덕으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은 프로젝트가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질문에 대해서도 대답 못한다는 사실이 슬프다고. 그러나 더 두려운 건, 이런 프로젝트의 실패로 인해 사람들이 과학을 기반으로 한 다른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도 잃게 되는 것. 그러니까 꼭 성공했으면 좋겠다는 내용.
I don’t know. It depresses me to see what could have been an honest simple project blown into an artificially loud PR campaign that looks like it can’t answer a high school physics question, even with all its patents filed. It doesn’t make me happy to think of uBeam failing. The whole thing is sad and generally shitty, not least of all because if uBeam isn’t much beyond an elaborate PR job, it’s just going to make it harder for the public to trust science and for investors to trust other ventures. So, Meredith Perry, you better pull it out of the bag and your product better work, because we sure as hell don’t need more shit stacked against Sonify and the rest of the innovators in and out of the ultrasound community if this field becomes associated with a Silicon Valley investment boondoggle.
한편, 이 두 물리학자들에게 ‘학부 출신 학생’이라 불린 Meridth Perry를 LinkedIn에서 찾아봤다. 펜실베니아대학 07학번.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을 공부했고, NASA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수많은 수상 경력과 특허 출원 경력으로 뒤덮인 프로필을 봐서는 꽤나 인상적으로 보인다.
Entrepreneurs accept that failure is a possibility but are highly motivated by not letting it happen to them. It can be one of the strongest motivators. Even bigger is the desire to stick one’s middle finger up at all of the people who doubted you all along. Who sat on the sidelines from the comfort of their keyboards risking nothing and criticizing everything.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창조 경제’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펼친 이야기를 한다. 미국의 가장 큰 힘은 ‘실패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문화’라고. 실리콘밸리가 아름다운 이유는, ‘적어도 뭐든 시도해본 사람’에 대한 존경이 있기 때문이라고.
I was fortunate enough recently to be invited to a private sitting with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Park Geun-hye, along with 18 other entrepreneurs. She is trying to build a “creative economy” in South Korea and wanted to learn from some Americans what made us so innovative and what they could learn from us. I thought I was pretty sell suited to answer that question because having grown up in Northern California but lived and worked in the UK, France, Germany, Italy, Spain & Japan over 11 years I had seen quite a few societies and work environments. I told her that I believed America’s best asset – driven initially from software innovation mindset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and media innovation driven from Los Angeles – was our willingness to accept failure. If a society shuns people for TRYING you discourage people from creating truly breakthrough innovation out of fear of failure. The beauty of Silicon Valley and the ethos it has driven in all of us is acceptance of failure and a profound respect for those who at least try.
그리고 나서 ‘위대한 도전자’들인 엘론 머스크와 래리 페이지, 그리고 리차드 브랜슨의 예를 든다. 다들 모두가 안된다고 하는 일에 도전해서 성취를 이루어낸 사람들이라고. 이 부분은 좀 논리 비약인 것 같다. 그들이 위대한 건 사실이지만, 당사자 메르디스를 설명하며 그들의 예를 든 것은 좀 지나치다고 본다.
When I think about the people in our generation I most respect: Elon Musk, Larry Page, Richard Branson – they are optimists to a fault. They have a can-do attitude that is infectious. Who else would publicly try to launch people into space so that one day we might be able to fly people from New York to Tokyo in 90 minutes.
그리고 자신의 투자가 옳았음을 주장한다. 분명 작동하고, 외부 전문가들의 이야기도 들었고, 특허도 확인했다고.
It does work. I have witnessed it working. So anybody telling you the physics is impossible is simply wrong.
I did not lose my hearing. I was not fried. I was not scared. I was not scarred. It is safe.
We hired outside experts. We kept our skepticism and like many who initially doubted we were convinced.
We checked patents. We checked regulatory rules. We checked efficiency calculations. We checked safety. We checked charge times.
