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로 휴대폰 충전하기, 그리고 실리콘밸리의 투자 거품 논란

오늘 아침에 트윗했는데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이기에 블로그에 간략히 요약. 엊그제 Danny라는 사람이 블로그에 올린 “How putting $10M into UBeam illustrates everything that is wrong with tech investing today (UBeam에 100억이 투자된 사례가 보여주는, 요즘 잘못되어 있는 기술 투자)”라는 글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얻으며 Y컴비네이터에 이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까지 올라갔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제목이 워낙 자극적이라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기 때문인 것 같다.

글은 아래와 같이 시작한다. 지난밤 UBeam이라는 회사가 10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는 소식을 WSJ에서 읽었는데, 요즘 투자자들이 기술과 떨어져가고 있다는 것. 펜실베니아대학을 갓 졸업한 사람이 초음파를 이용해서 에너지를 전송하겠다는 황당한(crazy) 아이디어를 내놓았는데 월트 모스버그가 주목했고 마크 안드리센, 마크 큐반 등이 100억을 던졌다더라..

Last night I came across a headline in the WSJ about how this company,UBeam, just raised $10M to create wireless ultrasound phone charges, and it grabbed my attention because it illustrates the fundamental flaw in tech investing right now, namely the enormous disconnect between the investors and the physics behind the technology in which they invest.  See, this junior undergrad at U Penn had this crazy idea to charge phones by beaming ultrasonic energy at them.  It got picked up by Walt Mossberg and featured at AllThingsD (does the D now stand for Dumb?  I didn’t realize…), at which point Marc Andreessen, Mark Cuban, and other tech movers and shakers dumped $10M on them.

그리고 나서 입장을 이야기한다. 자신이 초음파 물리학을 공부했는데, 이건 말도 안되는 아이디어라는 것. 그 정도 에너지를 초음파로 전송하려 한다면 당신이 타서 죽거나, 적어도 귀버거리가 될 것이라고.

Except, here’s the problem. IT’S AN IMPOSSIBLE IDEA.  Having donemy share of ultrasound physics AND wireless charging work in the past, the first thing that struck me about the idea was that, to transmit any appreciable amount of energy through sound waves, those waves would likely burn you, or at least deafen you, and any other small animals in the vicinity.  This is why charging is currently done inside copper wires surrounded by plastic – so you don’t get hurt!

초음파로 에너지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100배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것.

I used nice round numbers and assumed things like perfect focusing and a 1 square meter transmitter (seriously… 3 feet by 3 feet??  The cracks are showing…) and then calculated how much power you’d end up with at the phone, and it turns out to be about 100x less than the standard wall charger.  That means it’ll take 100x longer to charge your phone with one of these, assuming you’re willing to deafen your dog and mount a 9 square foot speaker on the wall.  Instead of a charge taking overnight, with UBeam it’ll take three months.  Oh, and whatever you do, don’t ever stand in front of it or you might get killed!

무슨 꿈이든 꿀 수 있고, 돈을 부어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물리학 법칙은 적용하는 것이고, 결국은 물리학이 이길 것이다…

Basically, you can dream up whatever you want, but no matter how much money you have, you’ll always be constrained by physics.  That lesson stuck with me, and it’s one that seems to be missing from today’s technology investment world, where people think that because they have money, they can buy their way out of basic physics.  Not so.  Physics always wins in the end.

이보다 전에, UBeam에 대한 투자를 이끌었던 Upfront Ventures의 마크 서스터가, 자신의 블로그에 투자를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한 바 있다. 글의 제목은 “전기를 와이파이처럼 쉽게 해주는 원대한 계획”. 처음 만났을 때 24살이던 창업자 Meridith Perry를 만난 인상, 그리고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확인한 사항들을 설명한다.

  • Did the physics actually work? Check

  • Was it safe? Well … for starters it is just an inaudible soundwave being transferred – as in the kind also used for women during pregnancy. It also happens to be how your car likely tells the distance to objects when you park or if you have a side assist whether you can change lanes safely. Check

  • Was there consumer demand? No brainer. If electricity could be transferred like WiFi but as safe as a soundwave we use on pregnant women’s bellies and at a price-point that was attractive this is a multi-billion market. Check.

  • Could we produce this at cost? At scale? Here is where having Marc Berte and a team out of MIT who have designed systems like this for years gave one confidence we could do something others couldn’t copy and at price points that could make us market leaders over night.

  • Did anybody hold patents that would prevent us from using this technology? I seldom hire patent attorneys during due diligence but this was too important. We hired OSHA regulatory lawyers. We hired IP specialists to review prior art. We grilled their IP attorneys. The more we dug the more confident we became (and so did every advisor we used).

그 자신도 이것이 워낙 미래적인 생각이라고 여겼는지, 창업자와 CTO를 만난 후 자신의 투자팀에게 “That’s the most ambitious project I’ve seen since I became a VC.(이건, 내가 벤처 투자자가 된 이래 본 가장 야망이 큰 프로젝트네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Danny의 글이 논란이 된 것을 보고 그의 동료(collaborator)가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긴 글을 올렸다. 자신은 ‘초음파로 밥먹고 사는 사람(I play with ultrasound for a living)’이라며, 이 시도가 성공할 지 실패할 지 알 수는 없지만, 초음파로 에너지를 전송하는데는 많은 문제점다며 조목 조목 설명한다. 아래는 그 중 하나. 이 장치로 충전을 하는 동안 소음이 너무 커서 24시간 전에 사무실 사람 모두에게 경고 이메일을 보내야 하고, 모두 이어 플러그를 꼽게 하고, 아무도 작은 동물을 가지고 실험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Problem #3. Basing this on my own lab experience, I know that for my cells to receive that much ultrasound, the transducer was so loud, I could only use it after normal business hours, with a 24 hour advance email warning to everyone on the floor, putting signs on the lab doors, making foam earplugs available to everyone in my lab area, and making sure that no one was doing small animal work at the times when it would be on (see Problem #1).

다섯 번째 문제점에 대한 설명도 재미있다. 음파가 워낙 강해서 이 음파가 통과하는 공기가 비선형적(nonlinear)으로 변할 것이고, 온갖 방향으로 예측할 수 없게 퍼져나가게 되며, 공기중 이산화탄소의 역할로 귀에 들리는 정도로 파장이 낮아지고, 사람들은 죽을만큼 짜증이 날 것이라고.

Problem #5. Let’s clear this up. If you’re in a room with a focused ultrasound beam, and that beam is strong enough, the medium through which it’s traveling (air in uBeam’s case) becomes nonlinear, the oscillations of which causes beams of widely ranging frequencies to be generated, and because they have different wave propagation speeds due to dispersion, they don’t focus, and instead propagate in all different directions. Air becomes a dispersive medium at frequencies greater than 28 kHz thanks to the presence of CO2. These propagating beams are hard to predict and control, and given that they’re going to be at lower frequencies than the original beam (because physics), they will probably drop into the audible human range (upper bound is around 23 kHz) and will be at the very least annoying as hell. Factors that influence this phenomenon is air temperature, pressure, altitude, CO2concentration… controlling this is well-nigh impossible.

열역학은 주관적인 주제가 아니며, 예외는 존재하지 않으며, 누가 하든 같은 파라미터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실제 계산에 따르면 이 아이디어는 성공할 수가 없다.

Thermodynamics is not subjective, it’s not magic, it exists whether you believe in it or not, there are no exceptions to it, and it’s not personal. It doesn’t matter whose hands this project is in, the same parameters exist. I find it very odd that the reaction is to reiterate that it’s not about the ways in which it won’t work but rather it’s about the ways that it will work, and yet there’s an actual calculation that counterindicates its success that no one from uBeam is directly addressing.

글의 결론이 마음에 든다. PR 캠페인의 덕으로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은 프로젝트가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질문에 대해서도 대답 못한다는 사실이 슬프다고. 그러나 더 두려운 건, 이런 프로젝트의 실패로 인해 사람들이 과학을 기반으로 한 다른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도 잃게 되는 것. 그러니까 꼭 성공했으면 좋겠다는 내용.

I don’t know. It depresses me to see what could have been an honest simple project blown into an artificially loud PR campaign that looks like it can’t answer a high school physics question, even with all its patents filed. It doesn’t make me happy to think of uBeam failing. The whole thing is sad and generally shitty, not least of all because if uBeam isn’t much beyond an elaborate PR job, it’s just going to make it harder for the public to trust science and for investors to trust other ventures. So, Meredith Perry, you better pull it out of the bag and your product better work, because we sure as hell don’t need more shit stacked against Sonify and the rest of the innovators in and out of the ultrasound community if this field becomes associated with a Silicon Valley investment boondoggle.

