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잘 만든 개인 금융 관리 서비스, 민트(Mint)

2009년 11월 2일. 25세의 한 청년이 3년여에 걸쳐 만든 소프트웨어가 Intuit(NASDAQ: INTU, 시가총액 약 15조원의 금융/회계 소프트웨어 전문 회사)이라는 회사에 $170 million (약 1900억 원)에 매각되었다[]. 6살 때부터 컴퓨터를 만지며 자랐고, 대학 때 전자공학을 전공한 이 청년은, 처음엔 웹 소프트웨어를 만들 줄 몰랐다. 하지만 순수히 필요에 의해 웹 프로그래밍을 배운 후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시작했고, 회원 수가 150만명에 이를 때까지도 사무실 비용, 광고비, 또는 변호사에게 줄 돈도 마땅히 없었다고 한다. 실리콘 밸리가 아니었다면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이었고, 실리콘 밸리를 자랑스러워한다는 그의 이름은 애런 팻저(Aaron Patzer)이다[].

한국에서도 유명한 다른 서비스와는 달리 Mint는 미국에 금융 계좌가 있어야 쓸 수 있는 서비스이므로 한국에서는 이용할 일이 없다. 사실 미국에서조차도 아직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한마디로 설명하면 개인 자산을 관리해주는 서비스인데, 은행 계좌 정보, 증권 계좌 정보, 대출 계좌 정보, 기타 자산 정보 등을 입력하면 그 모든 걸 통합해서 아주 깔끔하게 보여준다. 어떤 항목에 얼마 썼고, 지난달에 비해 이번달엔 얼마 썼고, 지난달보다 올해 자산이 얼마나 증가/감소했고, 등등등.. 굳이 일일이 가계부를 기록할 필요가 없다. 때로는 그냥 보고만 있어도 재미있다.

Mint.com 초기화면

이런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항상 있었다. 그래서 내가 전에 썼던 방법은 은행에서 계좌 정보와 신용 카드 사용 정보를 엑셀로 다운로드하고, 또 다른 계좌에서도 엑셀로 받은 후 이를 통합하고, 분류하고, 그래프로 표시하고… 하는 것이었다. 한 번 하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잘 해서 모델을 만들어놨다 해도 매번 여기 저기 접속해서 엑셀 데이터를 받아와서 입력하는 게 보통 귀찮은 게 아니다. 결국 한 두번 하다가 포기하곤 했다. Bank of America 에서 매달 명세서를 보내기는 하지만, 모두 숫자 위주의 데이터여서 가만히 쳐다봐도 내가 그래서 결국 어디에 얼마를 쓰고 있고 수익이 어디서 얼마만큼 들어오고 있는지 감을 잡기가 어려웠다.

더 어려운 것은 거래 내역에 문제가 없는지 이따금씩 확인해 보는 일이다. 처음 미국에 왔는데 한 미국 친구가 신용 카드 명세서가 올 때마다 일일이 확인해보고 나서야 입금하는 것을 보고, “한국에서는 이런 걸 모두 자동 이체로 처리하고 마는데, 매번 명세서 확인하고 입금하려면 귀찮겠다”했더니, 정색을 하며 신용카드를 갚기 전에 꼭 한 번 확인해봐야 한다고 했다. 가끔씩 자기가 레스트랑에서 낸 팁 이상으로 청구되기도 하고 때론 중복으로 청구되기도 하기 때문에 한 번씩 확인한다는 것이다. 그 말을 듣고 나도 종종 자동 이체를 쓰지 않고 매번 명세서를 확인한 후 입금하곤 했는데, 신용카드가 여러 개 생기고 나니까 일일이 확인하기 귀찮아져서, 이를 모두 모아 한 곳에서 다 볼 수 있으면 얼마나 편할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던 차였다.

오버뷰(Overview) 페이지: 이번 달엔 차 수리, 학교에 기부, 가족 선물 구입 등으로 예산을 크게 초과하고 말았다... 😦

이런 문제들을 한 번에 해결한 것이 민트(Mint)이다. 이제 내가 할 일은 가끔씩 민트에 들어가서 거래 내역을 쭉 보고 이상 없는지 확인하고, 내가 예산 잡은 것보다 많이 지출된 항목이 뭔지 확인하고, 대출 계좌를 통한 각 계좌 지불이 잘 되고 있는지 보고, 증권 계좌를 포함한 모든 자산을 통합했을 때 내 현재 자산 가치가 얼마인지 한 번씩 보면 끝이다. 전에는 몇 시간 걸렸을 일이 이제 겨우 몇 분으로 줄어든 것이다. 아래에 상세 정보 페이지를 몇 개 더 캡쳐해 봤다.