Will it work at scale? Are we right in all of our assumptions and diligence? Time will tell.
마지막으로, 창업가들에게 말한다. 이렇게 한가하게 남 비판이나 하는 사람들 이야기 듣지 말고 확신과 낙관적 사고를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라고.
Let’s embrace those trying to push the boundaries while acknowledging that many of them in the end will fall short. And then let’s dust off and get them working again on their next innovation. We’re an industry filled with naive optimists, with can-do attitudes and a desire to change the world no matter how many back benchers want to ridicule us for trying. Don’t join that chorus – even when companies do fail. Schadenfreude is such a terrible sentiment.
평소에 마크 서스터의 글을 좋아하고 블로그에 올라온 글들 상당수를 읽었는데, 자신의 투자를 대놓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니까 이번에는 좀 흥분해서 길게 쓴 글인 것 같다.
내 생각은 이렇다. 내가 봐도 UBeam은 좀 터무니없는 아이디어인 것 같다. 25세 대학 졸업생의 원대한 프로젝트가 뉴욕타임즈에까지 자세히 실리고 실리콘밸리 간판 스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100억의 투자를 유치한 사실은, 그만큼 요즘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에 대해 관심이 높고, 또 투자가 원활하고 활발하게 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한편 요즘 넘쳐나는 돈을 보면, 이러다가 어떻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 아이디어가 100억원이라는 큰 돈을 받은 것고 그렇고, 마크 서스터 스스로도 ‘자신이 VC로 일한 이래 가장 원대한 아이디어’에 투자했다고 말했다는 것 자체가, 요즘 투자 리스크에 대한 걱정보다는 낙관론이 팽배하고, ‘세상을 바꿀 아이디어에 투자하자’는 생각이 지배적임을 보여준다.
전에 누군가가, “옆집 아저씨가 스타트업에 투자한다고 하면 거품 붕괴가 임박했다는 뜻이다”라는 말을 했는데, 과연 요즘엔 헐리웃 스타들과 농구 선수들이 스타트업에 돈을 붓고 있다. GlamSquad라는 회사는 스타일리스트를 집이나 사무실로 보내준다는 아이디어로 얼마전 7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경제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마련인데, 이러다가 생각보다 빨리 수축 시기가 오지 않을까. 아무쪼록 그것이 너무 갑작스럽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요즘 실리콘밸리에서 탄생하고 투자받는 스타트업들을 보고 있다 보면, ‘젊고, 돈 많으면서, 게으른(?)’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들이 참 많다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최근 이 지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서비스들이다.
1.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Google shopping express
내가 정말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이고, 주변에 이거 안쓰는 사람이 없다 할 만큼 잘 되고 있다. 컨셉은 간단하다. 웹사이트에 가거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원하는 물건을 클릭한 후 결재하면 당일 또는 다음날 아침에 현관 앞에 물건이 배달된다. 신선 제품은 배달이 안된다는 한계가 있지만, 코스트코(Costco)와 타켓(Target)을 커버하고 있어서 많이 쓰게 된다. 특히 캘리포니아처럼 뭐 간단한 거 하나 사려 해도 차를 몰고 나가야 하는 경우에 이 서비스를 쓰면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생수병처럼 들고 이동하기 무거운 건 일부러 여기서 주문하기도 한다. 처음 가입하면 6개월간 배송이 무료이다. 이 곳의 인건비를 생각하면 생각하기 힘든 일인데, 구글의 지갑이 참 두둑하긴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보다 먼저 이베이(eBay)가 동일한 컨셉으로 이베이 나우(eBay Now)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가게 하나당 5달러의 배송비가 들어 이제는 이용자가 거의 없어진 듯하다.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2. 태스크 래빗 TaskRabbit