한편, 이 두 물리학자들에게 ‘학부 출신 학생’이라 불린 Meridth Perry를 LinkedIn에서 찾아봤다. 펜실베니아대학 07학번.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을 공부했고, NASA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수많은 수상 경력과 특허 출원 경력으로 뒤덮인 프로필을 봐서는 꽤나 인상적으로 보인다.

UBeam 창업자 Meridith Perry의 링크드인(LinkedIn) 프로필
UBeam 창업자 Meridith Perry의 링크드인(LinkedIn) 프로필

이러한 논란이 가열되자, 투자를 이끌었던 마크 서스터는 즉시 자신의 블로그에 스타트업의 낙관론과 리스크에 대한 옹호(The Case for Optimism and Risk at Startups) 라는 제목의 긴 글을 올렸다. 사업가들은 정말 강력한 동기를 가지고, 모든 사람들이 안된다고 하는 일을 어떻게든 되게 만드는 사람이라고. 키보드 앞에 앉아 비평이나 하는 사람들이랑은 다르다고.

Entrepreneurs accept that failure is a possibility but are highly motivated by not letting it happen to them. It can be one of the strongest motivators. Even bigger is the desire to stick one’s middle finger up at all of the people who doubted you all along. Who sat on the sidelines from the comfort of their keyboards risking nothing and criticizing everything.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 ‘창조 경제’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펼친 이야기를 한다. 미국의 가장 큰 힘은 ‘실패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문화’라고. 실리콘밸리가 아름다운 이유는, ‘적어도 뭐든 시도해본 사람’에 대한 존경이 있기 때문이라고.

I was fortunate enough recently to be invited to a private sitting with the president of South Korea, Park Geun-hye, along with 18 other entrepreneurs. She is trying to build a “creative economy” in South Korea and wanted to learn from some Americans what made us so innovative and what they could learn from us.  I thought I was pretty sell suited to answer that question because having grown up in Northern California but lived and worked in the UK, France, Germany, Italy, Spain & Japan over 11 years I had seen quite a few societies and work environments. I told her that I believed America’s best asset – driven initially from software innovation mindset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and media innovation driven from Los Angeles – was our willingness to accept failure. If a society shuns people for TRYING you discourage people from creating truly breakthrough innovation out of fear of failure. The beauty of Silicon Valley and the ethos it has driven in all of us is acceptance of failure and a profound respect for those who at least try.

그리고 나서 ‘위대한 도전자’들인 엘론 머스크와 래리 페이지, 그리고 리차드 브랜슨의 예를 든다. 다들 모두가 안된다고 하는 일에 도전해서 성취를 이루어낸 사람들이라고. 이 부분은 좀 논리 비약인 것 같다. 그들이 위대한 건 사실이지만, 당사자 메르디스를 설명하며 그들의 예를 든 것은 좀 지나치다고 본다.

When I think about the people in our generation I most respect: Elon Musk, Larry Page, Richard Branson – they are optimists to a fault. They have a can-do attitude that is infectious. Who else would publicly try to launch people into space so that one day we might be able to fly people from New York to Tokyo in 90 minutes.

그리고 자신의 투자가 옳았음을 주장한다. 분명 작동하고, 외부 전문가들의 이야기도 들었고, 특허도 확인했다고.

  • It does work. I have witnessed it working. So anybody telling you the physics is impossible is simply wrong.
  • I did not lose my hearing. I was not fried. I was not scared. I was not scarred. It is safe.
  • We hired outside experts. We kept our skepticism and like many who initially doubted we were convinced.
  • We checked patents. We checked regulatory rules. We checked efficiency calculations. We checked safety. We checked charge times.
  • Will it work at scale? Are we right in all of our assumptions and diligence? Time will tell.

마지막으로, 창업가들에게 말한다. 이렇게 한가하게 남 비판이나 하는 사람들 이야기 듣지 말고 확신과 낙관적 사고를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라고.

Let’s embrace those trying to push the boundaries while acknowledging that many of them in the end will fall short. And then let’s dust off and get them working again on their next innovation. We’re an industry filled with naive optimists, with can-do attitudes and a desire to change the world no matter how many back benchers want to ridicule us for trying.  Don’t join that chorus – even when companies do fail. Schadenfreude is such a terrible sentiment.

평소에 마크 서스터의 글을 좋아하고 블로그에 올라온 글들 상당수를 읽었는데, 자신의 투자를 대놓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니까 이번에는 좀 흥분해서 길게 쓴 글인 것 같다.

내 생각은 이렇다. 내가 봐도 UBeam은 좀 터무니없는 아이디어인 것 같다. 25세 대학 졸업생의 원대한 프로젝트가 뉴욕타임즈에까지 자세히 실리고 실리콘밸리 간판 스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100억의 투자를 유치한 사실은, 그만큼 요즘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에 대해 관심이 높고, 또 투자가 원활하고 활발하게 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한편 요즘 넘쳐나는 돈을 보면, 이러다가 어떻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 아이디어가 100억원이라는 큰 돈을 받은 것고 그렇고, 마크 서스터 스스로도 ‘자신이 VC로 일한 이래 가장 원대한 아이디어’에 투자했다고 말했다는 것 자체가, 요즘 투자 리스크에 대한 걱정보다는 낙관론이 팽배하고, ‘세상을 바꿀 아이디어에 투자하자’는 생각이 지배적임을 보여준다.

전에 누군가가, “옆집 아저씨가 스타트업에 투자한다고 하면 거품 붕괴가 임박했다는 뜻이다”라는 말을 했는데, 과연 요즘엔 헐리웃 스타들과 농구 선수들이 스타트업에 돈을 붓고 있다. GlamSquad라는 회사는 스타일리스트를 집이나 사무실로 보내준다는 아이디어로 얼마전 7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경제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마련인데, 이러다가 생각보다 빨리 수축 시기가 오지 않을까. 아무쪼록 그것이 너무 갑작스럽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젊고, 돈 많고, 게으른(?) 사람들을 위한 혁신

요즘 실리콘밸리에서 탄생하고 투자받는 스타트업들을 보고 있다 보면, ‘젊고, 돈 많으면서, 게으른(?)’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들이 참 많다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최근 이 지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서비스들이다.

1.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Google shopping express

내가 정말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이고, 주변에 이거 안쓰는 사람이 없다 할 만큼 잘 되고 있다. 컨셉은 간단하다. 웹사이트에 가거나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원하는 물건을 클릭한 후 결재하면 당일 또는 다음날 아침에 현관 앞에 물건이 배달된다. 신선 제품은 배달이 안된다는 한계가 있지만, 코스트코(Costco)와 타켓(Target)을 커버하고 있어서 많이 쓰게 된다. 특히 캘리포니아처럼 뭐 간단한 거 하나 사려 해도 차를 몰고 나가야 하는 경우에 이 서비스를 쓰면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생수병처럼 들고 이동하기 무거운 건 일부러 여기서 주문하기도 한다. 처음 가입하면 6개월간 배송이 무료이다. 이 곳의 인건비를 생각하면 생각하기 힘든 일인데, 구글의 지갑이 참 두둑하긴 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보다 먼저 이베이(eBay)가 동일한 컨셉으로 이베이 나우(eBay Now)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가게 하나당 5달러의 배송비가 들어 이제는 이용자가 거의 없어진 듯하다.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2. 태스크 래빗 TaskRabbit

역시 내가 상당히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 2년 전부터 쓰기 시작한 것 같다. 집 청소, 가구 조립, 가구 이동, 간단한 사무 작업 등을 다른 사람에게 시키고 싶을 때 이용한다. 일의 종류에 따라 인건비는 시간당 20~50달러 정도 하고, 이 중 20%를 태스크래빗이 수수료로 가져간다. 이 회사가 등장하기 전에 이미 비슷한 다른 시도가 많이 있었는데 대부분 실패했다. 낯선 사람에게 믿고 일을 맡기거나 집에 들어오게 한다는 게 간단치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IBM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던 여성 창업자 리아 버스키(Leah Busque)는 자신만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을 시작한 계기를 설명한 비디오를 보면, 보스턴에서 눈이 많이 내리던 어느 날 개 먹이가 떨어졌는데, “누군가가 먹이를 좀 사다주면 얼마나 편할까”라는 생각을 해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전에 그녀가 스탠포드에서 했던 강연을 들었는데, 시작이 결코 쉽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말을 참 설득력있고 공감 가게 잘하는데, 바로 그것이 이 어려운 사업 모델을 성공하게 만든 비결이 아니었나 싶다. 특히 사업 초기에 ‘래빗(rabbit)’들의 이미지를 잘 심으려 노력을 많이 했던 것이 기억난다. 아주 친절해 보이는 여성들을 모델로 썼고, 태스크를 맡을 사람들의 범죄 기록등을 일일이 체크하고 인터뷰도 일일이 한다고 설명해서 신뢰를 살 수 있었다. 여기에 조금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태스크 래빗
태스크 래빗 이용 화면
태스크 래빗 웹사이트
태스크 래빗 웹사이트. 초기부터 항상 이렇게 친절해보이는 여성을 내세워 ‘신뢰’를 강조했다.