거래 내역 정보 페이지. 어떤 은행, 어떤 신용카드의 정보인지는 신경쓸 필요가 없다. 모든 것이 한 페이지에 통합되어 있다. 카테고리는 내가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레스토랑, 쇼핑몰, 바 등의 이름을 정확히 인식해서 알아서 분류한다.
이렇게 각 분야별로 얼마가 지출되었는지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너무 편리하다.
이렇게 월별 추이도 깔끔하게 볼 수 있다. 8월에는 이사하느라 돈이 많이 깨졌고, 10월 11월엔 쇼핑하느라.. 음.. -_-
증권 계좌 정보를 입력하면 내 포트폴리오가 S&P 500에 비해서 얼마만큼 잘 하고 있는지 이렇게 보여준다. 구글과 애플 주식 덕분에 보기 좋게 나가고 있다. 🙂

이렇게 좋은 서비스를 공짜로 제공하면, 과연 민트의 수익 모델은 뭘까? 아래에 그 비밀이 있다.

즉, 내가 현재 쓰는 신용 카드 및 증권 계좌 대신 다른 것을 쓰면 돈을 얼마나 아낄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다른 서비스를 광고하는 것이다. 구매자와 판매자를 모두 만족시키니 정말 뛰어난 아이디어가 아닐 수 없다. 인터뷰에 따르면, 애런은 처음 시작할 때부터 이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집 주소를 입력하면 집의 현재 가치가 자동으로 반영되어 입력된다. 그래서 집값이 오르고 내리는 것을 전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에 내가 가진 자산 중 값어치가 있는 것 (차, 그림, 골동품 등등)도 모두 입력해서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집 주소를 입력하면 Cyberhomes로부터 현재 시세 정보를 가져와서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민트의 창업자, 애런 팻저(Aaron Patzer)

제품 자체도 우수하지만, 이 회사를 창업해서 Intuit에 매각한 뒷 이야기가 사실은 더 재미있다.  28세에 포춘지에서 선정한 최고의 기업가 40인(Top 40 business person) 중 한 명으로 등극한 [] 애런 팻저(Aaron Patzer)는 듀크(Duke)와 프린스턴(Princeton)에서 컴퓨터 공학, 전자공학을 전공한 기크(Geek)인데, IBM과 스타트업에서 일하다가 민트 아이디어를 갖게 되어 회사를 그만 두고 6개월간 하루에 14시간씩 일해서 제품을 만들어냈다고 한다. 그 전에 웹 프로그래밍을 해본 적이 없었다고 했으니, 배우면서 부딪치면서 이 서비스를 만들어낸 것이다. []

당시 테크크런치(TechCrunch)에서 민트의 성공을 유투브의 성공과 비교해서 아주 재미있게 읽었던 기사에서 나온 이야기인데, 원래 매각 제시 가격은 $130 million (약 1500억)이었다고 한다. 창업자 Aaron은 이것이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하고 팔지 않았고, 몇 달 후 가격은 $170 million (약 1900억)으로 올라갔다. 겨우 몇 달 사이에 $40 million, 즉 450억원에 가까운 돈을 번 셈이다. 더 재미있는 건, 혼자 기술 개발을 다 한 것이 아니라는 점. 서비스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인, 각 금융기관으로부터 안전하게 거래내역  Yodlee라는 회사가 가지고 있었고, 이 회사에는 연간 기술사용료로 평균 $2 million정도만을 지불했다. 그러나 Mint.com이라는 도메인을 소유한 Hite Capital과는 지분 계약을 했고 (즉, 돈 대신 Mint의 주식을 주었고), 그 결과 Hite Capital은 수천만 달러(수백억원)를 벌었다. 아마도 도메인으로부터 번 수입으로는 거의 최고치가 아닌가 싶다. 한편 Yodlee는 기술 다 만들어놓고 남 좋은 일 시킨 셈이다. 계약 내용의 차이가 나중에 얼마나 큰 수익의 차이를 가져오는 지 보여주는 한 예이다.

또 한가지 이 사례에서 배울 점. 근본적인 기술을 만들어야만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 이미 기술이 존재하더라도, 좋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기술을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고, 그것으로 성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창업자 애런이 민트를 매각한 후에 테크크런치에 기고한 글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문구를 인용한다.