역시 내가 상당히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 2년 전부터 쓰기 시작한 것 같다. 집 청소, 가구 조립, 가구 이동, 간단한 사무 작업 등을 다른 사람에게 시키고 싶을 때 이용한다. 일의 종류에 따라 인건비는 시간당 20~50달러 정도 하고, 이 중 20%를 태스크래빗이 수수료로 가져간다. 이 회사가 등장하기 전에 이미 비슷한 다른 시도가 많이 있었는데 대부분 실패했다. 낯선 사람에게 믿고 일을 맡기거나 집에 들어오게 한다는 게 간단치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IBM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던 여성 창업자 리아 버스키(Leah Busque)는 자신만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을 시작한 계기를 설명한 비디오를 보면, 보스턴에서 눈이 많이 내리던 어느 날 개 먹이가 떨어졌는데, “누군가가 먹이를 좀 사다주면 얼마나 편할까”라는 생각을 해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전에 그녀가 스탠포드에서 했던 강연을 들었는데, 시작이 결코 쉽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말을 참 설득력있고 공감 가게 잘하는데, 바로 그것이 이 어려운 사업 모델을 성공하게 만든 비결이 아니었나 싶다. 특히 사업 초기에 ‘래빗(rabbit)’들의 이미지를 잘 심으려 노력을 많이 했던 것이 기억난다. 아주 친절해 보이는 여성들을 모델로 썼고, 태스크를 맡을 사람들의 범죄 기록등을 일일이 체크하고 인터뷰도 일일이 한다고 설명해서 신뢰를 살 수 있었다. 여기에 조금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태스크 래빗 이용 화면태스크 래빗 웹사이트. 초기부터 항상 이렇게 친절해보이는 여성을 내세워 ‘신뢰’를 강조했다.
3. 인스타 카트 Instacart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의 편리함에 밀려 나는 쓰지 않는 서비스인데,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상당히 인기다. 구글 또는 여타 서비스와의 차이점은 신선 제품을 배달해준다는 것. 대신 직접 가서 사는 것보다 가격이 좀 비싸고 배달료가 추가된다. 사실 이런 신선 제품은 조금만 나가면 찾을 수 있는 것이라 과연 잘 될까 의구심도 들지만 사용자가 꽤 되는 것 같다. 사람들이 입에도 많이 오르내린다. 2012년에 설립한 이래 지금까지 안드리센 호로위츠, 코슬라 벤처스 등으로부터 54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인스타카트 (Instacart)
4. 유어 미케닉 Your Mechanic
1년 전부터 쓰기 시작했는데 없으면 못 사는 서비스가 되었다. 자동차 관련해서 문제가 있으면 난 일단 여기를 가본다.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시간을 예약하면 그 시간에 정비공이 집이나 회사로 와서 주차되어있는 차를 고쳐준다. 엔진 오일 교체도 가능하고, 브레이크 패드, 워터 펌프 등 웬만한 수리도 다 가능하다. 특히 마음에 드는 건, 수리를 맡기기 전에 가격을 쉽게 뽑아볼 수 있다는 것 (아래 사진). 전에 백미러가 깨져서 딜러샵에 가서 물어봤더니 1200달러 수리비가 나왔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해서 300달러에 막았던 경험이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수리하는 사람들이 부품을 직접 구입하지 않고, 회사에서 부품을 구입해서 정비공에게 택배로 보내준다. 그래서 내 앞에서 택배로 온 상자를 개봉해서 수리하기 시작한다. 회사에서 질 좋은 부품을 구입했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된다. 유명한 실리콘밸리 엑셀러레이터인 와이 컴비네이터 (Y Combinator) 출신의 회사이며 12억원의 초기 투자를 받았다.
유어 미케닉 Your Mechanic브레이크 패드 네 개 가는 비용은 655달러. 이렇게 미리 가격을 투명하게 볼 수 있다.