3. 인스타 카트 Instacart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의 편리함에 밀려 나는 쓰지 않는 서비스인데,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상당히 인기다. 구글 또는 여타 서비스와의 차이점은 신선 제품을 배달해준다는 것. 대신 직접 가서 사는 것보다 가격이 좀 비싸고 배달료가 추가된다. 사실 이런 신선 제품은 조금만 나가면 찾을 수 있는 것이라 과연 잘 될까 의구심도 들지만 사용자가 꽤 되는 것 같다. 사람들이 입에도 많이 오르내린다. 2012년에 설립한 이래 지금까지 안드리센 호로위츠, 코슬라 벤처스 등으로부터 540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인스타카트
인스타카트 (Instacart)

4. 유어 미케닉 Your Mechanic

1년 전부터 쓰기 시작했는데 없으면 못 사는 서비스가 되었다. 자동차 관련해서 문제가 있으면 난 일단 여기를 가본다.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고 나서 시간을 예약하면 그 시간에 정비공이 집이나 회사로 와서 주차되어있는 차를 고쳐준다. 엔진 오일 교체도 가능하고, 브레이크 패드, 워터 펌프 등 웬만한 수리도 다 가능하다. 특히 마음에 드는 건, 수리를 맡기기 전에 가격을 쉽게 뽑아볼 수 있다는 것 (아래 사진). 전에 백미러가 깨져서 딜러샵에 가서 물어봤더니 1200달러 수리비가 나왔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해서 300달러에 막았던 경험이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수리하는 사람들이 부품을 직접 구입하지 않고, 회사에서 부품을 구입해서 정비공에게 택배로 보내준다. 그래서 내 앞에서 택배로 온 상자를 개봉해서 수리하기 시작한다. 회사에서 질 좋은 부품을 구입했다는 것을 믿을 수 있게 된다. 유명한 실리콘밸리 엑셀러레이터인 와이 컴비네이터 (Y Combinator) 출신의 회사이며 12억원의 초기 투자를 받았다.

유어 미케닉 Your Mechanic
유어 미케닉 Your Mechanic
브레이크 패드 네 개 가는 비용은 655달러. 이렇게 미리 가격을 투명하게 볼 수 있다.

5. 커브 사이드 Curbside

2013년 9월에 나온 따끈따끈한 서비스. 얼마 전 8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테크크런치 기사를 보고 알게 되었다. 웹사이트에 있는 비디오를 보면 바로 감이 온다. 모바일 앱으로 동네 샵에서 물건을 주문하면, 결재가 되고 주문이 모두 처리되었을 때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이 온다. 퇴근하는 길에 지정된 장소에 차를 세우고 트렁크를 열면, 직원이 나와서 자동차 트렁크에 물건을 넣어준다. 트렁크를 닫고 그대로 집으로 가면 끝이다. 이보다 더 쇼핑이 쉬울 수 있을까. 뭐 하나 사려면 운전해서 가는데 시간이 걸리고 주차가 불편한 샌프란시스코 산다면 당연히 이용할 것 같은 서비스다.

Screen Shot 2014-11-02 at 3.53.56 AM
커브사이드 Curbside

6. 써몬 Summon

우버(Uber) 또는 리프트(Lyft)와 비슷한 컨셉인데, 이번에 출퇴근자를 위해 써몬 어헤드(Summon Ahead)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내놨다. 차가 필요한 시간과 장소를 미리 입력해두면 그 시간에 차가 도착해서 대기하고 있다. 스케줄을 미리 해야 하는 대신 가격도 더 저렴해진다. 20분 거리에 12.5달러.

써몬 (Summon)
써몬 (Summon)

지금까지 언급한 서비스들은 모두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한 실리콘밸리에서 시작했고, 주요 고객들도 이 지역에 있다. 이것이 왜 중요한가? 이런 서비스들이 살아남아 투자받고 성장할 수 있으려면 초기 고객들의 지원이 무척 중요한데, 이런 서비스에 기꺼이 돈을 내고자 하는 고객들이 이 곳에 많이 있다는 뜻이다. 그들이 누구일까? 테크 회사에서 일하고, 젊고, 돈 많고, 그리고 무엇보다 핵심적인 생산 활동과 무관한 일에 시간을 쓰기 싫어하는 사람들이다. 가끔 쇼핑도 하면서 머리 식히는 것도 필요할 법한데 왜일까? 구글과 페이스북같이 엔지니어들이 만든 회사들을 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나 역시 마찬가지지만, 엔지니어들은 특히 자신의 일에 집중하고 싶어한다. 그 일만으로도 충분히 골치가 아프기 때문이다. 뭘 먹을지, 뭘 입을지 고민하는 걸 싫어하고, 쇼핑하거나 이발하기 위해 쓰는 시간을 아까워한다. 그래서 회사 캠퍼스를 가 보면 생산 활동 이외에 쓰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려를 많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위에서 나열한 서비스들에 기꺼이 돈을 내고 쓰는 사람들이 많이 있고, 그것이 회사가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이 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또 한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이 주는 편리함이 결재의 용이성 없이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아무리 편리하게 만든다 해도, 결재할 때마다 비밀번호 입력해야 하고 공인인증서 꺼내고 보안 카드 꺼내야 한다면 과연 서비스가 인기를 얻을 수 있을까. 위 모든 서비스들은 예외 없이 신용카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쇼핑 카트에 물건을 담거나 서비스를 신청하고, 아래와 같이 ‘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결재가 된다.

구글 쇼핑 익스프레스 주문 화면. 미리 입력해둔 신용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고 ‘주문하기 (Submit Order)’ 버튼을 누르면 끝이다.

샌프란시스코의 ‘젊고, 돈 많고, 게으른(?)’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는 앞으로도 더 많아질 전망이다. 이 곳에서 성공을 거두면 미국 각 도시로 퍼져나가고, 곧 캐나다와 영국, 그리고 호주로 건너간다. 다른 지역에서 이런 서비스들을 선점하기 힘든 이유는, 아이디어가 없어서가 아니라, 바로 그러한 아이디어에 돈을 지불할 고객이 없기 때문이다 (참고: 질 높은 고객의 중요성).

내가 좋아하는 실리콘밸리 여행지 7곳

베이 주변에 있다고 해서 Bay Area라고 부르는 이 곳 실리콘밸리. LA에서 2년의 공부를 마치고 이 곳에 와서 정착한 지 이제 3년이 조금 넘었다. 그동안 주말을 이용해서 여행을 참 많이 했는데, 가끔씩 LA의 아름다운 해변과 따뜻한 날씨가 그립기는 하지만, 이곳에는 산, 강, 바다, 호수가 고르게 섞여 있어 더 다채로운 자연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여기가 더 마음에 든다.

대부분의 관광객 또는 방문자들은 샌프란시스코에서 머물다가 돌아가지만, 사실 볼만한 좋은 여행지는 샌프란시스코를 벗어난 곳에 있다. 그동안 여기 방문하는 사람들로부터 좋은 곳 추천해달라고 부탁을 받기도 하고, 내가 나서서 추천해주기도 하는데, 이번에 글로 한 번 정리를 해볼까 한다. 다만, 샌프란시스코를 벗어나면 대중교통이 잘 발달해있지 않으므로 자동차가 꼭 필요하다.

1. 빅 서(Big Sur) 1번 도로

샌프란시스코에서 LA로 이어지는 1번 도로

이 곳에 여행오는 사람 모두에게 반드시 보고 가야 한다고 추천해주는 곳이다. 왼쪽엔 깎아지른 산, 오른쪽엔 끝이 안보이는 바다, 그 사이로 자동차가 질주하는 광고의 한 장면, 그런 곳을 차로 직접 달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내가 간 때는 거의 항상 날씨가 좋았는데, 파란 하늘과 산 사이를 달리는 기분이 정말 좋아, 언제 가도 좋은 곳이다. 1번 도로는 캐나다에서 미국을 거쳐 남미까지 아주 길게 이어지는 서부 해안도로가이다. 시간이 없다면 위 지도에서 보이는 줄리아 파이퍼 번즈 주립 공원 Julia Pfeiffer Burns State Park까지 가서 아름다운 폭포를 보고 돌아오면 된다. 한 번은 래기드 포인트 인 Ragged Point Inn에서 하루 자고 아침을 맞은 후 돌아왔고, 그 다음에는 빅 서 Big Sur에서 캠핑을 했는데, 둘 다 잊을 수 없는 기억이었다. 캠프그라운드를 예약하려면 ReserveAmerica.com을 이용하면 된다. 줄리아 파이퍼 번주 주립 공원 캠프그라운드에 갔었는데, 캠프사이트도 크고, 샤워 시설 등 편의 시설이 잘 되어 있고, 근처에 하이킹 코스도 많아 좋았다.

