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 강남 스타일로 한국과 미국이 난리다. 전에 제레미 린 센세이션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이번엔 중국계 미국인이 아닌 한국인이 미국을 흔들었다.
지난 8월 28일,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강남 스타일을 배우고 싶다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남긴 것을 계기로 미국의 인기 토크쇼인 Ellen 쇼에 싸이가 등장해서 브리트니 스피어스에게 춤을 직접 가르쳐주었고(이 비디오는 하루만에 100만명 이상이 시청했으며 지금은 뷰가 천만이 넘었다), 오늘은 무려 6백만명이 보는 Today 쇼에 등장하면서 완전히 상승세를 탔다.

그 결과는 iTunes 전체 싱글 차트 1위다. iTunes 뮤직 비디오에서 1위를 한 지는 꽤 지났지만, iTunes 싱글 차트 1위는 오늘이 처음이다. 미국에서 접속했는데 1위에 뜨는 것을 봐서 국가와 상관 없이 전체 1위를 한 것이다.

놀랍다고밖에 할 수 없다. 이제 회사 동료들도 이 노래를 알고, MBA를 같이 다녔던 미국 친구들이 이 춤을 알고 있다.
혹자는 그 전에 엄청난 돈을 들여 미국 진출을 시도하던 K팝 스타들이 실패한 것을, 싸이가 마침내 돈 한푼 안쓰고 미국에서의 성공을 보여줬다고 한다.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내가 보기에 JYP의 원더 걸스는 아시아는 물론 미국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SM 엔터테인먼트의 소녀 시대및 슈퍼 주니어 역시 성공했다. 지난번 마운틴 뷰에서 구글 유투브와 MBC가 함께 기획했던 K팝 콘서트에 가서 엄청난 인기를 실감했었다. 그 큰 Shoreline Amphitheater 공연장을 가득 메운 사람들을 보며 K팝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었다.
지금처럼 CNN, WSJ에 등장할 만큼 떠오르지는 않았지만, K팝은 오랜 기간 동안 미국 사람들에게 스며들고 있었다. 특히 지난번 ValleyInside에 썼던 ‘한국 문화 전도사’ 스테파니 파커와의 인터뷰에서 볼 수 있듯 미국에 한국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 도움이 되었다. 주변 한국 친구들의 권유로 한국 노래와 드라마를 접하게 되고, 거기에 빠지고, 그래서 지금은 K팝 전도사가 되었다는 스토리이다.
이러한 K팝 인기에 한 몫을 더한 것은 한국 드라마이다. 얼마 전 회사 식당에 갔더니 Korean Rice Bowl이라는 메뉴가 새로 생겼길래 셰프에게 물어봤더니 자기가 만든 메뉴라고 했다. 웬일인가 하면, 와이프가 한국 드라마를 워낙 좋아해서 옆에서 같이 보다가 한국 음식 및 문화에 관심이 생겼고, 그래서 나름대로 메뉴를 만들어봤다고 한다. (미국에 있으면서 ‘와이프가 한국 드라마의 열렬한 팬이다.’는 말을 참 많이 듣는다.) 비빔밥 같기도 하면서 아닌 것이 좀 독특한 맛을 내기는 하지만, 어쨌든 이 “Korean Rice Bowl” 앞에는 매번 사람들이 줄을 서 있을 정도로 인기가 좋다.
K팝과 한국 드라마의 인기에 큰 도움을 주고 팬들이 한 곳에 모일 수 있게 해준 것은 커뮤니티 사이트들이다. 그 중 한국계 미국인 Susan Kang이 만든, 2011년에 엔써즈에 인수된 Soompi.com이 대표적이다. 무려 1998년에 처음 생긴 웹사이트이며, K팝을 좋아하는 전 세계 팬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페이스북 페이지에 140만명의 팬이 있다. AllKPop도 엄청난 인기다. 페이스북 페이지의 팬이 155만명이나 된다. 한국 드라마를 자신의 언어로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는 호창성 대표가 만든 Viki가 있다. Viki 페이스북 페이지의 팬은 무려 460만명이다.

크로싱 더 캐즘(Crossing the chasm)등에도 등장하듯이, 이노베이터(Innovator)의 역할은 제한적이다.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가 대중에게 파고들려면 팔로워(Follower)들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K팝은 그동안 이러한 팔로워들을 엄청나게 모아둔 상태였다.

그 때 싸이가 등장했다. 자신의 노래가 미국에서도 인기를 끌 것이라는 것은 예상하지도, 기대하지도 않은 채.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 매우 잘 만든 뮤직 비디오이고,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살 수 있는 요소를 갖추었기에 이렇게 전 세계 사람들의 인기를 끌고 빠르게 미국의 메인 스트림에 침투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투자하고 구축해놓은 인프라와 팬 베이스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항상 좋은글 감사드려요. 어제는 운전하다가 옆에 탄 친구한테, “라디오 키면 싸이 노래나오는거 아니야?” 이러면서 라디오를 켰더니 강남스타일이 곧바로 나와서 깜짝 놀랐어요 ^^
그리고 삼성, 현대, 기아등도 진정한 한류인것 같은데, 한국 브랜드인지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것 같아서 조금 아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