5. 커브 사이드 Curbside
2013년 9월에 나온 따끈따끈한 서비스. 얼마 전 8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테크크런치 기사를 보고 알게 되었다. 웹사이트에 있는 비디오를 보면 바로 감이 온다. 모바일 앱으로 동네 샵에서 물건을 주문하면, 결재가 되고 주문이 모두 처리되었을 때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이 온다. 퇴근하는 길에 지정된 장소에 차를 세우고 트렁크를 열면, 직원이 나와서 자동차 트렁크에 물건을 넣어준다. 트렁크를 닫고 그대로 집으로 가면 끝이다. 이보다 더 쇼핑이 쉬울 수 있을까. 뭐 하나 사려면 운전해서 가는데 시간이 걸리고 주차가 불편한 샌프란시스코 산다면 당연히 이용할 것 같은 서비스다.
커브사이드 Curbside
6. 써몬 Summon
우버(Uber) 또는 리프트(Lyft)와 비슷한 컨셉인데, 이번에 출퇴근자를 위해 써몬 어헤드(Summon Ahead)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내놨다. 차가 필요한 시간과 장소를 미리 입력해두면 그 시간에 차가 도착해서 대기하고 있다. 스케줄을 미리 해야 하는 대신 가격도 더 저렴해진다. 20분 거리에 12.5달러.
써몬 (Summon)
지금까지 언급한 서비스들은 모두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실리콘밸리에서 시작했고, 주요 고객들도 이 지역에 있다. 이것이 왜 중요한가? 이런 서비스들이 살아남아 투자받고 성장할 수 있으려면 초기 고객들의 지원이 무척 중요한데, 이런 서비스에 기꺼이 돈을 내고자 하는 고객들이 이 곳에 많이 있다는 뜻이다. 그들이 누구일까? 테크 회사에서 일하고, 젊고, 돈 많고, 그리고 무엇보다 핵심적인 생산 활동과 무관한 일에 시간을 쓰기 싫어하는 사람들이다. 가끔 쇼핑도 하면서 머리 식히는 것도 필요할 법한데 왜일까? 구글과 페이스북같이 엔지니어들이 만든 회사들을 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나 역시 마찬가지지만, 엔지니어들은 특히 자신의 일에 집중하고 싶어한다. 그 일만으로도 충분히 골치가 아프기 때문이다. 뭘 먹을지, 뭘 입을지 고민하는 걸 싫어하고, 쇼핑하거나 이발하기 위해 쓰는 시간을 아까워한다. 그래서 회사 캠퍼스를 가 보면 생산 활동 이외에 쓰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려를 많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위에서 나열한 서비스들에 기꺼이 돈을 내고 쓰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것이 회사가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이 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또 한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이 주는 편리함이 결재의 용이성 없이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아무리 편리하게 만든다 해도, 결재할 때마다 비밀번호 입력해야 하고 공인인증서 꺼내고 보안 카드 꺼내야 한다면 과연 서비스가 인기를 얻을 수 있을까. 위 모든 서비스들은 예외 없이 신용카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거나 서비스를 신청하고, 아래와 같이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결재가 된다.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주문 화면. 미리 입력해둔 신용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주문하기 (Submit Order)’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젊고, 돈 많고, 게으른(?)’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는 앞으로도 더 많아질 전망이다. 이 곳에서 성공을 거두면 미국 각 도시로 퍼져나가고, 곧 캐나다와 영국, 그리고 호주로 건너간다. 다른 지역에서 이런 서비스들을 선점하기 힘든 이유는, 아이디어가 없어서가 아니라, 바로 그러한 아이디어에 돈을 지불할 고객이 없기 때문이다 (참고: 질 높은 고객의 중요성).
얼마전 MIT 테크놀러지 리뷰에 실린 Technology and Inequality (기술과 불평등) 이라는 글을 읽었다. 유럽에 비해 미국에서 빈부 격차가 심해졌다는 것이 논의의 시작인데, 글이 진행되면서 이것이 기술 발전 때문이라는 이야기로 발전한다.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인 팔로 알토에 거지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예로 들며, 실리콘밸리에 부가 축적되는 것과는 별개로 시간당 16달러 미만을 버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고, 실리콘밸리 남부 주민의 19퍼센트가 가난한 층에 속한다고 한다. 더불어, 미국의 소득 중위값이 53,000달러인 것에 비해 실리콘밸리의 소득 중위값은 94,000달러에 달한다는 것도 예로 든다.