한 번은 산호세에서 출발하여 3일에 거쳐 1번 도로를 타고 LA까지 운전해서 내려가면서 여행한 적이 있었는데, 앞에 보이는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서 10분마다 차를 세워야 할 정도였다. 그 때 찍은 중, 마음에 드는 사진 두 장을 골라보았다.

캘리포니아 해변 도로를 타고 내려가다보면 이러한 아름다운 경치를 끝없이 볼 수 있다.
Julia Pfeiffer Beach. 폭포, 모래사장, 그리고 에메랄드 빛 바다가 어우러져 만들어낸 절경.

2. 몬터레이(Monterey)와 카멜(Carmel-By-the-Sea)

몬터레이와 카멜

두 번째로 꼽고 싶은 여행지. 아내와 내가 매우 좋아하는 곳이다. 집에서 1시간 반이면 닿는 거리에 있어서 주말을 이용해서 쉽게 갔다 올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가는 길에 거대한 딸기 농장도 볼 수 있다. 한 번은 가다가 차를 세워 밭을 구경했다가 커다란 딸기 두 박스를 공짜로 얻기도 했다.

몬터레이에는 유명한 17 마일 드라이브가 있다. 차 대당 약 9달러를 내야 입장할 수 있는데, 최소한 4시간 정도 여유를 가지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부모님이 오셨을 때 여기를 같이 갔더니 “여기에 안 와봤으면 후회할 뻔 했다”며 무척 좋아하셨다. 해변을 따라 길게 나 있는 도로 중간 중간 아름다운 곳이 많다. 바다 옆에 서서 티샷을 날리는 골퍼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17 Miles 드라이브에서 만날 수 있는 골퍼들. 여기서 바다를 건너 무사히 맞은편까지 티샷을 날려야 한다.

17마일 드라이브 끝자락에는 내셔널 지오그래피에서 세계 10대 골프장의 하나로 꼽은 페블 비치 골프장이 있는데, 이 곳에 도착하면 페블 비치 랏지(The Lodge At Pebble Beach)의 레스토랑에 가서 샌드위치를 먹거나 테라스에 앉아 페블 비치 골프장의 18번 홀과 바다를 바라보며 커피를 마셔도 좋다. 미국은 골프가 참 싸지만, 이 곳은 예외다. 18홀에 약 500달러 정도 하며, 몇 달 전에 예약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랏지에서 숙박하려면 가장 싼 방이 하루 715달러이다. 이 근처에는 말도 안되게 크고 고급스러운 집들도 잔뜩 있다.

17 Miles Drive 끝자락에 있는 페블 비치 골프장 18번 홀. Lodge에 앉아 차를 마시며 이들을 보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한편, 몬터레이 북쪽 해안을 따라 걸어서 Lovers Point Park에 가 보는 것도 추천한다. 여기를 걷다가 바닷가의 돌에 바다를 보며 샌드위치를 먹던 생각이 난다. 이 곳에 아쿠아리움도 있어 가보았는데 크지는 않지만 꽤 괜찮았다.

몬터레이 아래에 위치한 카멜-바이-더-씨 Carmel-By-the-Sea는 그 이름 그대로 바다 옆에 있는 매우 아름답고 부유한 마을인데, 특히 이국적인 분위기의 다운타운이 아주 매력적이다. 예쁜 샵들과 카페, 갤러리, 레스토랑, 호텔 들이 자리 잡고 있어 걷기 좋은 곳이다. 내가 좋아하는 곳은 입구쪽에 위치한 쇼핑몰과 갤러리들, 그리고 다운타운 중간쯤의 PortaBella라는 프랑스 음식점이다. 뉴욕타임즈의 ‘카멜에서 36시간 보내기 36 Hours in Carmel-by-the-Sea‘라는 기사도 참고.

카멜 다운타운의 프랑스 음식점, 포르타벨라 PortaBella (출처: Yelp.com)

카멜 다운타운 끝에는 길고 아름다운 해변이 있다. 파도가 적당해서 서핑을 해도 좋고, 부기 보드(Boggie Board)를 가지고 그냥 들어가서 놀아도 좋다. 다만, 물이 약간 차가우니 Wet Suit을 입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카멜 해변 Carmel Beach

3. 소살리토 (Sausalito)와 티뷰론 (Tiburon)

샌프란시스코에 방문했는데 소살리토에 들러보지 않고 돌아가면 안된다. 샌프란시스코에서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샌프란시스코보다 훨씬 예쁜 곳이다. 2004년쯤 출장 왔다가 처음 방문했는데, 언젠가 캘리포니아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게 한, 나에게 깊은 인상을 준 곳이었다.

소살리토 언덕위의 집들 (출처: Flickr)

소살리토는 샌프란시스코에서 금문교를 건너면 바로 나온다. 다운타운도 인상적이지만, 집들도 각각 특색 있고 예뻐서 언덕 위의 집들을 천천히 구경해보는 것도 재미있다. 제법 비싼 집들도 많이 있는데, Zillow.com에서 찾아보니 2010년에 지은 방 네 개 짜리 집 하나는 가격이 $2.85M, 즉 30억원 이상이다 (무척 좋아 보이기는 한다).

소살리토의 고급스러운 집 중 하나. 현재 $2.85M(약 30억원)에 매물로 나와 있다.

보다 재미있게(그리고 의미있게) 소살리토에 가는 방법은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전거를 빌릴 수 있는 곳이 많이 있는데, 내가 항상 가는 곳은 블레이징 새들스 Blazing Saddles이다. 역사적인 건물인 기라델리 초콜렛 Ghirardelli Chocolate 공장 바로 옆에 있는데, 이 곳에서 출발하면 자전거 도로를 통해 금문교를 건너 소살리토에 도달할 수 있다. 한 시간 이상 걸리고, 금문교까지 올라갈 때 조금 힘들기는 하지만 기억에 남을 이벤트가 될 것이다. 가는 길에 금문교 아래쪽으로 빠지면 금문교 다리 바로 아래에서 올려다볼 수 있다. 그리고, 금문교를 건너다가 중간에 멈춰서 다리 아래에 지나가는 보트들을 구경해도 좋다. 일단 자전거로 소살리토까지 가게 되면 대형 보트를 타고 샌프란시스코로 돌아올 수 있다. 처음 자전거 빌릴 때 아예 돌아오는 보트 티켓을 사면 편하다.

소살리토에서 내가 좋아하는 레스토랑은 Horizons이다. 여기 패티오(Patio)에 앉으면 바다 건너편 샌프란시스코 전체가 한눈에 보인다. 리모델링 후 The Trident라는 이름으로 다시 오픈했다.

어떤 사람들이 도대체 여기 사는가 해서 한 번 말을 걸었던 적이 있는데, 실리콘밸리에 있는 회사의 엔지니어이인데 주로 재택근무를 하고 가끔 회사에 간다고 해서 참 멋진 라이프스타일이라고 생각했다. 사실, 우리 회사에도 그렇게 좋은 마을에 살면서 일주일에 한 번씩 출근하는 직원들이 있기는 하다.

한때 자동차 이름으로 쓰여 익숙한 마을 티뷰론 Tiburon 은 소살리토보다 조금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조금 더 멀어서 그런지 보다 한적하고 조용한데, 소살리토보다 더 부유한 마을이다. 주말에 가면 다운타운 근처에 바다 위를 하얗게 메꾼 요트들을 볼 수 있다.

티뷰론 Tiburon 마을을 하늘에서 본 것 (출처: Flickr)

티뷰론을 천천히 한 바퀴 돌려면 2시간 정도 걸린다. 마찬가지로 집들을 구경하면 재미있는데, 주말에 가면 오픈하우스 (팔려고 내놓은 집을 공개하는 것) 하는 집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샌프란에서 더 멀지만 집값은 소살리토보다 더 비싸다. 이 곳에는 무려 100억원이 넘는 집도 있다. 해안에 위치한 어떤 집 안에 들어가서 본 적이 있는데, 집집마다 뒷마당에 보트가 정박되어 있었다. 보트를 타면 금방 샌프란시스코 시내에 도착할테니, 거기 살면서 보트로 샌프란시스코로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4. 뮤어 우즈 내셔널 마뉴먼트 (Muir Woods National Monument)

영화 ‘혹성 탈출 진화의 시작 Rise of the Planet of the Apes‘에 보면, 마지막 장면에 침펜지들이 탈출하여 나무가 가득한 자연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나온다. 그 나무 중 하나에 올라 샌프란시스코를 멀리서 바라보는 장면과 함께 영화가 끝이 난다. 이 장면을 촬영한 곳이 바로 Muir Woods이다. 높고 곧게 뻗은 레드우드 나무가 가득한 숲인데, 들어가면 신비스러운 느낌이 든다. 소살리토와 티뷰론 사이 정도에 있으니 같이 묶어서 여행해도 좋다. 하지만, 하이킹을 제대로 하려면 일정을 따로 내는 것이 좋다. 게다가, 주말에 워낙 인기가 많아 아침 일찍 가지 않으면 주차를 굉장히 멀리에 하고 걸어들어가야 한다.