So that’s the Mint story. $0 to $170m in three years flat. While everyone else was doing social media, music, video or the startup de jour, we tried to ground ourselves in what any business should be doing: solve a real problem for people. Make something that is faster, more efficient, cheaper (in this case free), and innovate on technology or business model to make a healthy revenue stream doing it. (이것이 바로 민트 이야기입니다. 3년만에 0원에서 1900억원으로. 모든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 음악, 비디오 스타트업을 하고 있을 때 우리는 근본에 집중했습니다. 사람들을 위한 진짜 문제를 해결하자. 더 빠르고, 더 효율적이고, 더 싸게 (이 경우에는 공짜로) 만들고, 기술과 사업 모델을 혁신해서 건강한 매출이 들어오게 하자는 것입니다.)

참 와닿는 이야기이다. 가치를 창출하고 사람들의 시간과 돈을 아끼면 그 대가를 보상받는다.

30 thoughts on “정말 잘 만든 개인 금융 관리 서비스, 민트(Mint)

    1. 정말 좋은 질문을 하셨는데요, 창업자 Aaron도 ‘보안’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과연 누가 mint.com을 믿고 은행계좌 access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겠느냐는 것이지요. 창업자와의 인터뷰에 그 답변이 있습니다. “Regarding security, keep in mind Mint.com has a read-only connection to your bank account, so you can’t actually move money around and no one can drain your accounts. We also have bank-level data security, along with low-balance and unusual spending alerts to help you proactively identify fraud or identity theft.” 즉, mint.com에서는 은행으로부터 “read-only” access 권한만을 부여받습니다. 그리고 자체적으로도 은행과 못지 않은 보안 체계를 갖추고 있구요.
      미국 은행을 써보시면 놀라는 것이 있는데, 한국과는 달리 아이디와 암호만 입력하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겁니다. 미국에서 인기있는 서비스 Paypal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디와 암호만 압력하면 돈을 지불하거나 송금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간단한데도 paypal 에서 금융 사고 일어났다는 얘기 못들어봤습니다. 그거 쓰다가 우리나라 은행 접속하려고 하면 답답해서 속이 터지지요. 보안카드, 계좌비밀번호, 공인인증서, 이체비밀번호… 어떻게 미국이 이렇게 간단한 인증으로 좋은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지는 저도 궁금하게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언제 한 번 알아봐야겠어요.

  1. 민트가 이튜잇가 넘어갔군요. 20년전쯤 제가 아는 한국 유학생들을 만나면 퀴큰을 쓰는 친구들이 많아서… 이런걸 쓰기도 하는구나 했는데, 끝없이 진화하더군요. 즐거운 합병인거죠? ^^; 잘 읽고 갑니다.

    1. 저는 Quicken을 써보지는 않았지만 나름 잘 만든 서비스였을거라고 생각합니다. Intuit은 소비자가 원하는 걸 잘 아는 좋은 회사이니까요. 근데 mint.com은 그보다 한 수 위이니 그만큼 더 편리한가봅니다. 저는 좋은 합병이라고 평가합니다. 창업자 Aaron은 지금 Intuit의 부사장으로 재미있게 일하고 있습니다. 안그래도 이번달에 Aaron이 Techcrunch랑 인터뷰를 했는데 거기서 6~9개월 이내에 Quicken Online의 생명에 종지부를 찍게 될 것이라고 얘기했습니다. 이런 좋은 경쟁제품을 제때 인수한 Intuit이라는 회사… 맘에 듭니다.

  2. 한국에서는 비슷한 컨셉으로 시작했던 moneta.com이 금감원 규제 탓에 서비스를 접고, webprp.co.kr의 머니플랜이 수 년째 허덕이고 있습니다. 이걸 보면 중간에 말씀하신 buyer와 seller를 모두 만족시키는 아이디어를 만드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느껴집니다. 그리고 시장환경이 아이디어의 실현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수 없겠지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1. 이상하게도 스팸 분류가 되어 있어서 지금에야 답글을 발견했네요. Moneta.com이라.. 모바일 금융 서비스 이름이었던 것 같은데… Mint와 비슷한 컨셉의 서비스가 있었다가 규제때문에 없어졌나요? 이런.. 아쉽군요.