Median income in Silicon Valley reached $94,000 in 2013, far above the national median of around $53,000. Yet an estimated 31 percent of jobs pay $16 per hour or less, below what is needed to support a family in an area with notoriously expensive housing. The poverty rate in Santa Clara County, the heart of Silicon Valley, is around 19 percent, according to calculations that factor in the high cost of living.
이런 자료도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상위 1%가 전체 부의 34%를, 0.1%가 15%를 소유하고 있으며, 금융 위기 후인 2009년부터 2012년 사이에 늘어난 소득의 95%를 상위 1%가 가져갔다고 한다(이 대목을 읽고 깜짝 놀랐다).
The gap between the wealthy and everyone else is largest in the United States. In 2010, the richest 1 percent of the population had 34 percent of the accumulated wealth; the top 0.1 percent had some 15 percent. And the inequality has only gotten worse since the last recession ended: the top 1 percent captured 95 percent of income growth from 2009 to 2012, if capital gains are included.
2009년부터 2010년 사이의 재산 증가분. (출처: Technology Review)
그리고 나서, Erik Brynjolfsson이라는 한 MIT 교수의 말을 인용해 이런 소득 격차의 원인이 기술 발전에 있다고 주장한다.
“My reading of the data is that technology is the main driver of the recent increases in inequality. It’s the biggest factor,” says Erik Brynjolfsson, a professor of management at MIT’s Sloan School
내용은 이렇다.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일들이 자동화되고 있고, 그 결과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운도 좋은 소수의 사람들이 새로 창출되는 부를 독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Brynjolfsson lists several ways that technological changes can contribute to inequality: robots and automation, for example, are eliminating some routine jobs while requiring new skills in others (see “How Technology is Destroying Jobs”). But the biggest factor, he says, is that the technology-driven economy greatly favors a small group of successful individuals by amplifying their talent and luck, and dramatically increasing their rewards.
기술 발전으로 파이의 크기가 증가하고는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실리콘밸리의 사례로 넘어간다. 한 조인트 벤처 대표의 말을 인용한다: “실리콘밸리에서 중간층은 이제 사라졌어요. 아주 부자이거나 아주 가난한 사람들만 남았지요.”
In his quiet suite in a large office building in downtown San Jose, Joint Venture president Russell Hancock seems impatient when asked about inequality in the region. “I have more questions than answers. I can’t explain it. I can’t tell you how to fix it,” he begins abruptly. “We used to be a classic middle-class economy. But that’s all gone. There’s no longer a middle class. The economy is bifurcated and there’s nothing in the middle.”
그리고 몇 가지 사례를 더 든다. 실리콘밸리에 사는 사람 중 20~25퍼센트가 하이테크 영역에 종사하고 있고, 부는 그들에게 집중된다. 이들이 집값, 교통비를 비롯한 모든 생활비를 증가시키고, 소매점이나 레스토랑에서 일하거나 노동을 하는 사람들의 급여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The situation in Silicon Valley helps explain why. About 20 to 25 percent of the population works in the high-tech sector, and the wealth is concentrated among them. This relatively small but prosperous group is driving up the cost of housing, transportation, and other living expenses. At the same time, much of the employment growth in the area is happening in retail, restaurant, and manual jobs, where wages are stagnant or even declining. It’s a simple formula for income inequality and poverty.
U.C. Davis 교수인 Chris Benner는,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소수의 사람들이 조단위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 것뿐이지, 1998년 이래 실리콘밸리에서 일자리의 수는 늘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According to Chris Benner, a regional economis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there has been no net increase in jobs in Silicon Valley since 1998; digital technologies inevitably mean you can generate billions of dollars from a low employment base.