뮤어 우즈 내셔널 마뉴먼트 Muir Woods National Monument (출처: Fluidr.com)

사실, 레드우드 나무는 캘리포니아 북쪽에 매우 흔해서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5. 하프문 베이(Half Moon Bay)의 리츠칼튼 호텔

고급스러우면서 아름다운 곳. 하프문 베이 자체도 예쁘지만, 여기 위치한 리츠칼튼 호텔이 정말 좋다. 골프장과 어우러져 멋진 분위기를 내는데, 여기 레스토랑이 분위기도 좋으면서 맛이 있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곳은 호텔 코트야드인데, 여기서 바다를 보며 칵테일 한 잔을 하면 좋다. 요청하면 담요를 주고, 군데 군데 난로(?)가 있어 바닷 바람이 다소 차가워도 괜찮다.

하프문 베이 리츠칼튼 호텔 (출처: Oyster.com)

6. 스탠포드 대학과 팔로 알토 유니버시티 거리 (University Avenue)

스탠포드 대학의 교정이 아름답다는 것은 굳이 여기에서 말하지 않아도 모두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동안 여행하면서 미국 동부와 유럽, 중국 등의 다양한 캠퍼스를 많이 방문해 보았는데, 적어도 지금까지 본 중에는 스탠포드 대학이 최고였다. 2004년에 처음 방문했을 때 입을 다물지 못했던 기억이 난다. 지중해의 리조트에 있는 느낌이었다. 캠퍼스가 너무 아름다워서 공부에 과연 집중이 될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막상 그 안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 캠퍼스를 감상할 틈도 없는 것 같다.

스탠포드 대학 앞의 유니버시티 거리(University Avenue)는 언제 가도 참 분위기가 좋은 곳이다. 워낙 자주 가기 때문에 주요 레스토랑이나 카페는 다 한 번씩 가본 것 같다. 사업가와 벤처캐피털리스트의 만남의 장으로 알려진 유니버시티 카페도 있고, 내가 좋아하는 샐러드 가게인 플루토스(Pluto’s)도 있고, 몇달 전 오픈한 파리바게뜨도 있다 (장사가 무척 잘된다). 무엇보다, 이 곳에는 Palantir Technologies, Survey Monkey, Waze, Quora, Shazam, TuneIn, Flipboard, Ning등 수많은 유명한 스타트업들이 많이 자리하고 있다. 그래서 사무실 렌트비가 무척 비싸다. 페이스북도 처음에 이 곳에서 시작했다.

팔로 알토 다운타운, 유니버시티 거리. 어느 토요일 오후에 찍은 사진.

7. 타말파이스 주립 공원(Mt. Tamalpais State Park), 스틴슨 비치(Stinson Beach), 토말레스 베이 오이스터 농장 (Tomales Bay Oyster Company)

이 동네에 산이 많아 하이킹을 종종 하는데, 그 중 가장 좋아하는 곳은 샌프란시스코 북쪽에 위치한 타말파이스 산이다. 이곳은 산악자전거가 처음 시작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스틴슨 해변에서 출발해서 올라가면서 차츰 절경을 볼 수 있다. 이 산은 습도가 높아 안개가 자주 끼는데, 그래서 더 신선하고 좋다. 정상은 약 2571피트 (783미터) 정도로 그리 높지 않다. 스틴슨 비치는 이 산 근처에 있는 아름다운 해변인데, 샌프란시스코에서 멀지 않은 따뜻한 해변이라 그런지 주말에 사람이 꽤 많다.

스틴슨 비치 (Stinson Beach). Tamalpais 산에 올라가면서 보면 더 멋지다. (출처: Wikipedia)

여기서 북쪽으로 약 30분 거리의 토말레스 베이에는 굴 농장이 있다. 사람들과 몇 번 갔었는데, 정말 굴을 실컷 먹을 수 있다. 무시무시할만큼 큰 굴 50개가 75달러인데 이거면 8명이 가서도 질리도록 먹을 수 있다. 굴을 좋아한다면 꼭 들러볼 만한 곳이다.

그 외

주요 여행지 7곳을 뽑았지만, 그 외에도 좋은 곳이 정말 많다. 간략하게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1. Big Basin State Park: 여기에도 레드우드 나무가 정말 많다. 수천년동안 그대로 유지해온 듯한 숲이다. 여기 캠프사이트도 정말 잘 되어 있다.
  2. Portola State Park: Big Basin 옆에 있는데, 여기도 레드우드 나무로 가득하며, 캠프사이트도 잘 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람들이 안 다니는 곳으로 하이킹하다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잘게 깨져있는 수많은 바위를 봤다. 풍화로 인해 바위가 이미 깨져 있었는데, 아무도 그 곳을 지나다니지 않다 보니 금이 가서 깨진 채로 그대로 있는 것이다. 이 바위를 발로 차거나밟으면 산산조각이 난다. ‘바윗돌 깨뜨려 자갈돌’이 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한 곳. 🙂
  3. Lake Merced Park: 샌프란시스코 서쪽에 있는 공원이다. 여기 골프장이 분위기가 좋다.
  4. Pacifica: 샌프란시스코에서 멀지 않은 해변 마을인데, 분위기가 독특하다. 여기 Taco Bell은 해변에 위치해 있어 미국 전체 프렌차이즈 중에서 가장 경치가 좋다고 한다.
  5. Gilroy: 큰 아웃렛이 있어 쇼핑하기 좋은 곳. LA 아웃렛 만큼 명품이 많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웬만한 브랜드가 많이 있어 그럭저럭 괜찮다.
  6. Chabot Regional Park / Campground: 호수가에 위치한 공원인데, 하이킹 코스도 잘 되어 있고, 캠핑도 가능하며, 호수가 꽤 커서 카약을 빌려서 타면 좋다.
  7. Battery Spencer: 금문교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이다.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금문교 끝자락에 위치한 커다란 주차장에서 감상하지만, 이 곳에 오면 훨씬 가까이, 그리고 더 생생하게 금문교를 볼 수 있다. 근처의 마린 헤드랜드 (Marine Headlands)도 자연이 잘 보존된 아주 멋진 곳이다.
  8. Napa Valley: 너무 유명한 곳이라 설명이 필요 없다. 와인 애호가가 아니더라도 예쁜 와이너리 이곳 저곳을 방문하며 한 모금씩 하다 보면 와인에 취하고 자연에 취한다.
  9. Tilden Regional Park: 버클리대 뒤쪽 언덕 위의 공원이다. 얼마 전에 이 곳에서 결혼식을 한 친구가 있어서 처음 가봤는데, 바다 건너 샌프란시스코 시내가 내려다보이는 경치가 아주 좋았다.
  10. Mount Diablo State Park: 1,178m로, Bay Area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하이킹하거나 자전거를 타기에 좋다.
  11. Lick Observatory: 산호세 뒤쪽 Hamilton 산 위에 있는 천문대인데, 분위기가 독특하다. 여기 올라가면 산호세 시내가 한 눈에 보인다.

여기서 한 가지 추가할 말이 있는데, 샌프란시스코에 여행하는 사람들이 꼭 한 번 들르게 되는 Pier 39은 사실 그다지 볼 게 없는, 지극히 상업적인 곳이다. 샌프란시스코 사람들은 갈 일이 거의 없는 곳이고, 아시아에서 온 관광객들로 북적거리며, 근처엔 질 낮은 기념품 가게들로 가득하다. 전에, 이 곳 근처에서 오랫동안 관광 사업을 하신 분을 만나 들은 이야기인데, Pier 39 마리나 및 근처 대부분의 상점들을 한 사람이 소유하고 있으며, 조그마한 상점 하나 렌트비가 한 달에 무려 2만 5천달러라고 해서 깜짝 놀란 적이 있다.

