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014년 5월 7일)
참고로 아래 글들은 시간 순이 아니고 제가 나름대로 순위를 메긴겁니다. 글을 클릭한 후 URL을 보시면 글을 쓴 날짜를 알 수 있습니다.
경영 및 마케팅
MBA 마케팅 수업에서 배웠던 내용, 또는 경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들입니다. 언젠가 Bass Diffusion Model, Conjoint Analysis, K-means clustering 등의 주제도 다뤄봐야겠네요.
- 고객 생애 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이해하기
- 무엇이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가? (Harvard Business Review)
- 마이크로 트랜잭션 – 소비자 잉여를 기업 이익으로 바꾸기
- 고객(Customer)이 아닌 관객(Audience)을 모으는 것이 진짜 마케팅
- 낮아진 스위칭 코스트, 더욱 대중화되는 맥북
기업 인수
오늘날 실리콘밸리를 만든 핵심 동력이라고 생각되는 기업 인수를 주제로 한 글들입니다. 책 ‘스핀 잇’에도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기업 및 서비스 분석
MBA 다닐 때 하버드비즈니스스쿨의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공부했는데, 회사의 역사, 경쟁자, 재무 상태, 제품의 경쟁력 등을 면밀히 분석한 글들을 보며 많이 감탄했습니다. 거기에서 영감을 받아 기업이나 서비스를 나만의 시각으로 분석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구요. 그렇게 해서 쓰기 시작한 것이, 제 블로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카테고리가 되었습니다.
- 한국 인터넷에서 잘못 끼워진 첫 단추, 그 이름은 네이버 (NAVER)
- 넷플릭스 (Netflix) 성공의 비결은 우수한 기업 문화
- 아마존(Amazon)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
- 새로운 플랫폼 위에 지어진 비즈니스, Airbnb
-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두 회사, 블록버스터와 넷플릭스
- 코세라(Coursera), 온라인 교육의 혁명
- 짚카(Zipcar), 10년에 걸쳐 만들어낸 1조원의 기업
- 핀란드 게임 회사 수퍼셀(Supercell)의 준비된 성공
- 정말 잘 만든 개인 금융 관리 서비스, 민트(Mint)
- 아마존(Amazon) 성공의 비결은 소비자 경험 개선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
- 코스트코(Costco)와 그 창업자 제임스 시네갈(James Sinegal)이야기
- 주목할만한 실리콘밸리의 ‘빅 데이터’ 스타트업 7개
- 아마존에 대항하는 리테일러들의 힘겨운 싸움
투자
투자 문화, 그리고 투자에 대해 배운 것들입니다. 엔젤 투자의 역할은 정말 중요하죠.
실리콘 밸리 전반
실리콘밸리에 살면서 느끼는 점들, 경험한 것들입니다.
영감을 주는 이야기
저에게 큰 영감을 주었던 글, 책, 영화, 그리고 TV 쇼들에 대해 써봤습니다.
- 페이스북(Facebook) 창업자 마크, 그에게서 배우는 교훈
- 오늘 나를 웃게 만든 글과 울게 만든 글
- 언더커버 보스: 바하 프레쉬 편. 그리고 CEO 데이빗 김의 이야기
- Every Problem Is An Opportunity. 문제가 클수록 기회도 크다.
- 미국 대도시의 시장이 된 최초의 한인, 강석희
평론
뭐라고 카테고리 제목을 달 지 몰라 ‘평론’이라고 했는데, 현상을 보고 생각해본 후 제 주장을 펼친 글들입니다. 주제는 다양하지요.
- 진정한 행복에 대하여 – 가족 중심 문화의 중요성
- 스토리가 중요한 이유
- 한국인의 영어 이름 사용에 대한 생각
- 세월호 여객선 침몰, 그리고 세모 그룹 유병언
- 내가 생각하는 리더의 조건
- 고시 제도 단상(斷想)
- 몰입 (Flow)
- 우리나라가 소프트웨어 강국이 되려면
- 한국 소프트웨어 기업의 미국 진출에 대하여
- 한국의 개발자 처우 개선, 과연 개발 환경 혁신이 먼저일까?
- 미국에서 스마트폰이 먼저 성공한 이유
미국 생활
미국에 살면서 느끼는 전반적인 것들입니다.
서평
말 그대로, 책을 읽고 느낀 점들을 정리.
기술 이야기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등에 관련된 좀 더 기술적인 이야기들.
옛 이야기
가끔 옛날 생각이 떠오를 때가 있어요. 추억을 되새기며 쓴 글들.
영어 공부
영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제지요. 제 나름대로 어떻게 영어를 극복했는지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MBA
MBA에 관한 질문도 많이 받고 있어서, MBA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본 글들.
스핀 잇(Spin It)
마지막으로, 작년에 출간했던 책과 관련된 글입니다. 왜 책을 출판하기로 했는지, 출판 후 어떤 일이 있었는지 등을 정리.
안녕하세요? 검색으로 글 하나를 읽고 몇 시간 동안 블로그에 체류하며 다른 글을 읽는 중입니다. 가치로운 글을 게시해주셔서 감사해요.
글들이 각각 카테고리에 속해보이는데, 어떻게 카테고리를 선택해서 볼 수 있는지 알려주시겠어요? 저는 검색이나 날짜별로 보는 수 밖에 못 찾아서요. 검색으로 카테고리 명을 쳐도 글 내용으로 검색되고 카테고리를 모아서 보는 방법은 모르겠어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