그리고 나서 글은, ‘하이테크 영역에 종사할 수 있는 기회가 평등하게 돌아가도록 교육의 평등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넘어가며, 기술이 더 발전할수록 미국의 미래가 점차 실리콘밸리의 모습을 닮아갈 것인지, 그렇다면 소수만 부자가 되는 시스템이 창의력과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을지 묻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과연, 실리콘밸리는 미국 내에서 소득 수준이 높은 편이지만 그만큼 비용 또한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이 ‘날씨가 좋은 캘리포니아에서 사는 데 드는 프리미엄을’ 빗대어 기후세(Climate Tax) 또는 날씨세(Weather Tax)라고도 표현하는데, 정말 내 소득의 30%를 좋은 기후에 사는 대가로 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곳의 물가가 높다. 안그래도 높았는데 지난 3년간 계속 증가해서 지금은 더 높아진 것 같다. 거기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이 집값의 상승이고, 더불어 기름값, 음식값 등등도 같이 올라서 지금은 뉴욕 맨하탄보다 샌프란시스코가 더 살기 비싸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든다. 도대체 여기서 숨쉬고 살려면 돈이 얼마나 드는 걸까? 한 번 정리를 해봤다.
1. 집값: 월 2000 ~ 4000달러
가장 큰 항목은 집세이다. 부모에게 집을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면 아파트에서 살거나 집을 사야 한다. 이 곳에서 ‘한 가족이 웬만큼 살만한 집’은 60만달러부터 시작한다. 여기에 ‘학군이 괜찮고 주변 환경이 괜찮으며 작은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기 원한다면 집값은 100만 달러이상으로 올라간다. 미국에서는 ‘매월 임대료를 내고, 관리 사무실이 따로 있는 곳’을 아파트라고 부르는데 (한국의 아파트는 condominum이라고 한다), 방 두 개 있는 30평 남짓 아파트 가격은 최소 3000달러이며, 좀 좋은 곳은 5000달러 정도 한다 (물론 더 비싼 곳도 있다)
마운틴뷰 기차역 근처에 신축한 Madera 아파트 가격. (출처: Zillow. 1000 스퀘어 피트는 약 30평)샌프란시스코 SoMa 지역의 고급 아파트, Two Tower 가격 (출처: Zillow)마운틴뷰의 ‘학군이 그다지 좋지 않은 지역의’ 방 2개짜리 콘도 가격샌프란시스코 SoMa 지역의 방 2개 콘도 가격 (출처: Zillow)
결국, 아파트에 살든 모기지(담보 대출)을 끼고 집을 사든, 방 2개가 있는 웬만한 집에서 살고 싶다면 보통 3500달러는 든다고 생각.
2. 관리비: 200달러
아파트에 살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긴 하지만, 전기, 가스, 수도, 쓰레기 등을 처리하는 비용도 꽤 비싸서 이런 데 나가는 돈을 합치면 월 200달러 정도.
3. 차량 유지비: 500달러
일단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것이 아니면 사람 한 명당 차 한 대가 필요하다. 자동차 등록비도 꽤 비싸서 차 한대당 1년에 100~200달러. 그리고 보험료도 높아서 차 한 대당 월 50~100달러. 그리고 감가상각으로 월 100~500달러. 차량 수리비도 비싸서, 간단한 수리라도 1000달러 이상 드는 경우가 많다. 설상가상으로 살인적으로 높은 교통 위반 벌금이 더해진다. 주차 위반은 50달러, 카메라에 찍혀서 걸리면 500달러.
교통 위반 고지서. 벌금 490달러.
캘리포니아가 서울에 비해 저렴하기는 하지만 (리터당 1200원 가량?), 대신 먼 거리를 운전할 일이 많으므로 그만큼 연류 소모량이 많다. 기릅값은 차 한대당 월 50~150달러 정도.