Pier39를 처음 개발한 사람은 2006년에 7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Warren Simons라는 사업가이다(). 그는 Chevy’s라는 성공적인 멕시칸 레스토랑의 창업자로도 알려져 있다. 버클리 대학을 졸업하고 오랫동안 파일럿으로 일하다가 레스토랑 사업을 시작했는데, Pier 39에 레스토랑을 열겠다고 결심하고 5년간 상인들과 공무원들을 설득한 후에 1978년에 처음 레스토랑을 시작했다. 그곳이 지금은 샌프란시스코를 소개하는 관광 책자에 다 들어가 있으니 ‘사업 대박’이 난 셈이다. 지금은 그 회사가 Pier 39 Partnership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매일 매일 관광책을 보고 찾아오는 엄청난 수의 관광객 덕분에 불황을 모르고 돈 방석 위에 앉아 있다.

실리콘밸리의 파워 그룹, 페이팔 마피아(Paypal Mafia)

2012년 5월 22일.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또 한 번 미국 역사에 기록될 업적을 남겼다. 최근 보급형 모델인 Model X를 출시한, 혁신적인 전기 자동차 회사 테슬라(Tesla)의 창업자이기도 한 그는, 자신의 돈을 무려 $100M(약 1,100억원) 투자해서 SpaceX라는 민간 우주선 회사를 만들었는데, 그 회사에서 만든 우주선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우주 기지에 도착한 것이다. 이 역사적인 순간을 많은 미국인들의 트위터와 방송을 통해, 그의 꿈이 실현되는 장면을 감격스럽게 지켜보았다. 그는 ‘페이팔 마피아‘ 중 한 명이었다.

SpaceX의 Falcon 9/Dragon 발사 장면. SpaceX는 세계 최초의 민간 우주선 회사이다 (출처: Flickr)

페이팔 마피아(PayPal Mafia). 이미 언론과 책에서 여러 번 다루어졌고, 너무나 유명해진 이야기이지만, 그동안 내가 모은 정보를 직접 한 번 정리해보고 싶어 이 글을 시작한다. 그 속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고, 오늘날의 실리콘밸리를 이야기할 때 이들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페이팔 마피아’라는 용어와 그들의 스토리는 2007년에 포춘지에서 페이팔 출신 투자자, 창업가들의 사진과 함께 그들의 성공을 다루는 기사를 실으면서 사람들 사이에 널리 알려졌다.

포춘지에 처음 실렸던 ‘페이팔 마피아’들. 샌프란시스코 토스카 카페에서. 갱단 복장을 하고 있다. 맨 앞의 두 사람이 피터 씨엘과 맥스 래브친이다.

페이팔 마피아가 탄생한 이야기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처음 그들이 만나게 된 과정이다. 그 이야기는 페이팔 창업자인 맥스 래브친(Max Levchin)이 일리노이 공대를 졸업하고 실리콘밸리에서 이사하는 것에서 시작하는데, “Founders at Work“이라는 책에 실린 그와의 인터뷰에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보안(security)’ 기술에 무척 관심이 많았던 그는, 대학교에 있을 때 이미 세 번 창업을 했다. 1998년,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에 진학하는 대신, 그는 또 다른 창업을 위해 스탠포드 옆 팔로 알토(Palo Alto)의 친구 집으로 이사한다. 뭔가 재미있는 일이 없을까 생각하며, 그리고 그의 창업에 도움을 줄 사람이 누구일까 찾기 위한 기대감에 차 있었을 것이다. 스탠포드대에서 이런 저런 강의를 들어보던 중 그는 피터 씨엘(Peter Thiel)을 만난다. 당시 헷지펀드 매니저였던 피터는 스탠포드에서 여름 학기 강의를 하고 있었는데, 그 수업은 별로 인기가 없어서 수강생이 겨우 6명 뿐이었다. 이 수업이 훗날 페이팔을 만든 두 공동창업자가 만나게 된 역사적인 공간이었다. 내가 즐겨 듣는 스탠포드의 Entrepreneurial Thought Leaders 강연에서 피터와 맥스가 함께 나와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비디오]. 이에 따르면, 당시 피터는 실리콘밸리에서 태동하고 있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있었고, 그 물결 속에 자신을 위한 기회가 있지 않을까 항상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에서 태어났고, 시카고에서 교육받은 똑똑하고 예리한, 그리고 무엇보다도 창업을 위해 실리콘밸리에 이사 온 맥스 레브친이 그에게는 흥미롭게 느껴졌을 것이다.

맥스는 피터와 몇 번 따로 만나 자신이 가진 두 개의 사업 아이디어를 이야기했다. 오늘날 페이팔의 성공을 만든, 이메일을 이용해서 돈을 보내는 아이디어와는 사실 거리가 멀었다. 그는 기업용 보안 기술에 관한 두 가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피터에게 이야기하자 피터는 그 중 하나의 아이디어가 더 마음에 든다며, 자신의 헷지 펀드를 통해 맥스의 회사에 몇 십만 달러 정도를 투자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맥스는 용기를 얻어 회사를 설립했다. 그러나 CEO를 찾을 수가 없었다. 다시 피터에게 돌아가서 이야기했다.

“This investment is a great thing, but I have no one to run the company. I’m just going to write the code and recruit the coders.” And he said, “Maybe I could be your CEO.” Jessica Livingston. Founders at Work: Stories of Startups’ Early Days (Kindle Locations 121-122). Kindle Edition.

“당신이 투자해 준다니 고마운데, 이 회사를 운영할 사람이 없어요. 저는 코드를 만들고 코딩할 사람을 찾는 일만 하고 싶거든요.” 그러자 피터가 이야기했다. “내가 당신 회사의 CEO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출처: Founders at Work, Kindle Edition)

그렇게 해서 피터는, 훗날 이베이(eBay)에 무려 $1.5 billion (약 1.8조원)에 매각된 회사 ‘페이팔’의 CEO가 되었다. (설립 당시 그들의 회사 이름은 컨피니티 Confinity 였다. 훗날 엘론 머스크가 만든 인터넷 은행 X.com과 합병하면서 이름이 페이팔로 바뀌었다.)

여기서, 피터 씨엘의 백그라운드를 보면 재미있다. 소위 ‘실리콘밸리스러운 이력’은 아니다. 스탠포드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후 크레딧 스위스(Credit Suisse)에서 트레이더로 일했고, 스탠포드 법대를 졸업한 후에는 변호사로 일했으며, 전 교육부 장관 윌리엄 버넷의 강연 라이터(Speech Writer)로 일하기도 했다. 아마존에서 1996년에 그가 공동 저작한 책을 발견했는데, 제목이 “The Diversity Myth: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Intolerance at Stanford(다양성의 미신: 스탠포드의 다문화주의와 무관용의 정치학)”이다. 스탠포드 대학에서 추구했던 ‘다문화주의’가 가져 온 문제점들을 비판한 내용이었는데, 1쇄만 출판되고 만 데다 독자 리뷰가 전혀 없는 것을 봐서는 그다지 영향력이 없었던 책인 것 같다. 그가 맥스 래브친을 만난 때는 이 책을 출판하고 2년이 지난 후였다. 똑똑하고 야심 있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맥스가 아니더라도 다른 훌륭한 창업가를 만나서 기회를 얻었을 테지만, 그 순간에 맥스를 만난 것은 그에게 행운이었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둘이 공동 창업한 회사의 첫 제품은 16Mhz밖에 안되는 프로세서를 가진 팜 파일럿(Palm Pilot)에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였다. 그들은 팜 파일럿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곧 미국 기업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그들의 소프트웨어가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데 쓰이리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기업들이 모바일 기기 도입 속도가 너무 느렸다. 그래서 아이디어를 바꾸고, 또 바꾸었다. 기업 대신 소비자들이 암호나 신용 카드 번호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팜 파일럿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만들었고, 그러자 ‘돈’을 저장할 수도 있겠다는 아이디어에 다다랐다. “돈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전송하기”. 그들의 미래를 바꾼 중대한 전환(Pivot)이었다.

그 뒤는 역사이다. 그들은 이 아이디어를 실리콘밸리의 투자자들에게 설명했고, 팜 파일럿을 이용해서 돈을 주고 받는 것이 미래의 모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 투자자들은 실제로 그들의 팜 파일럿에서 맥스와 피터의 팜 파일럿으로 $4.5 million (약 50억원)을 보냈다. 흥미롭게도, 아이폰과 페이팔 앱을 이용해서 쉽게 돈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된 지금에도, 이렇게 돈을 주고 받는 사람들이 많지는 않다. 어쨌든, 당시 그들은 이 돈을 이용해서 자신의 인맥 가운데 있는 똑똑한 사람들을 불러 모았다. 훗날 실리콘밸리의 전설이 될 ‘페이팔 마피아’ 멤버들은 이렇게 해서 모였다. 특정 회사 출신들이 나와서 창업하고, 투자하고, 성공하는 케이스들은 참 많지만(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야후 출신들도 많이 나와 창업했다), 페이팔 출신 중에 유난히 눈에 띄게 성공한 사람이 많은데다, 그 성공 뒤에 페이팔 출신들끼리의 밀접한 관계가 이어졌기 때문에 이들의 스토리가 더 유명해졌다.