    1. 이규창 기자님, 트랙백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UI의 중요성이 갈수록 더해가고 있습니다. 아이폰 출시와 더불어 이 부분에서 많은 발전이 있으면 좋겠네요. 얼마 전 회사 동료에게 “제일 자주 쓰는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이 뭐냐?” 라고 물었더니 하나를 띄워서 보여줬는데 애기들을 위한 영어 단어 암기 게임이라고 하네요. 자기 딸이 정말 좋아한대요. 참고로 딸의 나이는 한 살

  3. Mint는 편하고 깔끔하고 유용해서 참 좋은 것 같아. 전혀 새로운 컨셉은 아니면서도 그간 아무도 못했던 서비스라는게 제일 인상적이야. 근데 clothing에 $83 budget을 준건 너무 적은 것 같아. ㅎㅎ

    1. 그러게요 이렇게 좋은 서비스가 전에 없었다니.. 한국엔 아직도 없죠 뭐.
      Clothing 83불… 하핫. 민트 쓰던 첫 달에 83불 나왔길래 이정도가 평균으로 나오겠구나 했지요. 웬걸.. ^^;
      곧 이쪽으로 오겠네요? 목요일에 봐요~

    1. 예. 창업 때부터 이미 이런 재미난 비즈니스 모델을 생각하고 있었다는게 인상적이었습니다.

  4. 호기심에 바로 접속해서 가입하려고 해보니 한국은 서비스가 제공안된다고 해서 바로 접었습니다.
    유사한 서비스가 한국에서도 많았는데 크지 못한 복합적인 이유가 궁금하네요.

  5. 어제 인공지능 인터뷰 기사 읽다,짧지만 싱싱한 내용에 검색해 들려 정말 잘 읽고 있습니다. 기존 검색이 정보를 찾아 주는 것 이었다면,미래 검색은 필요를 해결해주고,더 나은 대안을 제시해 주는 서비스가 될거라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네트웍 상에서 이용자가 생성하는 DB가 꼭 필요하겠죠!
    (민트닷컴 검색은 아니지만 필요해결을 통한 가장 모범적인 사례라고 느껴졌습니다.)
    개인 식별정보를 제외한 통계로 활용 가능한 정보를 어느 국가가 제일 먼저 자원화 하느냐가 국가 간 경쟁의 핵심이 된다고 보여지는데 온라인 게임과 펌질 복제나 홍보성글들과 광고로 채워지는 대한민국 웹생태계가 답답하고, 아이폰 때 보다 더 뒤쳐지고 크게 타격 받지 싶어 염려됩니다.

  6. 민트닷컴에 대해 관심이 있어서 이것저것 찾아 보는데

    계속 드는 의문점은 ‘대체 왜 우리나라에는 이런 사이트가 없는가’였습니다.

    위에 댓글 보니 우리나라에도 유사한 사이트가 몇 개 있네요.

    그중에서 네이버에서 하는 게 가장 비슷한 거 같은데,

    민트닷컴이 보기에 더 편하다는 느낌이 드네요.

    그래도 대충 보기에는 쓸만한데 사람들이 안 쓰는 이유는 뭘까요?
    필요성을 못 느껴서일까요?
    아니면 사용하기가 불편해서일까요?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듯 한데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아무튼 좋은 글 감사합니다~

  7. 네이버에서 제공하던 개인 금융서비스도 결국 폐쇄가 되었네요.
    http://finance.naver.com/notice.nhn?permLink=/read/1100001004/10000000000025320411
    이유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아쉬운 한국의 현실입니다.

    한국에서는 보안의 의미가 너무 과장되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누구를 위한 보안인지 알수가 없네요. 정치도 사회도, 문화도 그냥 감추고, 폐쇄하고, 법, 보안이라는 테두리에서 가둬버리는것이 현실입니다.

    언제가 되어야 이런 생각들이 바뀌는 건지… 바뀌긴 할지도 의심스럽습니다.

  8. 새해를맞아 얼마전부터 후잉가계부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은행계좌를 긁어오진 못하지만 아주 사용하기 편하더라고요. 민트도 아직 미국, 캐나다에서만 사용가능한걸 보면, 아직은 금융은 (계좌, 금융거래 관련 소비자보호, 규제, 제도 때문에) 국경이 존재해서, 국내용으로도 잘만 만들면 가능성 있을 것 같아요.

  9.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
    글을 읽다보니 mint가 intuit에 매각되는 과정에서 yodlee, hite capital과의 관계는 어떻게 됐는지 의문이 들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