4. 건강 보험: 300달러
회사에 따라 건강 보험을 80%정도 커버해주는 곳도 있고 100% 커버해주는 곳도 있는데, 100% 커버가 아니면 가족당 월 보험료 300달러 정도. 회사에서 커버가 안되면 월 보험료 1000~1500달러. 그리고도 병원에 가서 의사를 만날 때마다 Co-Pay로 매번 25달러씩 내야 한다.
Kaiser Permanente 병원 그룹 3인 가족 월 보험료. 이건 일반 의료 보험만이고, 치과 보험과 안과 보험은 다른 회사에서 따로 가입해야 한다. (출처: kaiserpermanente.org)
참고로, 미국에서 의료 보험 없이 사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할 일. 의료비가 너무 높기 때문이다. 간혹, 병원이 보험 회사에 청구하는 고지서를 볼 때가 있는데 정말 깜짝 놀란다. 작년에 아이가 태어날 때 산부인과를 이용했는데, 자연 분만을 했는데도 불과하고 이틀 병실 입원료까지 합쳐 병원에 청구된 금액이 2만 달러였다.
산부인과 병원비 고지서. 조정 후 4400달러. 이건 출산과 관련한 병원비만이고, 2박 3일 입원비는 따로 15,000달러가 나왔다.
보험이 없는 상태에서 갑자기 사고가 나서 응급실을 이용하기라도 하면 큰일이다. 들어갔다 바로 나오기만 해도 200달러 정도 들고, 앰뷸런스를 불렀다면 400~1200달러. 들어가서 수술이라도 하면 2만달러. 며칠 입원하면 1만달러 추가. (출처: CostHelper.com)
이건 어떤 음식을 먹는지, 외식을 얼마나 하는지 등에 달려 있어서 일률적으로 말하기 힘든데, 3인 가족의 경우 최소 1000달러 정도 들지 않을까 싶다. 참고로, 레스토랑에서 식사할 경우 세금과 팁을 포함해서 한 끼에 15달러 정도. 조금 좋은 곳에서 식사할 경우 한 끼에 30달러.
6. 쇼핑 등: 500달러
그냥 살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들 사는 데 드는 비용.
7. 여행: 300달러
가끔 있는 여행을 위한 비축.
8. 데이 케어(놀이방): 1200달러
어린 아이가 있고, 부모가 둘 다 일을 할 경우에는 데이케어 센터에 아이를 보내야 한다. 정부 보조 이런 거 전혀 없고 100% 자기 부담이다. 주 5일 맡길 경우 아이 한 명당 1200달러정도 된다.
위에 나열한 것만 합치면 8000달러. 일단 생각나는 항목들만 적어본 것이고, 여기에 생각지 못하게 빠져나가는 온갖 비용들이 추가된다. 주변에 좀 물어보니 3인 가족의 경우 생활비가 최소한 월 8000달러는 드는 것 같다. 평균은 잘 모르겠지만 1만 달러 정도 되지 않을까? 여기에 어린 아이 하나당 월 1500달러 추가. 아이를 사립 학교에 보낼 경우 아이 한 명당 월 3000달러 추가.
월 1만 달러를 소비하려면 연봉이 얼마여야 할까? 세금 후 1만달러를 받으려면 세금 전 수입이 월 13,500달러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고, 연봉으로 환산하면 16만달러이다.
도대체 이 지역의 월 소득이 얼마이길래 경제가 돌아가고 있는 것일까. 궁금해서 좀 찾아봤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듯, 주요 도시의 가구 소득 중위값이 13만~16만달러정도 사이에 있다. 제일 위에 위치한 Atherton과 Hillsborough는 미국에서 손꼽히는 부자 동네이다. 샌프란시스코는 대도시이다보니 빈민층 통계가 같이 잡힌 것 같다.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