아래에서는 페이팔 마피아의 주요 멤버들에 대해 소개하겠다.

1. 피터 씨엘(Peter Thiel)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 피터 씨엘(Peter Thiel)

위에서 설명했듯이, 그는 페이팔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였다. 페이팔이 이베이에 매각되던 시점에 $68 million (약 800억원) 정도를 벌었다(이 자체는 아주 큰 액수는 아니다). 그가 한 중요한 역할 덕분에 그는 마피아의 ‘대부’라 불리기도 한다.

2004년 8월, 마크 저커버그가 투자를 받기 위해 찾아왔을 때 50만 달러를 투자해서 당시 10%의 지분을 확보했고(이 장면은 영화 ‘소셜 네트워크‘에도 등장한다: 유투브 비디오), 그 주식은 현재 시가로 2조원어치가 넘는다[]. 또한 파운더 펀드 The Founders Fund 라는 스타트업 투자 회사를 만들어 이 회사를 통해 Quantcast, Yelp, Slide, LinkedIn, Palantir 등 실리콘밸리의 수많은 성공적인 회사에 투자했다. 지금은 또한 자산 규모가 2.2조원에 달하는 헷지 펀드를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나에게 가장 흥미로운 것은 “20 under 20″라는 씨엘 펠로우십 Thiel Fellowship 프로젝트이다[참고: 비즈니스 인사이더]. 대학생들만 지원할 수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 선정되면 대학을 중퇴하고 창업하는 조건으로 무려 10만 달러(1억원)를 투자받는다. 2011년에 1기, 2012년에 2기 24명이 선정되었는데, 엊그제는 1기 중 한 명이 만든 회사가 성공적으로 엑싯(exit)했다는 기사가 테크크런치에 실렸다.

씨엘 펠로우십 2012년 최종 선정자들. 이들은 학교를 중퇴하고 사업을 시작하는 조건으로 각자 10만 달러를 받게 된다.

2. 맥스 레브친(Max Levchin)

맥스 레브친

페이팔의 핵심 기술을 만든 천재 엔지니어이다. 일리노이 공대 출신의, 현재 36살의 그는, 페이팔 매각 후 회사를 나와 Slide.com을 만들었고, 이를 구글에 $182 million (약 2000억원)에 매각했다. (그러나 이것은 구글의 실패한 인수 사례로 인용되기도 한다). 또한 그는 옐프(Yelp)에 무려 $1 million (약 11억원)을 투자했는데, 훗날 옐프가 상장하면서 큰 이익을 거두었다. 그 외에도 핀터레스트(Pinterest), 유누들(YouNoodle), 위페이(WePay) 등 10개가 넘는 회사에 투자했다. 현재는 Kaggle이라는 대용량 데이터 분석 회사의 Chairman이다[].

3. 엘론 머스크(Elon Musk)

엘론 머스크(Elon Musk)

엘론 머스크만큼 자신의 꿈에 ‘무식할 만큼’ 매진하는 사람은 흔치 않다. 사실 그는 페이팔에서 밀려났던 사람이다. 자신이 세웠던 인터넷 은행 X.com과 피터 씨엘과 맥스 레브친이 세운 회사 컨피니티 Confinity 가 합쳐져 새로 만들어진 회사 페이팔의 CEO가 된 이후, 페이팔이 윈도우즈 시스템을 써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맥스와 큰 충돌을 일으켰다. 결국 맥스의 의견이 받아들여진 이후 페이팔을 떠났다. 맥스 또한 그 갈등 때문에 회사를 떠날 생각까지 했었다고 회상한다(주: Founders at Work).

페이팔을 떠난 후 그가 세운 회사는 전기 자동차 회사 테슬라 모터스(Tesla Motors)이다. 디자인이 너무나 멋진 10만 달러짜리 전기 자동차 테슬라. 누구나 그 차를 보면 군침을 흘리지만 소유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차 가격도 차 가격이지만, 전기 충전소가 많지 않아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년이 지난 지금, 테슬라는 보다 저렴한 (6만 달러) 모델인 Model X를 내놓았고, 지금은 전기 충전 스테이션을 여기 저기서 흔히 찾을 수 있으며(샌프란시스코 시내 전역과 주차장에서 무료 충전 스테이션을 찾을 수 있다), 닛산에서 만든 전기 자동차, LEAF도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테슬라의 보급형 전기 자동차, Model X

경기 하강과 함께 엄청난 적자가 나는 것을 보고, 저러다 회사 망하는 것 아닌가 생각도 했었다(실제로 파산 직전까지 갔다가 다임러 Daimler 의 투자, 주식 상장과 미국 정부의 대출 덕분에 살아났다고 한다). 하지만 테슬라는 지금 전기자동차의 대명사가 되었고, 미국 주요 도시에서 전시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 그의 이름이 다시 회자된 것은 SpaceX라는 거대한 민간 우주선 프로젝트 때문이다. 수년이 지난 후, 그의 프로젝트는 멋지게 성공했고, 미국 우주선 개발 역사에 새로운 획을 그었다. 한때 전 인류에게 꿈을 안겨 주었던 NASA는 이제 한 물 갔다는 느낌마저 든다.

그는 트위터 계정의 프로필 사진을 자신의 어린 시절 모습으로 설정해 놓았는데, 마치 ‘나는 어린 시절의 꿈을 이루며 살고 있습니다’라고 의미하는 듯하다.

엘론 머스크의 트위터 계정 (@elonmusk). 어린 시절 자신의 모습을 프로필 사진으로 올려 놓았다.

4. 스티브 챈(Steve Chen)과 채드 헐리(Chad Hurley)

별다른 설명이 필요 없는 두 사람이다. 페이팔의 엔지니어였던 그들은 회사를 나가 유투브를 만들었으며, 이를 구글에 $1.6 billion에 매각했다. 페이스북 초기 시절의 이야기를 다룬 “페이스북 이펙트”에 따르면, 스티브 챈은 유투브를 창업하기 직전 페이스북의 엔지니어로 일했었다. 요즘은 무얼 하는지 조용한데,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나온 뉴스를 보니 딜리셔스 회생시키려 하고 있는 듯하다.

그들이 회사를 구글에 매각한 직후 스스로 찍었던 짧은 동영상이 유투브에 올라가 있다. 행복함을 애써 감추려는 듯한 표정이다.

5. 리드 호프만 (Reid Hoffman)

리드 호프만 (Reid Hoffman)

이 사람을 빼놓고 실리콘밸리를 이야기할 수 없다. 종종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넓고 깊은 네트워크를 가진 사람으로 인용되는데, 링크트인 창업자이기 이전에 페이팔의 고위 임원(EVP)이었고 투자가였다. 그가 지금까지 투자한 50개 이상의 회사들은 일일이 열거할 수조차 없다(참고: CrunchBase 프로필). 피터 씨엘과 함께 매우 초기에 페이스북에 투자하면서 페이스북 성공을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많이 했었다. 자신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을 성공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고 존경을 받는 것 같다. 최근 그가 쓴 책, ‘The Startup of You(당신이라는 스타트업)‘을 읽었는데, 거기서 자신의 네트워킹 스토리와 함께 페이스북에 투자했던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2004년 당시 마크 핑커스(Mark Pincus)와 친하게 지냈었는데, 페이스북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오자 (아마 페이스북에 이미 투자했던 피터로부터 소개받았던 듯하다) 자신에게 할당된 지분의 절반을 마크에게 떼어주었다. 그래서 그와 마크가 각각 5만 달러를 투자했고, 그 가치는 현재 수천억원에 이른다(주: Who Owns Facebook). 2007년, 마크 핑커스가 징가(Zynga)를 설립하자 즉시 그 회사에 투자했고, 나중에 Zynga가 나스닥에 상장하며 또 큰 돈을 번다.

6. 제레미 스토플만(Jeremy Stoppleman)

그는 페이팔의 엔지니어였는데, 페이팔을 나와 옐프(Yelp)를 창업했고, 앞서 블로그에서 소개했듯(주), 옐프는 나스닥에 상장되었다. 옐프와 제레미 스토플만에 대해서는 밸리인사이드의 글, “옐프, 미국 최대의 지역 리뷰 사이트“에서 자세히 읽을 수 있다.

7. 데이브 맥클루어(Dave McClure)

페이팔의 마케팅 디렉터였던 그는, 현재 500 Startup이라는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의 CEO이다. 이에 대해서는 김창원님의 글 “500 스타트업 이야기“에 잘 정리되어 있다.


한국의 사례

‘한국의 페이팔 마피아’로 불릴 만한 사례는 테터앤컴퍼니이다. 노정석 대표가 창업한 이 회사는, 2008년에 구글에 인수된 이후 김보경, 한영, 차경묵, 정윤호 대표 등 5명의 창업자를 배출했는데, 가장 최근에는 김창원 대표가 구글에서 나와 타파스미디어를 설립했다.

내가 있었던 게임빌에서도 창업자들이 많이 나왔다. 돌이켜보면, 당시 상황이 페이팔 초기와 비슷했다. 페이팔은 1999년 1월 1일에 만들어졌고, 게임빌은 2000년 1월 11일에 만들어졌다. 게임빌이 2000년 4월 첫 게임을 출시한 후, ‘서울대 벤처 동아리’출신 송병준 대표가 만든 회사라는 소식이 수많은 신문에 인용되었고, 서울 공대 및 경영대에 포스터를 붙인 후에 서울대에서 정말 많은 사람들이 게임빌 문을 두드렸었다. 그렇게 해서 게임빌에 합류한 사람 중 몇몇은 게임빌에 남아 회사를 성장시켰고, 다른 많은 사람들은 게임빌을 거쳐 다른 회사에 가거나 창업을 했다.

1) 정성은, 최영수

게임빌에서 오랜 시간 일했던 이 둘은 2009년에 위버스마인드라는 영어 교육 회사를 만들었다. 회사의 첫 작품은 워드스케치(Word Sketch)인데 그림을 이용해서 단어를 외우면 더 쉽게, 더 오랫동안 기억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단어 하나 하나마다 그림을 그려 단어 암기용 단말기를 만들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최근에는 뇌새김 토크를 출시했다.

2) 문성훈

게임빌에서 초기에 모바일 마케팅을 담당했던 그는 모바일 게임 회사 엔소니를 창업한 후, 이를 보라넷에 매각했다. 엔소니는 모바일 RPG 게임 장르에서 확고한 인지도를 구축했고, 최근 스카이레이크에서 3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였다.

3) 박정우, 송일규

이 둘 역시 게임빌에서 기획자, 개발자로 일하다가 에버플이라는 모바일 게임 회사를 만들었는데, 최근 게임빌을 통해 퍼블리싱한 데스티니아는 출시 첫 날 앱스토어 RPG 장르 1위를 차지하며 게이머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게임빌의 개발자였던 정주영씨는 훗날 로티플의 창업 멤버가 되었고, 이 회사는 2011년 말에 카카오톡에 인수되었다.

제 2, 제 3의 페이팔 마피아는 미국에서도, 한국에서도 계속 만들어질 것이다. 비젼이 있는 사람 주변에 똑똑한 사람들이 모여들고, 이들이 모여 역사에 남을 회사를 만든 후, 나가서 또 다른 역사를 만들어내는 사례는 듣고 또 들어도 재미있다.

참고 링크:

펄스(Pulse), 또 하나의 실리콘 밸리 성공 스토리

아이패드용 뉴스리더, Pulse

어제 오랜만에 친구 Andreas를 만나 점심을 먹었다. 노르웨이 출신의 유머감각이 뛰어나고 재능이 많은 디자이너인데, 스탠포드대학 디자인 스쿨을 졸업하고 현재 디자인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다. 이런 저런 사는 얘기를 하던 중 아이폰/아이패드용 Pulse 앱 이야기가 나왔는데, 세상에, 그 디자인을 자기가 했다고 했다. 하루만에 한 거라고. 그 말을 듣고 밥먹다 말고 깜짝 놀라서 소리 질렀다. “Wow, I am honored to have lunch with you!” (와, 너랑 점심을 먹다니 영광인걸!)

내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Pulse. 아이패드 앱의 가격은 5천원에 달하지만 전혀 돈이 아깝지 않다. 전부터 Pulse에 대해 소개하고 싶었는데 이 기회에 이야기를 나누어보려 한다.

먼저 Pulse에 대해 설명하면, 아이패드용으로 처음 개발된 정말 쓰기 편하고 디자인이 예쁜 RSS 리더이다. RSS 리더에 대해 기존에 가졌던 관념을 송두리째 바꾸는 앱인데 아래 동영상을 보면 어떤 개념인지 알 수 있다.

출시하자마자 뉴욕타임즈, CNN 등에 소개되며 큰 인기를 끌었고, 곧 아이패드 스토어에서 가장 잘 팔리는 유료 앱이 되었다. $3.99라는 비싼 가격이지만 순식간에 15,000개가 팔렸고, 몇 달 후에는 50,000개가 넘게 팔렸다. 앱 하나당 4달러라고 치면 4달러 x 50,000 = 20만불 (2억 4천만원). 그 중 개발자가 70%를 가져간다고 하면 14만불, 즉 개발자는 몇 달만에 1억 8천만원에 달하는 돈을 번 셈이다.

창업자 Akshay와 Ankit

누가 이걸 만들었을까? 22살과 23살의 인도 출신 스탠포드 학생 두 명이다. Akshay Kothari 와 Ankit Gupta이다. Akshay 는 퍼듀대 학부를 졸업하고 스탠포드에서 전자공학 석사를 마쳤고, Ankit 은 인도에서 IIT 학부를 졸업한 후 스탠포드에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마쳤다. 이 둘은 Launchpad라는 수업 (이 수업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을 듣다가 만났고, 뭔가 재미난 게 없을까 찾던 중 Pulse를 만들게 된다. 제작 기간은 겨우 1달 반. 사실 이 중 Ankit은 우연한 기회에 잠깐 만난 적이 있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겠다.

아래 NBC Bay Area 뉴스에서 이 두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뉴스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게 바로 실리콘밸리가 유명한 이유죠. (중략) 이번에는 구글이나 야후 얘기가 아니라 다음 세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중략) 그들이 자신의 앱을 IDEO의 데이빗 켈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략) 데이빗 켈리: 사람들은 세상에 영향을 끼치는 일들을 합니다. Social Value가 있는 것 말이지요. 사람들이 원하는 것. (중략) 리포터: 자, 여기 22세의 스탠포드 학생으로부터 조언을 들어보시지요. Akshay: 실패를 걱정하지 마세요. 거기서 배우게 될 것이고, 더 강해져서 돌아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중략) 리포터: 2주 후면 그들은 졸업할 것이고, 아이폰 버전을 만들 거라고 합니다. 이미 투자자들로부터 전화를 받고 있다고 하네요.”

사실, 나에게 NBC 뉴스 출연보다 더 인상적이었던 것은 스티브 잡스가 WWDC 2010 키노트 연설에서, 성공적인 아이패드 앱들을 나열하면서 Pulse를 가장 먼저 언급한 것이다. 여기에서 그 장면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이 성공의 뒷 배경에는 스탠포드 대학이 있고, 스탠포드에서 디자인스쿨을 만든 IDEO의 데이빗 켈리가 있다. 스탠포드에는 d.school이라고, Institute of Design at Stanford 라는 학교가 있는데 여기에 Launchpad라는 수업이 있다.

Launchpad 수업 마지막에 제품 발표하는 장면

“Design and launch your company into the real world.” (디자인을 해서 당신의 회사를 세상에 만들어 보세요.)

10주동안 진행되는 이 수업의 목적과 방식은 간단하다. 학생들이 팀을 짜서, 세상에 영향을 미칠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주어진 시간은 10주. 처음 수업 몇 주와 발표에 필요한 몇 주를 제외하면 실제 제품개발에 쓸 수 있는 시간은 겨우 6주 정도에 불과하다. 내가 공동창업자 중 한명인 Ankit을 만난 건 이 수업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Ankit과 같은 수업을 듣던 내 친구 Andreas를 통해 소개받았는데, 그 때 Ankit은 수업 과제를 위한 아이디어를 찾고 있는 중이었다. 눈빛이 반짝반짝 빛나고 자신감에 가득 차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사실 그 때는 Pulse를 만들기 전이었으므로 특별한 건 없었고 그냥 똑똑한 스탠포드 학생인가보다 했다. 몇 달 후 그가 유명인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던 거다. 정말 실리콘밸리에서는 누구를 만나든 예사롭지가 않다는 생각이 든다.

항상 느끼는 것이고, 전에도 많이 언급했지만, 실리콘 밸리는 정말 독특한 곳이다. 창업의 꿈을 안고 사람들이 몰려들고, 그 사람들이 꿈을 펼쳐 성공할 수 있는 토양이 있으며, 그런 창업가들의 마음에 불을 붙이는 시스템이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제 2, 제 3의 Pulse 성공 스토리가 계속 탄생하고 있다.

아래에서 Pulse와 두 창업자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를 찾을 수 있다.

뉴욕타임즈 소개 기사
TechCrunch 소개 기사
Pulse를 만든 회사 Alfonso Labs 홈페이지
Alfonso Labs 팀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